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왕녀 [[틀:조선의 왕녀/익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1 안의공주[[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1 정화공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1 명숙공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 |||
}}}}}}}}}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세종의 왕녀 정의공주 | 貞懿公主 | |||
정의공주묘 전경[1] | |||
출생 | 1415년 9월 27일(음력 7월 12일) | ||
조선 한성부 충녕대군 사저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통의동) | |||
사망 | 1477년 3월 5일(음력 2월 11일) (향년 63세) | ||
묘소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 63-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 전주 이씨 | |
부모 | 부왕 세종 모후 소헌왕후 | ||
형제자매 | 18남 4녀 중 차녀 | ||
배우자 | 연창위 안맹담 (延昌尉 安孟聃, 1415 ~ 1462)[2] | ||
자녀 | |||
종교 | 불교 | ||
작호 | 정의공주(貞懿公主) |
[clearfix]
1. 개요
조선 제4대 왕 세종과 정실 소헌왕후 심씨의 8남 2녀 중 셋째 자녀이자 적차녀. 위로는 언니 정소공주와 오빠 문종이 있고, 아래로는 수양대군과 안평대군을 비롯하여 7명의 남동생이 있다. 1424년 첫째인 정소공주는 겨우 13살 때 병으로 죽어, 이후 26년간 실질적으로 세종의 장녀이자 유일한 적녀(嫡女)였다.실록에 따르면 정의공주는 총명하고 지혜로워 역산, 즉 수학과 천문학을 할 줄 알아서 관심사가 맞는 아버지 세종대왕으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다고 한다.
2. 야사
정의공주의 시가(媤家)인 죽산 안씨 가문의 기록에 따르면,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할 때도 오빠 문종, 두 남동생 수양대군, 안평대군과 함께 많이 도왔다고 한다.“世宗憫方言不能以文字相通 始製訓民正音 而變音吐着 猶未畢究 使諸大君解之 皆未能 遂下于公主 公主卽解究以進 世宗大加稱賞 特賜奴婢數百口”(세종이 우리말과 한자가 서로 통하지 못함을 딱하게 여겨 훈민정음을 만들었으나, 변음과 토착을 다 끝내지 못하여서 여러 대군에게 풀게 하였으나 모두 풀지 못하였다. 드디어 (정의)공주에게 내려 보내자 공주는 곧 풀어 바쳤다. 세종이 크게 칭찬하고 상으로 특별히 노비 수백을 하사하였다.
《죽산안씨대동보(竹山安氏大同譜)》
《죽산안씨대동보(竹山安氏大同譜)》
하지만 이 기록을 그대로 믿기엔 문제가 있다. 우선 출처가 조선시대나 적어도 대한제국 시기도 아닌 1976년에 편찬 및 출판된 집안 족보며, 숱한 행장처럼 조상을 미화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5]
그리고 노비 수백을 하사하였다는데, 개국공신에게도 노비는 30여 구 하사하였고, 이후 공신에게도 수명에서 십수명 정도 하사한 사례가 대부분이었다. 계유정난 후 세종대왕의 후궁이었던 혜빈 양씨에게 노비 100구, 정의공주와 세종의 다른 후궁 및 공주에게 20구 등을 내린 기록이 단종실록에 나오긴 하지만, 이는 계유정난에서 죽은 신료의 노비들을 몰수한 후 나눠준 것이라 사정이 다르다.
