{{{#!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성부 | ||||
경모궁 | 계동궁 | 남별궁 | 누동궁 | 도정궁 | |
명례궁 | 사동궁 | 선희궁 | 수진궁 | 순화궁 | |
안동별궁 | 어의궁 | 연희궁 | 영수궁 | 영희전 | |
용동궁 | 운현궁 | 이현궁 | 인경궁 | 인덕궁 | |
자수궁 | 죽동궁 | 창성궁 | 창의궁 | 칠궁 | |
태화궁 | |||||
경기도 | |||||
강화행궁 | 개성행궁 | 경덕궁 | 남한산성 행궁 | 낙생행궁 | |
낙천이궁 | 노량행궁 | 목청전 | 수원행궁 | 수창궁 | |
시흥행궁 | 안산행궁 | 안양행궁 | 양주행궁 | 용흥궁 | |
월미행궁 | 이천행궁 | 이태조 행궁 | 진위행궁 | 파주행궁 | |
풍덕행궁 | 풍양궁 | 포천이궁 | 화성행궁 | ||
충청도 | |||||
노은리 행궁 | 목천행궁 | 보은행궁 | 신도안 대궐 | 온양행궁 | |
전의행궁 | 직산행궁 | 초정행궁 | 천안행궁 | ||
전라도 | |||||
격포행궁 | 경기전 | 무풍 명례궁 | 전주행궁 | ||
경상도 | |||||
집경전 | |||||
평안도 | |||||
영변행궁 | 영숭전 | 영유행궁 | 의주행궁 | 평양행궁 | |
풍경궁 | |||||
황해도 | |||||
배천행궁 | 평산행궁 | 해주행궁 | |||
강원도 | |||||
고성행궁 | 분수령 행궁 | 상원사 행궁 | 춘천이궁 | ||
함경도 | |||||
영흥본궁 | 함흥본궁 | ||||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 }}}}}}}}} |
조선의 별궁 계동궁 桂洞宮 | ||
<colbgcolor=#bf1400><colcolor=#ffd700> 위치 | 한성부 북부 관광방 계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75[1]) | |
건축시기 | 미상 | |
철훼시기 | 미상 |
|
<colbgcolor=#bf1400> 《문화컨텐츠닷컴》에서 제작한 〈계동궁 배치도〉. '이재원집'이 계동궁이다. |
[clearfix]
1. 개요
조선의 궁가. 이름은 동 이름에서 따왔다. 사도세자의 서2남이자 연령군의 양손자 은신군의 제사를 받드는 종손인 완림군 이재원의[2] 집이며 이후 사손(嗣孫)들도 계속 이 곳에서 살았었다. 그래서 이 곳이 연령군 가문의 종가가 되었다.1884년(고종 21년) 12월 5일, 갑신정변 이튿날에 고종이 잠시 이곳으로 피신했다. 고종은 처음에 경우궁으로 갔다가 겨울철 난방 시설이 변변치 못해 경우궁을 떠나 이 곳으로 다시 옮겼고, 이어 새로운 개화파 정부의 요인 명단을 여기서 발표했다. 집주인 이재원도 이 때 영의정 벼슬을 받았다.
계동궁에는 완림군 이재원, 이기용(이재원의 아들), 이해청(의친왕의 7남으로 이기용의 양자)이 3대에 걸쳐 살았다.
이기용이 언제 계동궁을 떠났는지는 모르나, 1945년 10월 이전인 것은 확실하다. 왜냐하면 그해 10월 5일 자 〈매일신보〉 기사에 이기용의 소재지가 정동 18번지로 나왔기 때문이다.[3]
계동궁은 1960년대에 철거되었으며, 그 자리에 현재는 현대건설 사옥이 들어서 있다.
|
<colbgcolor=#bf1400> 현대건설 사옥 앞에 있는 계동궁 터 알림 표지석 |
2. 역대 종주
1. 연령군 이훤(延齡君 李昍)2. 낙천군 이온(洛川君 李縕)
3. 남연군 이구(南延君 李球)
4. 완림군 이재원(完林君 李載元)[6]
5. 이기용(李埼鎔)
이후의 계대는 전해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