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의 대한민국의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김제남(정치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제남(정치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제남(정치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의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제남(정치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제남(정치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제남(정치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11208 0%, #7e2f22 20%, #7e2f22 80%, #51120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태조 | 정종 | 태종 | |||
안천부원군 한경 | 상산부원군 강윤성 | 월성부원군 김천서 | 여흥부원군 민제 |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
청천부원군 심온 | 화산부원군 권전 | 여량부원군 송현수 | 파평부원군 윤번 | |||
예종 | 예종, 성종 | 성종 | ||||
청천부원군 한백륜 | 상당부원군 한명회 | | 영원부원군 윤호 | |||
연산군 | 중종 | |||||
거창부원군 신승선 | 익창부원군 신수근 | 파원부원군 윤여필 | 파산부원군 윤지임 | |||
인종 | 명종 | 선조 | ||||
금성부원군 박용 | 청릉부원군 심강 | 반성부원군 박응순 | 연흥부원군 김제남 | |||
선조 | 광해군 | 인조 | ||||
| | 서평부원군 한준겸 | 한원부원군 조창원 | |||
효종 | 현종 | 숙종 | ||||
신풍부원군 장유 | 청풍부원군 김우명 | 광성부원군 김만기 | 여양부원군 민유중 | |||
숙종 | 경종 | 영조 | ||||
경은부원군 김주신 | 청은부원군 심호 | 함원부원군 어유구 | 달성부원군 서종제 | |||
영조 | 정조 | 순조 | 헌종 | |||
오흥부원군 김한구 | 청원부원군 김시묵 | 영안부원군 김조순 | 영흥부원군 김조근 | |||
헌종 | 철종 | 고종 | 순종 | |||
익풍부원군 홍재룡 | 영은부원군 김문근 | 여성부원군 민치록 | 여은부원군 민태호 | |||
순종 | ||||||
해풍부원군 윤택영 | ||||||
추존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목조(이안사) | 익조(이행리) | 도조(이춘) | |||
이숙(이공숙) | 최기열 | 안변부원군 박광 | ||||
환조(이자춘) | 덕종(의경세자) | 원종(정원군) | ||||
영흥백 최한기 | 서원부원군 한확 | 능안부원군 구사맹 | ||||
진종(효장세자) | 장조(사도세자) | 문조(효명세자) | ||||
풍릉부원군 조문명 | 영풍부원군 홍봉한 | 풍은부원군 조만영 | }}} | |||
조선 왕비 · 조선 추존 왕비 · 대한제국의 국구 |
<colbgcolor=#7e2f22><colcolor=#ffd400> | |
출생 | 1562년(명종 17) |
사망 | 1613년 7월 18일 (향년 51세) (음력 광해군 5년 6월 1일) |
사사형 | |
묘소 |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
봉호 |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1] |
시호 | 의민(懿愍) |
본관 | 연안(延安)[2] |
자 | 공언(恭彦) |
부모 | 부친 - 김오(金祦) 모친 - 권성복(權成福, 1535 ~ ?)[3] |
형제자매 | 4남 2녀 중 차남[4] |
부인 | 광산부부인(光山府夫人) 광주 노씨(1557~ 1637)[11] |
자녀 | 3남 2녀 장남 - 김내(金琜, 1576 ~ 1613) 장녀 - 연안김씨(1581 ~ 1604)[12] 차녀 - 인목왕후(1584 ~ 1632) 차남 - 김규(金珪, 1596 ~ 1613) 삼남 - 김선(金瑄, 1599 ~ 1614)[13] |
1. 개요
조선 중기의 인물.중종조의 영의정 김전의 증손이며 김안로의 재종손(再從孫, 사촌 형제의 손자)이고[14] 세종의 4남인 임영대군의 외5대손이자 인목왕후의 아버지, 정명공주와 영창대군의 외할아버지이자 의친왕비의 11대조.
