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df00> | }}} | |
{{{#!wiki style="color:#1d1d1b;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ffdf00> 청운효자동 | 청운동 | 신교동 | 궁정동 | 효자동 | 창성동 | 통인동 | 누상동 | 누하동 | 옥인동 | 세종로 | ||
사직동 | 통의동 | 적선동 | 체부동 | 필운동 | 내자동 | 사직동 | 도렴동 | 당주동 | 내수동 | 세종로 | 신문로1가 | 신문로2가 | ||
삼청동 | 팔판동 | 삼청동 | 안국동 | 소격동 | 화동 | 사간동 | 송현동 | ||
부암동 | 부암동 | 신영동 | 홍지동 | ||
평창동 | 구기동 | 평창동 | ||
무악동 | 무악동 | ||
교남동 | 교남동 | 평동 | 송월동 | 홍파동 | 교북동 | 행촌동 | ||
가회동 | 가회동 | 재동 | 계동 | 원서동 | ||
종로1.2.3.4가동 | 세종로 | 청진동 | 서린동 | 수송동 구청 | 중학동 | 종로1가 | 공평동 | 관훈동 | 견지동 | 와룡동 | 권농동 | 운니동 | 익선동 | 경운동 | 관철동 | 인사동 | 낙원동 | 종로2가 | 훈정동 | 묘동 | 봉익동 | 돈의동 | 장사동 | 관수동 | 종로3가 | 인의동 | 예지동 | 원남동 | 종로4가 | ||
종로5.6가동 | 연지동 | 효제동 | 종로5가 | 종로6가 | 충신동 | ||
이화동 | 이화동 | 연건동 | 동숭동 | ||
혜화동 | 와룡동 | 혜화동 | 명륜1가 | 명륜2가 | 명륜3가 | 명륜4가 | ||
창신1~3동 | 창신동 | ||
숭인1, 2동 | 숭인동 |
종로구의 법정동 계동 桂洞 | Gye-dong | |
<colbgcolor=#ffdf00><colcolor=#1d1d1b>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기초자치단체 | 종로구 |
행정표준코드 | 1111014800 |
관할 행정동 | 가회동 |
면적 | 0.17㎢ |
1. 개요
계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동이다. 행정동으로는 가회동에 속해 있으며, 주민센터는 가회동주민센터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35 (가회동)에 위치하고 있다.[1]2. 동명 유래
본래 조선 태종이 궁핍한 백성들을 위해서 만든 이 지역에 있던 제생원(濟生院)이라는 시설에서 유래된 제생동이었다. 하지만 이 이름은 시대가 흐르면서 계생동(桂生洞)으로 변하였고, 계생동은 영조 전후의 서적에서도 나타나 조선 시대에 널리 쓰인 이름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가 되자 1914년 토지조사사업 때, '계생동은 기생동(妓生洞)과 이름이 비슷하다'는 주장에 의해 '생'자를 떼서 현재의 이름인 계동(桂洞)이 되었다.3. 상세
중앙고등학교 정문에서 율곡로까지 이어지는 계동길을 따라 상권이 발달되어 있다. 북촌한옥마을의 일원으로 여러 한옥이 보존되어 있는데, 한옥형 게스트하우스를 비롯하여 전통 공예 체험 공방, 갤러리 등 다양한 시설로 이용되고 있다. 한옥 중 실거주민이 사는 집도 있으니 소음에 유의해야 한다.중앙고를 넘어 북쪽 끝 북악산 자락도 계동에 속하며 성균관대학교 후문과 연결된다. 아래쪽에는 현대사옥과 현대엔지니어링 건물이 있다.
중앙중, 대동세무고, 중앙고가 위치해있어 계동길을 따라 통학하는 학생들이 많다. 초등학교는 옆 동네 재동에 있는 서울재동초등학교가 가깝다.
4. 주요 명소 및 기관
4.1. 명소
- 여운형 집터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1가길 7 (계동) - 김성수 옛집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84-6 (계동) - 노백린 집터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길 164 (계동)[2] - 석정보름우물[3]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110 (계동) - 한용운 유심당[4]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92-3 (계동) - 화가 배렴 가옥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89 (계동) - 제생원 터[5]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75 (계동) - 3.1 운동 책원비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길 164 (계동)[6] - 6.10 만세운동 기념비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길 164 (계동)[7] - 계동궁 터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75 (계동)[8]
4.2. 기관
5. 교육
6. 교통
6.1. 버스
6.2. 지하철
6.3. 도로
7. 출신 인물
8. 관련 문서
[1] 한 때 동 주민센터 대수선공사로 인해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89 종로구민방위교육장(구 현대문화센터) 지하 2층(원서동)으로 임시 이전했었다.[2] 중앙고등학교 구내에 위치[3] 보름 동안은 맑고, 보름 동안은 흐리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대한민국 천주교 역사상 한반도에서의 첫 미사에서 이 우물물로 세례성사가 이뤄졌다.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도 종로에서 잠깐 활동할 때 이 물을 사용했다고 한다.[4] 현재 한옥스테이로 개조[5] 현대 계동빌딩 앞 율곡로 쪽 화단이다.[6] 중앙고등학교 구내에 위치[7] 중앙고등학교 구내에 위치[8] 현대 계동사옥 자리에 있었다.[9] 대동중학교가 같이 있었으나 1993년 2월 28일 폐교됐다. 서태지가 대동중 졸업생이며 서울북공고로 진학했으나 자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