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0 14:44:41

흥안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조선 태조의 사위 흥안군에 대한 내용은 이제(조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9px"
추존왕
목조 익조 도조
환조 덕종 원종
진종 장조 문조
대립왕
흥안군 · 밀풍군
추존 존령
시조고 · 선조고
}}}}}}}}}


흥안군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조선의 왕자
[[틀:조선의 왕자/중종 ~ 고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정원대원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사도세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효명세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세자 · 왕세자빈
후궁 : 환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자 : 목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녀 : 익조 ~ 연산군 · 중종 ~ 철종
※ 작호가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사람만 기재
}}}}}}}}}


파일:전주 이씨 종문.svg 전주 이씨 흥안군파의 역대 종주
흥안군가 역사 시작 1대 흥안군 이제 2대 이영세
}}} ||
<colbgcolor=#bf1400><colcolor=#ffd400>
조선 비정통 국왕
흥안군 | 興安君
파일:흥안군 옛 묘터 석물.jpg
흥안군묘 옛 묘터 석물
출생 1598년
한성부 경복궁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즉위 1624년 3월 29일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사망 1624년 4월 3일 (향년 26세)
창덕궁 돈화문
능묘 흥안군묘(興安君墓)[1]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
재위기간 흥안군
1598년 ~ 1624년 3월 29일 (15년)
비정통 국왕
1624년 3월 29일 ~ 1624년 4월 3일 (6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f1400><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제(瑅)
부모 부왕 선조
생모 온빈 한씨
형제자매 14남 11녀
배우자 초취 청주 한씨 한애일(韓愛日)
재취 파평 윤씨
자녀 아들 이영세
종교 유교 (성리학)
봉호 흥안군(興安君)[2]
시호 효희(孝僖) → 삭탈[3] }}}}}}}}}

1. 개요2. 생애3. 기타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조선의 왕족이자 비정통 국왕. 조선 선조의 10남으로, 온빈 한씨 소생으로 광해군, 정원군, 임해군, 신성군, 경창군, 인성군의 이복 동생이며 영창대군의 이복 형이다. 친남매로는 남동생 경평군, 영성군, 그리고 누이로 정화옹주가 있다. 1598년생이라 인조에게는 소위 나이어린 삼촌이었다.

이괄의 난 당시 이괄의 추대로 잠시 비정통 국왕으로 재위했다. 재위 기간은 난이 한참 진행 중이었던 1624년(인조 2년) 3월 29일부터 4월 3일까지(음력 2월 10일부터 2월 12일까지), 단 3일이었다. 반란 당시 이괄군은 한성에 입성하여 경복궁 옛터에서 흥안군을 왕으로 추대한 다음 논공행상을 하였다. 이때문에 인조는 3일 동안 공주에서 난을 피해 있어야 했다. 흥안군을 재위기간이 6일이라는 말도 있었지만 3일이 맞다. 흥안군은 2월 10일에 국왕으로 즉위해서 그날 논공행상을 했고 다음날 2월 11일 안현전투가 발생해서 이괄이 패했고 2월 12일에 이괄이 한양 도성을 포기했으니 흥안군은 3일만 국왕으로써 권력을 행사한 게 맞다. 도성을 포기한 후로는 도망자 신세로 전락했을테니 재위기간으로 인정할 수는 없다.

2. 생애

1617년(광해군 9년) 음력 11월 인목왕후[4]에 대한 폐비론이 불거졌을 때는 폐비에 찬성한 것 이외에는 딱히 두드러진 행적은 보이지 않았다. 성품은 활달, 호방했고 그럭저럭 풍류를 즐기며 살던 평범한 왕족에 지나지 않았다.[5]

1624년(인조 2년) 이괄의 난이 터지자 이들과 내통하여 역모를 공모했다는 소문이 있었고, 대간들의 건의로 신료들이 위리안치를 논의했다. 허나 흥안군을 신뢰했던 인조가 허락하지 않았고 공주로 피란갈 때 같이 데리고 갔다. 하지만 흥안군은 한강 도하 이후 감시가 느슨해진 틈을 타 도중에 일행을 빠져나와 다시 한강을 건너 한성으로 돌아가 버렸고 결국 이괄의 진중으로 합류한다. 즉 애초부터 배신자가 맞았던 것. 이미 약속이 되어 있었는지 이괄군이 수도인 한성을 점령하자 빠르게 왕으로 추대받았다.

그러나 이괄군이 다음날 관군에게 패배하고 말았고, 흥안군은 소천으로 내려가 숨었다가 소천 현감 안사성에게 붙잡혔다. 이후 한성으로 끌려온 흥안군을 도원수 심기원과 신경진이 장만과 상의하여 국청도 없이 1624년 4월 3일(음력 2월 17일)에 창덕궁 돈화문에서 죽였다.