따라서 공주에게 수백 구의 노비를 하사하였다면, 분명 막대한 재정 부담을 이유로 대간이나 유생의 반발이 있어야 하는데 그런 기록이 없다는 점, 죽산안씨대동보 외에 사료 교차검증이 되지 않는 점 등을 미루어 볼 때, 정의공주의 훈민정음 창제 기여설은 허구이거나 혹은 기여했다 해도 과장되어 기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만에 하나 실제로 있었다면, 실제로 있었던 것을 과장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 훈민정음 완성 직전 정의공주의 양모가 상을 당했는데, 세종대왕이 직접 "상복을 입지 말라"고 한 기록이 실록에 있다. 성종실록에 송처관이라는 사람이 양모의 상복을 100일 만에 벗어서 사헌부에 탄핵당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볼 때, 특별한 이유 없이 이런 명령을 내렸다고 보기는 어렵다. 정의공주는 세종대왕이 특별히 총애하던 자식이고, 능력도 있었다. 이런 상황을 종합해서 정의공주에게 호의적인 결론을 내리면, 다른 왕자들처럼 훈민정음 창제 작업에 참여 혹은 지속키 위해 세종대왕이 편의를 봐주었다는 추측의 근거 정도로 정도로 볼 수 있겠다.
위의 노비 관련 기록의 경우 왕조국가에서 왕이 하사한 상을 과장할 수는 있지만, 아예 주지 않은 상을 줬다고 기록했다고 보긴 어렵다. 다만 진짜 문제는, 죽산안씨대동보가 1976년 편찬된 것이고 진위 논란이 있는[6] 족보라는 것이다. 1976년에 대동보를 편찬할 때, 애초에 해당 대목이 원래 있던 기록을 인용한 것인지 아닌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이 기록이 진짜인지 거짓인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
페미니즘 학계에서는 이 내용을 근거로 훈민정음을 세종대왕이 아닌 정의공주가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것처럼 이는 신빙성이 낮은 야사에 불과하며, 정의공주의 참여가 사실이라 쳐도 '작은 부분에 협조했을 가능성이 있다' 정도의 추측에 불과하다. 무엇보다도 당장 저 위의 족보에서 "세종대왕께서 시제(만들다)하셨다"고 쓰여 있다.
<colbgcolor=#94153E> 정의공주의 훈민정음 창제설을 주장하는 소설 |
소설의 바탕이 된 환단고기나 가림토 문자가 시사하듯, 역사 연구에서 사실을 증명하는 길은 매우 어렵고 고단한 길이다. 그리고 한일 간의 역사 분쟁에서 볼 수 있듯 확실한 정사의 기록을 가지고도 교차검증해가며 격렬한 토론과 연구가 수반된다. 그런 마당에 족보 기록 하나만을 가지고 단순히 "그럴 가능성이 있다"를 넘어 "한글을 창제했다"고 확언하는 건 역사학을 너무 쉽게 보는 것이다. 당장 정사부터 다양한 검증의 통로를 거쳐야 하는 마당에다, 기록되어 있는 사실마저도 학자에 따라 확증편향적인 시선에 따라 원하는 것만 체리피킹되어 유사역사학의 통로가 되는데 재야사학자의 사변보다 작은 근거로 추론을 넘어 사실을 논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상술되었듯 이런 식의 가정이라면 정사가 못 될 사료들이 없다. 행장부터 야사집, 위서에 이르기까지 그 어떤 역사적 기록도 정사가 될 수 있다는 식인데, 당연히 이는 가능한 이야기가 아니다. 사실과 거짓을 구분하고 검증하는 건 역사의 영역에서 이루어져야지 사료도 아닌 창작물을, 그것도 제대로 된 사서를 기반으로 한 것도 아닌 소설을 기준으로 삼는 것은 무리한 일이다.
3. 가족관계
3.1. 남편 안맹담
정의공주는 죽산 안씨 가문의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聃)에게 하가(下嫁)[7]하였다.[8] 부부의 금슬은 매우 좋았다고 하며, 슬하에 4남 2녀가 있었다. 안맹담이 1462년에 죽자, 불교에 대해 조예가 깊었던 정의공주는 남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 상ㆍ중ㆍ하를 간행하였으며, 이 책은 대한민국 보물 966호로 지정되었다.안맹담은 술을 매우 좋아하여 병을 얻기도 했다고 한다. 세종대왕은 사위를 불러다가 혼을 내기도 하고 어르고 달래기도 했지만 말을 듣지 않자, 정의공주의 집에 술꾼들이 출입하는 것을 금했다고 한다.