2. 생애
1562년 아버지 김오(金祦)와 어머니 안동 권씨 권성복(權成福) 사이의 4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585년 식년시 진사시에 2등 3위로 입격한 뒤# 출사하였으며 종6품 현감으로 있던 1597년 별시 문과에 병과 10위로 급제하였다.#1602년 차녀가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가 되어 연흥부원군이 되었으며 김제남은 문과에 정식 급제한 사람이라 충분히 정승판서로 오를 수 있었지만 사양한 듯 보인다. 1613년 이이첨 등에 의해 인목왕후 소생인 영창대군을 추대하려 했다는 공격을 받아 계축옥사로 사사되었다. 1616년에 인목왕후 폐모론이 일어나면서 다시 부관참시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관직이 복구되고 영의정으로 추증되어 신원복권되었다.
3. 여담
- 김제남의 자손들은 계축옥사와 인조반정이라는 난리통을 겪으면서도 용케 살아남아 대를 이어나갔지만 조선 왕실과 통혼하지 않다가[15], 세월이 흘러 11대손인 의친왕비가 의친왕과 결혼하면서 왕실과 다시 인척관계를 맺게 되었다. 하지만 의친왕비는 슬하에 친자녀는 없었고 의친왕의 수많은 서자녀들을 키우면서, 김제남의 후손들은 끝까지 조선 왕실과 악연으로 얽히게 되었다.[16]
4. 가족 관계
- 조부 : 김안도(金安道) - 정의공주의 아들인 안여달의 딸의 외손자[17]
- 조모 : 창녕 성씨(昌寧 成氏) - 성현(成俔)[18]의 손녀이자 성세통의 딸
- 아버지 : 김오(金祦)
- 외조부 : 권상(權常, 1508~1589)
- 외조모 : 문화 류씨 - 류복룡(柳伏龍)의 딸
- 외삼촌 : 권이(權怡, 1532 ~ ?)
- 어머니 : 안동 권씨 권성복(權成福, 1535 ~ ?)
- 외조모 : 여산 송씨 - 송송(宋松)의 딸[19]
- 이모 : 권연근(權連瑾, 1539 ~ ?)
- 부인 : 광산부부인(光山府夫人) 광주 노씨(光州 盧氏, 1557~1637) - 노기(盧垍)의 딸
- 장남 : 김내(金琜, 1576~1613)
- 며느리 : 초계 정씨 정경순(鄭敬順, 1575~1640) - 정묵의 딸
- 장녀 : 연안 김씨(延安 金氏, 1581~1604)
- 사위 : 심정세(沈挺世, 1579~1613) - 구사맹의 외손자이자 인헌왕후의 조카, 인조의 이종 사촌형. 심의겸의 친손자이다.
- 외손자 : 심진(沈榗, 1602~1690)
- 외손녀 : 백홍일의 처
- 차녀 : 인목왕후(仁穆王后, 1584~1632)
- 사위 : 선조(宣祖, 1552~1608)
- 차남 : 김규(金珪, 1596~1613)
- 며느리 : 서미생(徐楣生, 1597~1666) - 정신옹주의 장녀
- 손자 : 김홍석(金弘錫, 1612~?)
- 3남 : 김선(金瑄, 1599~1614)ㆍ
자세히 보면 증조부와 재종조부는 재상이었으며, 장남 김내는 정3품 청주목사를 지냈고[21], 둘째 사위는 조선의 국왕이었으며, 맏사위와 며느리들도 모두 조선 중후기의 당대 최고 명문가 출신이었다. 하지만 앞서 서술했다시피 계축옥사에 휘말려 가족들이 거의 멸문에 가깝게 몰살당했다가, 후손들 중 몇몇이 살아남으면서 간신히 가문의 대를 이어나갔다는 게 아이러니하다.