미처 피란가지 못한 채 한성에 남아있다가 얼떨결에 추대받은 것도 아니고, 피란 행렬을 이탈하여 적극적으로 반란군과 내통했기 때문에 처형하는 것 자체는 매우 합당한 일이었다. 다만 아무리 대역죄인이라고 해도 왕족의 처벌, 심지어 조선에서의 사형 집행은 국왕의 허가가 필요한데 심기원은 인조한테 허락도 받지 않고 왕족을 멋대로 처형했으니 이는 문제가 될 수밖에 없는 일이었다. 그래서 나중에 이를 알게 된 인조가 크게 화를 냈고 심기원은 흥안군의 행적과 심기원 본인의 공적을 감안해서 처벌은 딱히 받지 않았으나 이 일로 인조의 눈밖에 나고 만다.

1871년(고종 8년) 고종 때 복권받아 시호 '효희'를 받았지만, 너무나도 명백한 반란군 내통자였기 때문에 “대역죄인에 배신자를 복권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는 여론이 있어 1900년(광무 4년) 완순군 이재완의 건의로 왕족 직위도 도로 삭탈당했다. 그래서 그런지 같은 해에 편찬한 《선원속보(璿源續譜)》에 흥안군에 대한 부분은 빠져있다. 후일 비슷한 처지의 왕족이었던 밀풍군은 반란군에 의해 추대되었을 뿐이기 때문에 복권받았지만, 흥안군은 진짜 배신자였기 때문에 상황이 달랐던 것.

3. 기타

  • 1680년(숙종 6년) 무렵에 제작한 《선원보략》에는 자손이 끊겼다고 나와 있는데,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에서는 현재까지 후손이 이어진다고 밝히고 있다. 아래 서술할 내용은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 홈페이지에 있는 흥안군 항목을 참고로 정리한 것이다. 이괄의 난 이후 흥안군 가문이 몰살당했으나 7살 난 아들 이영세(李英世)는 나이가 어려서 살아남았고 경상남도 남해로 귀양간 후 그 곳에서 터를 잡았다고 한다. 그리고 이후에는 진주 정씨와 결혼했고 아들 1명을 두어 대를 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흥안군의 후손은 주로 경상남도 남해군에 살고 있다고 한다. 흥안군의 후손은 현재 200여 명에 불과하며, 현대의 유명한 인물로는 대한민국예술원 회장을 지낸 서양화가 이준[6], 이준의 아들이자 보람은행 상무였던 이철수[7]가 있다고 한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목조
익조
도조
환조
초대
태조 고황제
제2대
정종
제3대
태종
제4대
세종
제5대
문종
제7대
세조
제6대
단종
덕종 제8대
예종
제9대
성종
제10대
연산군
제11대
중종
폐세자 이고 제12대
인종
제13대
명종
덕흥대원군
제14대
선조
제15대
광해군
원종 흥안군
폐세자 이지 제16대
인조
제17대
효종
경안군 제18대
현종
복녕군
임창군 제19대
숙종
의원군
밀풍군 제20대
경종
제21대
영조
안흥군
진종 소황제 장조 의황제 이진익
제22대
정조 선황제
은언군 이병원
제23대
순조 숙황제
전계대원군 남연군
문조 익황제 제25대
철종 장황제
흥선대원왕
제24대
헌종 성황제
제26대
고종 태황제
제27대
순종 효황제
[범례] 실제 혈통 기준 · 세로선(│): 부자 관계 · 가로선(─): 형제 관계 }}}}}}}}}}}}

이괄의 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동자 <colbgcolor=#fff,#1f2023>이괄
조선 조정 국왕 인조
반군 지휘관 이괄 · 비정통 국왕 흥안군
기익헌 · 한명련 · 이수백 · 이흥립 · 한윤 · 김효신 · 서아지 · 사쇄문 · 고효내
}}}}}}}}}


[1] 1989년 평촌신도시 개발로 실전되었다. # 이 일대에 그의 봉호를 딴 도로인 흥안대로가 있다.[2] 봉호는 경상북도 성주군의 옛 이름인 '흥안도호부(興安都護府)'에서 따왔다. 1681년(숙종 7년)에 편찬한 《선원록(璿源錄)》과 1908년(융희 2년)에 편찬한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에는 봉호가 삭제되어 있고 휘만 적혀있다.[3] 1871년(고종 8년) 복권, 1900년(광무 4년) 삭탈.[4] 영창대군의 생모이자 흥안군의 적모.[5] 다만 일설에 의하면 행실이 매우 나빴다고도 한다.[6] 족보명 이정용(李正鎔).[7] 족보명 이해성(李海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