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06:11:29

쌍성총관부

원간섭기의 고려
파일:파일_원 간섭기 시기의 고려.png

1. 개요2. 역사3. 역대 총관4. 여담

1. 개요

雙城摠管府

원나라1258년 동북면 화주[1]에 설치한 통치 기구.

2. 역사

원래 이곳은 고려의 영토이긴 했지만 여진족과 얽혀져서 관리가 잘 되지 않고 있던 지역이다. 1258년, 조휘탁청이라는 사람이 이 지역의 고려 관리를 죽이고 원에 항복하여 원 간섭기 당시 원이 직접 통치를 하게 된다. 이때 조휘는 초대 쌍성총관, 탁청은 천호가 되어 한양 조씨가 쌍성총관을 세습하고 탁청의 후손이 천호를 세습한다.

쌍성총관부는 공민왕무력 정벌1356년에 4대 쌍성총관인 조소생이 패배하여 없어질 때까지 약 100여 년 간 이어졌다. 공민왕은 유인우를 동북면병마사로, 공천보와 김원봉을 부사로 삼고 강릉도존무사 이인임과 함께 쌍성총관부를 무너뜨리게 했다. 유인우 등은 철령을 지나 쌍성에서 200리 떨어진 등주에서 더 나아가지 않았다. 조소생은 천호 탁도경과 숙부 조돈을 쌍성으로 부른다.

조소생의 숙부 조돈이 쌍성총관부 수복에 큰 역할을 했다. 조소생은 조돈이 충숙왕 시절부터 고려에서 벼슬을 지냈기에 배반할 것을 우려해 호위를 붙여 사실상 구속시켰고, 이인임은 조돈을 회유하면 반드시 성공할 것이라고 유인우를 설득한다.

조돈은 조소생의 참모 백호 조도적을 회유하고 동생 조천주와 함께 쌍성을 탈출했으며, 용진에서 네 아들을 데리고 유인우의 진영에 나아가 항복한다. 조돈은 장남 조인벽을 내세워 쌍성 사람을 회유할 것을 유인우에게 제안했고, 민심을 고려 쪽으로 돌리는 것에 성공한다. 이성계와 그의 아버지 이자춘도 쌍성총관부 정벌에 공을 세웠다. 공민왕은 쌍성의 천호들을 거느린 이자춘을 보내 유인우와 합세하게 하고 98년만에 쌍성총관부를 수복한다.

쌍성총관 조소생과 천호 탁도경은 처자를 버리고 여진의 땅으로 도망쳤고 나하추까지 끌어들여 대항했지만, 이성계에게 패했고 이후 여진족 다루가치 소음산(所音山)과 총관 부카(不花)에게 처자 및 부하 50여 명과 함께 살해되었다.

조돈은 고려에서 벼슬을 계속해 용성군 작위를 얻기에 이르렀는데, 조돈의 회유에 넘어가 탈출을 도운 조도적은 동북면천호에 임명되었으나 곧 유인우에게 살해당한다. 이자춘은 동북면병마사가 되어 고려 중앙정계에 진출할 수 있었다.

쌍성총관부 탈환에 큰 공을 세운 조돈과 아들들은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때도 활약했으며 조돈의 장남 조인벽은 이자춘의 딸 정화공주와 혼인을 하여 이성계와 매형-처남 관계가 되고 아우 조인옥과 함께 조선의 개국공신이 된다.

3. 역대 총관

대수 이름 재임기간
초대 조휘 1258 ~ ?
2대 조양기 ? ~ 1327?
3대 조림 1327? ~ 1354
4대 조소생 1354 ~ 1356

4. 여담

  • 고려인의 배반으로 원나라의 직속령이 되었다는 점에서 동녕총관부와 유사하다. 다만 동녕총관부가 지배한 고려영토는 외교적인 해결책으로 돌려받은 것에 비해 쌍성총관부가 지배한 고려영토는 군사적인 수단인 무력으로 수복하였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동녕총관부는 요동으로 옮겨져서 존속한 반면 쌍성총관부는 영토를 수복한 고려 정부가 아예 폐지해버렸다. 원 간섭기 시절 고려 영토를 점거하던 기관을 고려인들 스스로 없앴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 중국측 기록에는 쌍성(雙城)이라는 지명으로 등장하며, 다른 명칭으로 원나라에서 영녕공에게 임명한 안무고려군민총관부(安撫高麗軍民總管府) 정도가 있다. 원사에 고려쌍성(高麗雙城) 또는 요동쌍성이라는 지명이 언급되어있고, 같은 시대 인물인 이곡[2]도 3대 총관인 조림을 쌍성등처군민총관(雙城等處軍民總官)이라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이름이 쌍성인 것은 맞아보인다. 여담으로, 지금의 랴오닝성 톄링시 서쪽의 요나라 때 이름이 한자까지 같은 쌍성(雙城)이었다.


[1] 조선의 영흥군, 현재 북한의 금야군, 요덕군으로 갈라졌다.[2] 이색의 아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