5. 대중매체
[1] 연은부원군(延恩府院君)이라고 적혀 있는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국역본이 있는데,원문을 보면 興을 너무 흘려 쓴 탓에 전산화 과정에서 恩으로 오역하는 오류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 원문의 오른쪽에서부터 세로넷째줄 맨 아래 세 글자가 위에서부터 아래로 [ruby(延, ruby=연)][ruby(興, ruby=흥)][ruby(府, ruby=부)]이다.[2] 내자시윤공파(內資寺尹公派) 13세[3] 안동 권씨 권상(權常)의 장녀이며 임영대군의 외현손녀(6대손, 임영대군 이구(李璆) - 권형(權衡)의 처 - 권질(權軼) - 권상(權常) - 권성복(權成福)으로 이어진다.). 장서각 국가전적자료센터 왕실족보 세종자손록[4] 형제의 이름 앞 글자가 효(孝), 제(悌), 충(忠), 신(信)이다. 이순신 형제의 사례처럼 유교식 작명의 예다.[5] 계축지화는 '계축년의 재앙', 곧 계축옥사를 가리키고, 불환이졸은 '돌아오지 못하고 삶을 마쳤다'는 뜻이며, 익수불반은 '물에 빠져 돌이킬 수 없게 되었다', 곧 익사했다는 말이다.
[ruby(癸, ruby=계)][ruby(丑, ruby=축)][ruby(之, ruby=지)][ruby(禍, ruby=화)]에 [ruby(海, ruby=해)][ruby(南, ruby=남)]으로 [ruby(流, ruby=유)][ruby(配, ruby=배)] [ruby(不, ruby=불)][ruby(還, ruby환환)][ruby(而, ruby=이)][ruby(卒, ruby=졸)]하니 [ruby(出, ruby=출)] [ruby(家, ruby=가)][ruby(日, ruby=일)]이 7월26일이다 소이한 으로에도 [ruby(逆, ruby=역)][ruby(臣, ruby=신)] [ruby(李, ruby=이)][ruby(爾, ruby=이)][ruby(瞻, ruby=첨)]이 뱃사공을 시켜 배를 엎어 [ruby(溺, ruby=익)][ruby(水, ruby=수)][ruby(不, ruby=불)][ruby(返, ruby=반)]으로 [ruby(傳, ruby=전)]해지기도한다[6] 의령 남씨 첨지 남정화(南挺華)의 처[요절] 연안 김씨 족보에는 충남과 신남 두 남동생이 요사(일찍죽을 夭, 죽을 死)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ruby(三, ruby=삼)][ruby(子, ruby=자)] [ruby(忠, ruby=충)][ruby(男, ruby=남)]([ruby(夭, ruby=요)][ruby(死, ruby=사)]), [ruby(四, ruby=사)][ruby(子, ruby=자)] [ruby(信, ruby=신)][ruby(男, ruby=남)]([ruby(夭, ruby=요)][ruby(死, ruby=사)])[요절] [9] '二女'라 적힌 것으로 보아 김오의 둘째딸인 것은 알 수 있으나 생년이 적혀있지 않아 김제남의 누나인지 여동생인지 알 수 없다.[10] 이홍(李鴻)의 처[11] 모주의 어원과 관련된 광산부부인의 설화가 전해진다. 모주 문서 참고.[12] 청송 심씨 심정세(沈挺世)의 처. 심정세는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갈라지게된 사건의 중심에 있는 심의겸의 손자이며, 구사맹의 외손자이다. 계축옥사 때 김제남의 사위라는 이유로 붙잡혀 들어가, 심정세에게는 처남이 되는 김제남의 세 아들들과 마찬가지로 장살되었다.[13] 자세히 본 사람은 눈자챘겠지만, 형제들과 몰년이 다른데, 이는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형들과 달리 국문을 받지 않다가, 해가 바뀌고 광해군이 나이가 찬 김선에게 형문을 가했기 때문이다. https://sillok.history.go.kr/id/kob_10602003_005[14] 조부 김안도는 김안로의 사촌 형제였다.[15] 일설에 따르면 광해군의 견제로 아버지 김제남과 형제들, 아들 영창대군까지 잃은 인목왕후가 자신의 친정에게 다시는 왕실과 혼인하지 말라고 일러두었다고 한다. 매천야록에도 나오는 얘기다.[16] 그래도 의친왕비는 남편의 혼외자들을 친자식처럼 사랑하고 아꼈다고 한다. 의친왕의 자녀들도 의친왕비를 친어머니처럼 따랐다고.[17] 세종 → 정의공주 → 안여달 → 안씨 →송씨 → 김안도[18] 용재총화의 저자. 정조의 후궁 의빈 성씨의 11대조[19] 모친인 권성복의 계모.[20] 문곡 김수항의 아버지이며 숙종의 후궁 영빈 김씨의 증조부다. 또한 영안부원군 김조순의 6대조[21] 하지만 김제남의 장남 김내와 성균관 진사였던 차남과 삼남은 모두 계축옥사에 휘말려 일찍 사망했다.
