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9 22:10:45

영유행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성부
경모궁 계동궁 남별궁 누동궁 도정궁
명례궁 사동궁 선희궁 수진궁 순화궁
안동별궁 어의궁 연희궁 영수궁 영희전
용동궁 운현궁 이현궁 인경궁 인덕궁
자수궁 죽동궁 창성궁 창의궁 칠궁
태화궁
경기도
강화행궁 개성행궁 경덕궁 남한산성 행궁 낙생행궁
낙천이궁 노량행궁 목청전 수원행궁 수창궁
시흥행궁 안산행궁 안양행궁 양주행궁 용흥궁
월미행궁 이천행궁 이태조 행궁 진위행궁 통진행궁
파주행궁 풍덕행궁 풍양궁 포천이궁 화성행궁
충청도
노은리 행궁 목천행궁 보은행궁 신도안 대궐 온양행궁
전의행궁 직산행궁 초정행궁 천안행궁
전라도
격포행궁 경기전 무풍 명례궁 전주행궁 보길도 행궁
경상도
집경전
평안도
영변행궁 영숭전 영유행궁 의주행궁 평양행궁
풍경궁
황해도
배천행궁 평산행궁 해주행궁
강원도
고성행궁 분수령 행궁 상원사 행궁 춘천이궁
함경도
영흥본궁 함흥본궁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파일:영유현 관아모습.png
<colbgcolor=#bf1400> 영유현 관아와 행궁의 모습
1. 개요2. 상세3. 건물4. 기록 속의 영유행궁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행궁. 평안도 영유현(현재의 평원군)에 위치했다.

2. 상세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피난을 간 선조가 머무른 행궁이다. 선조는 이곳에서 일본군의 상황을 지켜봤다. 선조가 가장 많이 이용했던 행궁 중 하나로, 의주행궁, 영변행궁, 평양행궁, 개성행궁, 숙천행궁과 함께 임진왜란 당시 최전방 지휘부였다. 이곳을 통해 영변행궁으로 이동했고 한성으로 다시 돌아갈 때까지 이곳에서 정사를 보기도 했다. 임진왜란 때 한번 불 타 사라졌으나 전후에 다시 복구했다. 일제강점기까지 남아있었으나 한국전쟁 당시 사라져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3. 건물

행궁으로 사용했던 건물은 객사인 "청계관(淸溪館)"과 "이화정(梨花亭)"이다. 우물인 "대부정(大夫井)"의 이름은 선조가 머물다가 물맛이 좋다고 해서 지었다.

4. 기록 속의 영유행궁

선조실록》 37권, 1593년(선조 26년) 4월 27일 신해 2번째기사 - 저물녘에 영유의 행궁으로 돌아오다.
저물녘에 이 영유(永柔)의 행궁(行宮)으로 돌아왔다
선조실록 38권, 선조 26년 5월 3일 병진 2번째기사 - '영유의 행궁으로 돌아오다'
미시(未時)에 상이 영유(永柔)의 행궁(行宮)으로 돌아왔다.
선조실록 64권, 선조 28년 6월 11일 임자 12번째기사 - '정원에 지난 5월에 윤두수가 동궁을 배종하고 올린 차자'
상이 정원에 전교하기를, "동궁 일기(東宮日記)를 당초 봉하여 들이면 혹은 본 뒤에 도로 내려주거나 혹은 당분간 그대로 두었었다. 오늘 열어보니 한 봉>함 중에 이...가리킨다. 전날 소신이 영유(永柔)의 행궁에서 처음 이 뜻을 개진했는데, 이어서 신씨(申氏)라는 선비가 또한 이런 청을 드리었다는 말
을 듣고는 신이 망령되이 확고한 자신감을 오래도록 갖게 되었습니다.
선조수정실록 26권, 선조 [수정실록] 25년 7월 1일 무오 12번째기사 - '상이 정시를 베풀어 정종명 등 네 사람을 뽑다'
상이 영유의 행궁(行宮)에서 정시(庭試)를 베풀어 정종명(鄭宗溟) 등 네 사람을 뽑았는데 무사(武士)를 뽑은 데 대한 대거(對擧)였다. 무과(武科)는
영유(永柔)에서 베풀어 7백 명을 뽑았다. 【이배(吏輩)들이 농간을 부려 초방(草榜)에 추가로 써넣기도 하고 거자(擧子)들이 대신 활을 쏘게 하는 경우>도 많았으니, 난잡한 폐단이 이로부터 시작되었다.】
광해군일기[중초본] 1권, 광해 즉위년 2월 21일 무인 12번째기사 - '소경 대왕의 행장소경 대왕(昭敬大王)의 행장(行狀)은 다음과 같다'
"국왕의 성은 이씨(李氏)이고 이름은 휘(諱)인데...영유(永柔)를 출발하여 서울로 향하였는데 거주하는 백성들이 소장을 올려 머물기를 청하니, 왕이 수>찰(手札)을 내려 답하기를 ‘지금 내가...행궁에 있었는데 하루는 해관(該官)에게 하교하기를 ‘오래도록 여염(閭閻)에 거처할 수 없으니, 즉시 전의 궁
성(宮城) 안에다 간략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