안맹담은 계유정난(癸酉靖難)에 협조하여 성록대부(成祿大夫)로 가자(加資)되었고, 1455년(세조 1년)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 1등에 책록되었으며, 1457년(세조 3년) 수록대부(綏祿大夫)에 가자되었다. 그래서 정의공주도 이러한 남편의 공훈에 힘입어, 남동생 세조로부터 노비와 전토 등을 받았다.
정인지의 아들과 결혼한 장녀 안씨와, 둘째 아들인 안온천은 정의공주 생전에 사망하였다. 셋째 아들인 안상계는 세조의 계유정난에 동조하지 않고 저자도에 은거하였다가 예종 대에 복관하였으며, 넷째 아들인 안빈세는 정의공주가 병들자 세조가 특명을 내려 벼슬을 7계급 올려 동부승지에 임명하였다.
3.2. 친정
- 조부 : 조선 제 3대 왕 태종(太宗, 1367~1422)
- 조모 :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 1365~1420)
- 부 : 조선 제 4대 왕 세종(世宗, 1397~1450)
- 외조부 : 청천부원군 심온(靑川府院君 沈溫, 1375~1418)
- 외조모 :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三韓國大夫人 順興 安氏, ?~1444)
3.3. 시가
- 부마 :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聃, 1415~1462) - 안망지(安望之, ? ~ 1424)의 아들
- 장남 : 안여달(安如獺, 1438~?)
- 며느리 : 광주 안씨(廣州 安氏) - 안기(安耆)의 딸
- 장녀 : 죽산 안씨(竹山 安氏, 1440~1456)
- 사위 : 정광조(鄭光祖, ?~1457) - 정인지(鄭麟趾)의 장남
- 차남 : 안온천(安溫泉, 1442~1463)
- 며느리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효령대군의 증손녀이며, 회의도정 이추(懷義都正 李菆)의 딸
- 손자 : 안방언(安邦彦, 1457년) - 성종의 5남 회산군의 장인
- 손녀 : 정경부인 안씨(貞敬夫人 安氏, 1459~1521)
- 손녀사위 : 정상조(鄭尙祖) - 정인지(鄭麟趾)의 막내이자 선조의 외증조부이다.
- 손녀 : 죽산 안씨(竹山 安氏, 1462~?)
- 3남 : 안상계(安桑鷄, 1444~1496)
- 며느리 : 순흥 안씨(順興 安氏) - 안훈(安訓)의 딸
- 며느리 : 언양 김씨(彦陽 金氏) - 김경장(金慶長)의 딸
- 손자 : 안방열(安邦烈)
- 손자 : 안방형(安邦炯, 1465~?) - 월산대군(月山大君)의 서손자 계림군(桂林君)의 장인
- 4남 : 안빈세(安貧世, 1445~1478)
- 며느리 : 성주 이씨(星州 李氏, 1446~1520) - 이계현(李繼賢)의 딸
- 손자 : 안윤성(安胤誠) - 극성(克誠), 처성(處誠), 자성(自誠) (서출)
- 차녀 : 죽산 안씨(竹山 安氏, 1448~1492)
- 사위 : 한치례(韓致禮, 1441~1499) - 한확(韓確)의 3남이자 인수대비(仁粹大妃)의 남동생
4. 기타
- 불교에 조예가 깊었다. 연창위 안맹담과 함께 세종대왕 승하 후 소헌왕후와 세종의 명복을 기원하기 위해 문수사(文殊寺)를 중창하였다. 안맹담도 평소 불경을 읽고, 살생을 싫어하여 양잠(養蠶)도 하지 않았다.
- 1469년(예종 1년) 지장신앙의 기본 경전인 『지장보살본원경』을 간행하였는데, 이는 죽은 연창위 안맹담의 명복을 빌기 위한 것으로 오늘날에는 대한민국 보물 제966호로 지정되어 있다.
- 묘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 63-1에 있으며, 남편과 합장되어 있다. 1982년 11월 13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되었다. 바로 인근에는 연산군과 거창군부인 신씨 내외의 묘, 의정궁주 조씨(태종의 후궁)의 묘, 폐 휘신공주(연산군의 적녀)와 폐 능양위 구문경 내외의 묘가 위치해있다.