[ruby(癸, ruby=계)][ruby(丑, ruby=축)][ruby(之, ruby=지)][ruby(禍, ruby=화)]에 [ruby(海, ruby=해)][ruby(南, ruby=남)]으로 [ruby(流, ruby=유)][ruby(配, ruby=배)] [ruby(不, ruby=불)][ruby(還, ruby환환)][ruby(而, ruby=이)][ruby(卒, ruby=졸)]하니 [ruby(出, ruby=출)] [ruby(家, ruby=가)][ruby(日, ruby=일)]이 7월26일이다 소이한 으로에도 [ruby(逆, ruby=역)][ruby(臣, ruby=신)] [ruby(李, ruby=이)][ruby(爾, ruby=이)][ruby(瞻, ruby=첨)]이 뱃사공을 시켜 배를 엎어 [ruby(溺, ruby=익)][ruby(水, ruby=수)][ruby(不, ruby=불)][ruby(返, ruby=반)]으로 [ruby(傳, ruby=전)]해지기도한다[6] 의령 남씨 첨지 남정화(南挺華)의 처[요절] 연안 김씨 족보에는 충남과 신남 두 남동생이 요사(일찍죽을 夭, 죽을 死)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ruby(三, ruby=삼)][ruby(子, ruby=자)] [ruby(忠, ruby=충)][ruby(男, ruby=남)]([ruby(夭, ruby=요)][ruby(死, ruby=사)]), [ruby(四, ruby=사)][ruby(子, ruby=자)] [ruby(信, ruby=신)][ruby(男, ruby=남)]([ruby(夭, ruby=요)][ruby(死, ruby=사)])[요절] [9] '二女'라 적힌 것으로 보아 김오의 둘째딸인 것은 알 수 있으나 생년이 적혀있지 않아 김제남의 누나인지 여동생인지 알 수 없다.[10] 이홍(李鴻)의 처[11] 모주의 어원과 관련된 광산부부인의 설화가 전해진다. 모주 문서 참고.[12] 청송 심씨 심정세(沈挺世)의 처. 심정세는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갈라지게된 사건의 중심에 있는 심의겸의 손자이며, 구사맹의 외손자이다. 계축옥사 때 김제남의 사위라는 이유로 붙잡혀 들어가, 심정세에게는 처남이 되는 김제남의 세 아들들과 마찬가지로 장살되었다.[13] 자세히 본 사람은 눈자챘겠지만, 형제들과 몰년이 다른데, 이는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형들과 달리 국문을 받지 않다가, 해가 바뀌고 광해군이 나이가 찬 김선에게 형문을 가했기 때문이다. https://sillok.history.go.kr/id/kob_10602003_005[14] 조부 김안도는 김안로의 사촌 형제였다.[15] 일설에 따르면 광해군의 견제로 아버지 김제남과 형제들, 아들 영창대군까지 잃은 인목왕후가 자신의 친정에게 다시는 왕실과 혼인하지 말라고 일러두었다고 한다. 매천야록에도 나오는 얘기다.[16] 그래도 의친왕비는 남편의 혼외자들을 친자식처럼 사랑하고 아꼈다고 한다. 의친왕의 자녀들도 의친왕비를 친어머니처럼 따랐다고.[17] 세종 → 정의공주 → 안여달 → 안씨 →송씨 → 김안도[18] 용재총화의 저자. 정조의 후궁 의빈 성씨의 11대조[19] 모친인 권성복의 계모.[20] 문곡 김수항의 아버지이며 숙종의 후궁 영빈 김씨의 증조부다. 또한 영안부원군 김조순의 6대조[21] 하지만 김제남의 장남 김내와 성균관 진사였던 차남과 삼남은 모두 계축옥사에 휘말려 일찍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