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0ad7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제158대 이광좌 | 제159대 정호 | 제160·161대 이광좌 | 제162대 홍치중 | |
제163대 심수현 | 제164대 이의현 | 제165대 김흥경 | 제166대 이광좌 | |
제167대 김재로 | 제168대 조현명 | 제169대 김재로 | 제170대 이종성 | |
제171대 김재로 | 제172·173대 이천보 | 제174대 유척기 | 제175대 이천보 | |
제176대 김상로 | 제177대 홍봉한 | 제178대 신만 | 제179대 홍봉한 | |
제180대 윤동도 | 제181대 서지수 | 제182대 김치인 | 제183대 홍봉한 | |
제184대 김치인 | 제185대 김상복 | 제186대 신회 | 제187대 김상복 | |
제188대 한익모 | 제189대 김상복 | 제190대 신회 | 제191대 한익모 | |
제192대 김상복 | 제193대 한익모 | 제194대 김상복 | 제195대 한익모 | |
제196대 신회 | 제197대 한익모 | 제198대 김상철 | ||
제199대 김양택 | 제200대 김상철 | 제201대 서명선 | 제202대 김상철 | |
제203대 서명선 | 제204대 정존겸 | 제205대 서명선 | 제206대 정존겸 | |
제207대 김치인 | 제208대 김익 | 제209대 이재협 | 제210대 김익 | |
제211대 채제공 | 제212대 홍낙성 | 제213대 이병모 | ||
}}}}}}}}} |
김상로 관련 틀 | ||||||||||||||||||||||||||||||||||||||||||||||||||||||||||||||||||||||||||||||||||||||||||||||||||||||||||||||||||||||||||||||||||||||||||||||||||||||||||||||||||||||||||||||||||||||||||||||||||||||||||||||||||||||||||||||||||||||||||||||||||||||||||||||||||||||||||||||||||||||||||||||||||||||||||||||||||||||||||||||||||||||||||||||||||||||||||||||||||||
|
<colbgcolor=#b82642><colcolor=#f0ad73> | |
출생 | 1702년(숙종 28) |
사망 | 미상 |
묘소 | 경기도 의왕시 왕곡동 |
재임기간 | 제176대 영의정 |
1759년 6월 1일 ~ 1760년 11월 21일 (음력 영조 35년 5월 7일 ~ 영조 36년 10월 14일) | |
시호 | 익헌(翼獻) |
본관 | 청풍 김씨 |
자 | 경일(景一) |
호 | 하계(霞溪), 만하(晩霞) |
붕당 | 노론(서인) |
부모 | 부친 - 김유(金楺) 모친 - 송박(宋搏)의 딸 |
자녀 | 장남 - 김치양(金致讓) 차남 - 김치영(金致永) |
처 | 임천 조씨(조정만의 딸)[1] |
1. 개요
[clearfix]
1. 개요
조선의 문관 관료이다. 임오화변 이후, 영조는 손자 정조에게 "너의 아비를 죽이게 한 것은 아무래도 김상로다. 그자야 말로 바로 너의 원수다."라고 했는데, 물론 임오화변을 일으킨 것은 영조 본인이고 핑계에 불과하지만 김상로가 사도세자에 대한 공격에 앞장섰던 것은 역사적 사실이다.독립운동가이자 정치가 김규식의 방계조상이다.
[1] 인원왕후의 생모 가림부부인 조씨의 5촌조카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