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5 00:38:51

이춘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국 헤이룽장성의 도시에 대한 내용은 이춘시(헤이룽장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중국 장시성의 도시에 대한 내용은 이춘시(장시성)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도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9px"
추존왕
목조 익조 도조
환조 덕종 원종
진종 장종 익종
대립왕
흥안군 · 밀풍군
추존 존령
시조고 · 선조고
}}}}}}}}}


조선의 왕자
[[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안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세자 · 왕세자빈
후궁 : 환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자 : 목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녀 : 익조 ~ 연산군 · 중종 ~ 철종
※ 작호가 있거나 문서가 등재된 사람만 기재
}}}}}}}}}


파일:몽골 제국 및 원나라 문장 white.svg
오동천호소 천호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초대 제2대 제3대
이안사 이행리 이춘
제4대 제5대 제6대
이자흥 이자춘 이성계
조선 국왕
}}}}}}}}}}}} ||


<colbgcolor=#bf1400><colcolor=#ffd400>
조선 추존 국왕
이춘 | 李椿
파일:함남함흥 의릉 전경 국립중앙박물관.jpg
의릉 전경
출생 연대 미상[1]
장소 미상
사망 1342년 7월 24일
장소 미상
능묘 의릉(義陵)
재위기간 요동천호소 천호 | 다루가치
미상 ~ 1343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f1400><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고려: 춘(椿)
: 바얀테무르(孛顔帖木兒)
부모 부왕 익조
모후 정숙왕후
형제자매 8남 1녀 중 4남
배우자 경순왕후
자녀 7남 6녀
아명 선래(善來)
묘호 도조(度祖)
시호 도왕(度王) → 공의성도대왕(恭毅聖度大王) }}}}}}}}}
1. 개요2. 생애3. 가계

[clearfix]

1. 개요

조선왕조의 추존 국왕으로 태조 이성계조부.

조선 개국 직후에는 시호 '도왕'(度王)만 올렸다가 증손자인 태종이 1411년에 묘호 도조(度祖)를 올리고 시호를 '공의성도대왕'(恭毅聖度大王)으로 바꿨다.#

이름은 이춘, 아명은 선래(善來), 몽골식 이름은 이바얀테무르(李孛顔帖木兒)였다.[2] 묘호 도조(度祖)의 '度'자는 '(헤아릴) 탁'이라는 음도 있기 때문에[3] '탁조'라 부르기도 한다.

2. 생애

익조 이행리와 2번째 부인이었던 정숙왕후 최씨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차남으로 전체에서는 4남이었다. 익조 이행리가 죽자 천호 벼슬과 다루가치직을 세습하여 물려받았다. 아이가 안 생겨서 강원도 양양군에 있는 낙산 관음굴에 가서 정성스럽게 기도를 드리니 낳은 아들이라고 한다. 익조 이행리의 벼슬이 정실 손씨의 큰아들인 함녕대군 이규수에게 세습되지 않고, 측실인 최씨의 아들인 이춘이 세습한 것은 세력 형성에 최씨의 역할이 컸기 때문이다.

원래 터전에서 밀려난 익조 이행리는 안변의 호족이자 장인인 최기열의 힘에 의해 세력을 재건했고, 그 힘을 기반으로 선대의 천호 벼슬을 다시 찾았기 때문에 최씨 사이에서 태어난 이춘을 후계자로 삼았다.[4] 이춘은 별 기록은 없으나, 노년에 중풍에 걸려 1342년 7월 24일에 죽었다. 죽기 전에 중풍으로 천호 벼슬을 수행할 수 없어서 정실인 박씨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큰아들 이자흥[5]에게 넘겨줄려고 했지만 역대 쌍성총관을 배출하고 있었던 한양 조씨 가문 출신의 측실인 조씨는 자기 소생에게 넘겨주기를 바랬다. 그 일로 이자흥과 측실 조씨 사이에 다툼이 생기자 이자흥원나라에 직접 가서 자신이 적장자임을 밝히고, 천호를 물려받았다.

하지만... 그는 2개월도 채 안되어 9월에 죽어버렸다. 이자흥에게는 이천계라는 아들이 있었지만 너무 어렸다. 이에 측실 조씨는 자기 소생에게 물려주길 바랬는데 사실 조씨는 당시 쌍성총관부의 수장인 총관 조양기의 딸이었기에[6] 으로 밀려고 했다. 하지만 결국 이자흥의 친동생인 이자춘이 천호 직을 물려받았다.

화살 하나로 흑룡(黒龍)을 잡았다고 한다. #

3. 가계

  • 아버지: 익조(翼祖) 행리(行里)
  • 어머니: 정숙왕후(貞淑王后) 최씨(崔氏)
  • 부인: 한양 조씨 - 쌍성총관 조양기(趙良琪)의 딸
  • 부인: 경순왕후(敬順王后) 박씨(朴氏)
    • 아들 : 완창대군(完昌大君) 자흥(子興)
    • 아들 : 환조(桓祖) 자춘(子春)
    • 딸 : 문혜공주(文惠公主) - 대장군 문인영(文仁永)에게 하가
    • 딸 : 문숙공주(文淑公主) - 다루가치 김마분(金馬粉) 혹은 김방괘(金方卦)[7]에게 하가
    • 딸 : 문의공주(文懿公主) - 허중(許重)에게 하가


도조 이춘은 2명의 부인이 있었는데 첫 부인은 쌍성총관 조양기의 딸 조씨였으며, 두 번째 부인은 오동백호를 지낸 박광의 딸로 경순왕후로 추존된 박씨다. 조선 왕실은 경순왕후의 후손이었으므로 훗날 기록에는 경순왕후가 첫 부인, 조씨가 두 번째 부인인 것으로 조작되었다.
사후에 이춘은 손자인 이성계가 국왕에 오르자 '도왕'(度王)으로 추존되었고, 증손자인 태종이 '도조'로 재추존했다. 박씨의 아들인 이자춘의 아들 이성계조선을 세웠기에 박씨가 정비로 인정되어 '경비'(敬妃)로 추존되었고, 태종이 '경순왕후'로 재추존했다.

도조는 영녕군 함흥 동쪽 운전사 주변에 마련된 '의릉'(義陵)에 안장되었다.
조선시대 지도와 구한말 흑백사진에 담긴 《의릉》 모습




[1] 장남 이자흥이 1305년인 점으로 볼 때, 최소 1285년에는 출생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2] 제31대 공민왕과 몽골 이름이 같다.[3] 구한말 오늘날의 기획재정부(재무부)에 해당되는 부서를 '탁지부'(度支部)라 했다. 또한 《삼국지》의 유도의 이름도 劉라서 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4] 어째서 최씨의 장남인 이송이 아니라 이춘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이송이 고려 왕조의 숭록대부였다는 기록을 보면 익조 이행리가 충렬왕(제25대)을 알현한 이후, 이송이 고려 조정에 출사한 것이 아닌가 생각해볼 수 있다.[5] 조선에서 내린 봉호는 완창대군.[6] 참고로 이 측실 조씨는 조선 중반 중종때 기묘사화로 죽은 대학자 조광조의 가문인 한양 조씨 출신이었다. 위에서 나온 것처럼 천호 벼슬 계승 문제로 이성계전주 이씨 집안과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 총관 조양기의 차남인 조돈이 이자춘을 돕게 되고, 그 와중에 그의 후손만 대가 이어지게 되면서 개국공신 집안이 되었다. 총관 조양기의 손자인 조소생은 공민왕(제31대)과 이성계에 대항하다가 멸족당했고, 반역자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7] 여진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