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03 06:10:50

용동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성부
경모궁 계동궁 남별궁 누동궁 도정궁
명례궁 사동궁 선희궁 수진궁 순화궁
안동별궁 어의궁 연희궁 영수궁 영희전
용동궁 운현궁 이현궁 인경궁 인덕궁
자수궁 죽동궁 창성궁 창의궁 칠궁
태화궁
경기도
강화행궁 개성행궁 경덕궁 남한산성 행궁 낙생행궁
낙천이궁 노량행궁 목청전 수원행궁 수창궁
시흥행궁 안산행궁 안양행궁 양주행궁 용흥궁
월미행궁 이천행궁 이태조 행궁 진위행궁 통진행궁
파주행궁 풍덕행궁 풍양궁 포천이궁 화성행궁
충청도
노은리 행궁 목천행궁 보은행궁 신도안 대궐 온양행궁
전의행궁 직산행궁 초정행궁 천안행궁
전라도
격포행궁 경기전 무풍 명례궁 전주행궁 보길도 행궁
경상도
집경전
평안도
영변행궁 영숭전 영유행궁 의주행궁 평양행궁
풍경궁
황해도
배천행궁 평산행궁 해주행궁
강원도
고성행궁 분수령 행궁 상원사 행궁 춘천이궁
함경도
영흥본궁 함흥본궁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조선의 별궁
용동궁
龍洞宮
<colbgcolor=#bf1400><colcolor=#ffd700> 위치 한성부 동부 연화방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5길 58 ~ 68)
설립시기 미상
해체시기 1907년
파일:2017-10-10 22-02-42.jpg
<colbgcolor=#bf1400> 현재 용동궁 터 자리
파일:박동 독일영사관.png
뭘렌도르프의 저택으로 사용할 당시의 모습
1. 개요2. 역사

[clearfix]

1. 개요

조선 왕실의 별궁. 조선 명종의 장남 순회세자가 살았던 곳이다.

2. 역사

순회세자는 태어나면서부터 병약하여 태어난 지 이틀 만에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왔지만, 너무 어리고 더운 날씨 탓에 에 머물렀다. 하지만 자라면서도 건강하지 못하여 결국 5세에 궁궐 밖에서 잠시 거처했다. 이 것을 용동궁 역사의 시작으로 본다. 1556년(명종 11년)에는 다시 중종의 잠저였던 상어의궁에 가 있었다.

순회세자는 11살에 윤옥의 딸 덕빈 윤씨결혼했는데, 2년 후에 후사도 없이 13세의 어린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세자의 죽음으로 덕빈 윤씨는 궁을 나와 이 곳에 머물렀다. 이후 용동궁은 덕빈 윤씨의 사유 재산을 보관하고 에 딸린 토지에서 거두어들이는 조세로 경제 생활을 관리해주는 곳이 되었다.

그 뒤로도 사유 재산으로 내려오다가 훗날엔 사도세자혜경궁 홍씨효명세자신정왕후 조씨의 궁으로 이어져 내려왔다. 용동궁은 많은 토지를 소유한 궁이었는데, 영조수진궁, 명례궁, 용동궁, 어의궁, 창의궁 등 5개 궁의 면세전을 1,000결(結)을 한정하여 표준으로 삼되, 명례궁과 용동궁 두 궁은 대왕대비왕대비가 관할하므로 특별히 500결을 더 주도록 하고, 그 밖의 궁방은 800결로 제한했다.

조선 후기에 한성부 중부 수진방 박동으로 이전하여 ‘박동궁(礴洞宮)’으로도 불렸다. 고종 때에는 명성황후의 친척 민겸호가 살았는데, 민겸호는 부정부패를 일삼아 1882년(고종 19년) 6월 임오군란 때 참혹하게 살해당했다. 그렇게 처참하게 죽은 사람의 집에 입주하려는 사람이 아무도 없자, 고종은 이 집을 정치 고문으로 초빙한 독일인 묄렌도르프에게 하사했다. 묄렌도르프는 박동궁 한옥을 부분적으로 양식으로 개조해서 살았으며, 이 때 한국 건축 역사상 처음으로 유리창을 사용하였다.

1885년(고종 22년) 12월에 묄렌도르프가 중국으로 간 뒤 독일 상인 에두아르트 마이어가 설립한 세창양행에서 이곳을 관리했고, 1886년(고종 23년) 11월부터 1889년(고종 26년)까지 독일공사관이 있었다. 이후 독일공사관은 정동 육영공원이 있던 현재 서울시립미술관 자리로 이사갔다.
파일:용흥궁 명신여학교 사감.jpg
<colbgcolor=#bf1400> 명신여학교 학감 주택
1905년(광무 9년) 이후로 용동궁은 빈 궁이었다가, 고종후궁순헌황귀비 엄씨의 소유가 되었다. 순헌황귀비는 용동궁에 명신여학교를 설립했는데, 명신여학교는 곧 숙명여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 순헌황귀비와 그녀의 친정 엄씨 가문은 교육사업에 관심이 많아, 숙명여학교 외에 진명여학교양정학교(남학교)도 설립했다.

학제가 바뀜에 따라 숙명여학교는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숙명고등여학교 등으로 불리다가, 1951년 오늘날과 같은 3년제 숙명여자중학교와 3년제 숙명여자고등학교가 되었다. 1938년에는 전문학교 과정도 신설되었고, 숙명여자전문학교는 1948년 숙명여자대학으로, 1955년 숙명여자대학교로 개편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숙명여중고가 1980년 강남구 도곡동으로 옮긴 이후, 현재 용동궁 자리에는 대한재보험공사의 코리안리재보험빌딩과 대한석탄협회의 석탄회관빌딩이 들어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