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03 06:07:18

영희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성부
경모궁 계동궁 남별궁 누동궁 도정궁
명례궁 사동궁 선희궁 수진궁 순화궁
안동별궁 어의궁 연희궁 영수궁 영희전
용동궁 운현궁 이현궁 인경궁 인덕궁
자수궁 죽동궁 창성궁 창의궁 칠궁
태화궁
경기도
강화행궁 개성행궁 경덕궁 남한산성 행궁 낙생행궁
낙천이궁 노량행궁 목청전 수원행궁 수창궁
시흥행궁 안산행궁 안양행궁 양주행궁 용흥궁
월미행궁 이천행궁 이태조 행궁 진위행궁 통진행궁
파주행궁 풍덕행궁 풍양궁 포천이궁 화성행궁
충청도
노은리 행궁 목천행궁 보은행궁 신도안 대궐 온양행궁
전의행궁 직산행궁 초정행궁 천안행궁
전라도
격포행궁 경기전 무풍 명례궁 전주행궁 보길도 행궁
경상도
집경전
평안도
영변행궁 영숭전 영유행궁 의주행궁 평양행궁
풍경궁
황해도
배천행궁 평산행궁 해주행궁
강원도
고성행궁 분수령 행궁 상원사 행궁 춘천이궁
함경도
영흥본궁 함흥본궁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조선의 별궁
영희전
永禧殿
<colbgcolor=#bf1400><colcolor=#ffd700> 위치 한성부 남부 훈도방
(서울특별시 중구 수표로 27 (저동2가)
설립시기 1428년
해체시기 1908년
파일:영희전 터.png
<colbgcolor=#bf1400> 현재의 영희전 터. 주황색 선 안 영역 어딘가에 영희전이 존재했다.
1. 개요2. 역사
2.1. 이후
3. 여담

1. 개요

조선시대의 별궁. 세조잠저[1]이자 역대 들의 어진을 모셨던 진전(眞殿)이다. 현 영락교회 자리에 있었다.

2. 역사

세조세종소헌왕후둘째 아들로, 1428년(세종 10년) 윤번의 딸혼인하면서 궁을 나와 여기서 살았다. 그리고 의경세자해양대군(예종)과 의숙공주를 여기서 낳았다. 그 후 왕위를 찬탈한 세조가족과 함께 궁궐으로 들어가면서 빈 집이 되었다. 의숙공주가 혼인한 후 이 집을 공주 부부에게 내려주었고 한 동안 후손들이 소유하며 살았다가 중종 치세에는 한 때 폐비 신씨가 잠시 거처하기도 했다.

2.1. 이후

이후 선조의 뒤를 이어 이 된 광해군대신들의 반대에도 1610년(광해군 2년) 어머니 공빈 김씨를 공성왕후(恭聖王后)로 추존했다. 그리고 기존의 의숙공주 집을 어머니의 사당으로 고쳐 신주를 모시고 ‘봉자전(奉慈殿)’이라 했다. 1615년(광해군 5년)에는 공성왕후의 신주종묘로 옮긴 뒤 이곳에 태조세조의 어진을 모시고 ‘남별전(南別殿)’이라 불렀다.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쫓겨난 후 즉위한 인조는 친아버지 원종(정원군)영정을 남별전에 봉안하고 ‘숭은전(崇恩殿)’이라 했다. 숙종전주 경기전(慶基殿)에 있는 태조영정을 베껴 그리게 한 뒤 이 곳에 봉안하고 ‘영희전(永禧殿)’으로 이름을 고쳤다. 그리고 입구에 홍살문을 두었고 홍살문 앞에는 하마비 [2]를 설치했다. 이 때부터 세조의 잠저는 영희전으로 불리게 되었고, 음력설 · 한식 · 단오 · 추석 · 동지 · 납일[3]제사를 지냈다. 영희전에서 지내는 제사를 받들기 위해 은 1년에 여러 차례 창덕궁에서 수표교를 건너야 했는데, 이 때 숙종이 영희전을 참배하고 돌아오던 중 희빈 장씨를 만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한다.
파일:진전중수도감도처의궤.jpg
<colbgcolor=#bf1400> 영희전 중수공사를 기록한 《진전중수도감도처의궤》
이후 영조숙종 어진을 봉안하였고 1748년(영조 24년) 크게 고쳐 지었다. 이후에도 정조 때에는 영조 어진을, 철종 때에는 순조 어진을 모셨다.

대한제국 시기 영희전 근처의 높은 지대, 현재 명동인 명례방에 명동성당 건립이 완공되었다. 나라에서는 영희전의 현무봉[4]인 언덕에 천주교 성당을 지으면 영희전의 기운이 파손됨을 우려해 영희전을 옮기려고 했다. 그러던 찰나에 사도세자장조추존되어 1900년(광무 4년) 종묘로 신위가 옮겨가자 기존의 사도세자 사당경모궁이 비면서 영희전을 경모궁 자리로 옮겼다.

그리고 빈 영희전에 영조의 잠저인 창의궁에 있던 정조 의소세손사당 ‘의소묘[5]’와 정조와 의빈 성씨장남 문효세자의 사당 ‘문희묘’를 옮겨왔다. 그러나 8년 후인 1908년(융희 2년) 7월에는 제사에 관한 칙령 제50호 ‘향사이정에 관한 안건(享祀釐正件)’에 따라 의소세손과 문효세자의 신주는 땅에 묻고, 영희전은 국가 소유가 되었다.
파일:dudgmlwjs qltjr.jpg
<colbgcolor=#bf1400> 영희전 터 표지석
이후 옛 영희전 건물은 철거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경성 혼마치경찰서’가 세워졌다가 8.15 광복 이후 ‘서울중부경찰서’가 되었으며, 1945년 한경직 목사가 세운 ‘베다니전도교회’가 ‘영락교회’로 바뀌어 영역을 넓히면서 옛 모습은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3. 여담

  • 이 일대가 유독 벼락이 잘 맞는 동네였던 듯 하다. 숙종 때인 1705년(숙종 31년) 4월 3일에 영희전 동쪽 담장 안에 있는 오래 된 버드나무새벽부터 아침까지 두 번이나 벼락이 쳐 근처에 있던 아이가 놀라 죽었고 영조 때인 1765년(영조 41년) 6월 11일엔 영희전 뜰 회화나무에 또 벼락이 쳐서 상처가 나자 아예 벼락 좀 그만 떨어지라고 제사까지 지냈다고 한다.


[1] 잠저란 공식 후계자가 아닌 왕족이 되기 전에 살았던 을 말한다.[2] 下馬碑, 신분 고하를 막론하고 타고 가던 말에서 내리라는 글을 새긴 비석.[3] 조정과 민간에서 조상이나 종묘사직제사 지내던 날. 동지가 지난 후의 세 번째 미일(未日).[4] 이나 뒤의 작은 으로 풍수에서는 이곳에 의 기운이 뭉쳐 있다고 본다.[5] 이건하면서 영소묘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