- 정의공주는 안맹담과 결혼하여 차남 안온천을 낳았고 안온천의 딸은 정인지의 막내아들인 정상조와 결혼하여 아들 정세호를 낳았으며 정세호는 딸 하동부대부인을 낳았는데 하동부대부인은 덕흥대원군의 아내이자 선조의 어머니다. 덕흥대원군은 세조의 4대손이라서 덕흥대원군과 하동부대부인 정씨는 서로 항렬상으론 10촌이 되며 이 부부의 아들인 선조는 부계[9]로도 모계[10]로도 세종의 후손이 되는 셈이며, 선조 다음의 왕들이 모두 선조의 후손임을 생각하면 선조 때부터 정의공주는 조선왕조의 중시조가 된 셈이다.
- '정의(貞懿)'라는 작호가 서조모인 의빈 권씨(懿嬪權氏)의 궁주시절 작호와 한자까지 일치한다. 여담으로 언니 정소공주의 처음 작호는 '정혜(貞惠)'였는데 의빈 권씨의 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작호가 같다는 이유로 '정소(貞昭)'로 변경하였다.
5. 대중매체에서
- 소설 《정의공주》 (한소진)
- 드라마 〈대왕 세종〉 - 이주현 : 유년시절만 짧게 나온다.
- 웹소설 《정의롭다 안맹담》
- 노빈손 시리즈의 '노빈손 사라진 훈민정음을 찾아라' - 4남인 안빈세와 함께 등장했다.
6. 양효공 안맹담과 정의공주 묘역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49호 | ← | 50호 | → | 51호 |
봉천동 마애미륵불좌상 | 양효공 안맹담과 정의공주 묘역 | 기기국 번사창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3호 | |
양효공 안맹담과 정의공주 묘역 良孝公 安孟聃과 貞懿公主 墓域 | |
소재지 |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로 264 (방학동 산 63-1) |
분류 |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
수량 / 면적 | 분묘 2基, 석물 10基, 토지 1,794㎡ |
지정연도 | 1982년 11월 18일 |
<colbgcolor=#94153E> 양효공 안맹담과 정의공주 묘역[11] |
묘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다. 1982년 11월 18일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9호로 지정받았다.
봉분은 2개로, 정의공주가 묻힌 자리는 정면 기준 오른쪽이다. 봉분 앞에는 문인석 4기, 석등, 묘갈 등이 있다. 신도비는 묘 아래에 있으며 받침돌, 비신, 머릿돌로 구성되어 있다. 받침돌은 거북조각 형상인데 일설에 따르면, 경복궁에 2쌍으로 있던 것 중 하나를 왕명으로 이곳에 가져온 것이라고 한다. 머릿돌에는 용조각 2마리가 정교하게 새겨져있다. 비문을 지은 사람은 정인지이고 글씨를 쓴 사람은 정의공주의 4남 안빈세이다.
[1] 양효공 안맹담과 합장되었다.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50호 지정[2] 본관은 죽산(竹山).[3] 정인지의 장남 정광조(鄭光祖)의 처.[4] 한확의 아들이자, 소혜왕후의 남동생인 한치례(韓致禮)의 처.[5] 그 원균과 김경징도 행장을 근거로 평하면 명장이라고 할 여지가 있는 수준.[6] 주로 안씨 가문의 시조에 관련해[7] 신분이 높은 여자가 자신보다 낮은 신분의 남자에게 시집감. 왕녀(공주, 옹주)의 경우에는 이웃 나라의 왕이나 왕자와 혼인하지 않는 이상, 어떤 남자에게 시집가더라도 '하가'가 될 수밖에 없다.[8] 안맹담의 대고모가 바로 전임 왕조 고려의 마지막 왕대비인 의화궁주다.[9] 세종의 차남 세조의 후손[10] 세종의 차녀 정의공주의 후손[11]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