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중종 ~ 광해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제65대 김수동 | 제66대 박원종 | 제67대 류순정 | 제68대 성희안 | ||||||
제69대 송질 | 제70대 정광필 | 제71대 김응기 | 제72대 신용개 | ||||||
제73대 안당 | 제74대 남곤 | 제75대 이유청 | 제76대 정광필 | ||||||
제77대 심정 | 제78대 이행 | 제79대 장순손 | 제80대 한효원 | ||||||
제81대 김근사 | 제82대 김안로 | 제83대 윤은보 | 제84대 류부 | ||||||
제85대 홍언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85대 홍언필 | 제86대 윤인경 | 제87대 류관 | }}} | |||||
제88대 성세창 | 제89대 이기 | 제90대 홍언필 | 제91대 윤인경 | ||||||
제92대 황헌 | 제93대 심연원 | 제94대 상진 | 제95대 윤개 | ||||||
제96대 안현 | 제97대 이준경 | 제98대 심통원 | 제99대 이명 | ||||||
제100대 권철 | 제101대 홍섬 | 제102대 박순 | 제103대 이탁 | ||||||
제104대 박순 | 제105대 홍섬 | 제106대 노수신 | 제107대 김귀영 | ||||||
제108대 정유길 | 제109대 노수신 | 제110대 정유길 | 제111대 류전 | ||||||
제112대 이산해 | 제113대 정철 | 제114대 류성룡 | 제115대 최흥원 | ||||||
제116대 윤두수 | 제117대 유홍 | 제118대 김응남 | 제119대 윤두수 | ||||||
제120대 이원익 | 제121대 이덕형 | 제122대 이항복 | 제123대 정탁 | ||||||
제124대 이원익 | 제125대 이항복 | 제126대 이헌국 | 제127대 김명원 | ||||||
제128대 윤승훈 | 제129대 류영경 | 제130대 기자헌 | 제131대 심희수 | ||||||
제132대 허욱 | |||||||||
제133대 기자헌 | 제134대 이항복 | 제135대 이덕형 | 제136대 이항복 | ||||||
제137대 정인홍 | 제138대 한효순 | 제139대 박승종 | 제140대 박홍구 | ||||||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제78대 박원종 | 제79대 류순정 | 제80대 성희안 | 제81대 송질 | ||||||
제82대 정광필 | 제83대 김응기 | 제84대 신용개 | 제85대 안당 | ||||||
제86대 김전 | 제87대 이유청 | 제88대 권균 | 제89대 심정 | ||||||
제90대 이행 | 제91대 장순손 | 제92대 한효원 | 제93대 김근사 | ||||||
제94대 김안로 | 제95대 윤은보 | 제96대 류부 | 제97대 홍언필 | ||||||
제98대 김극성 | 제99대 윤인경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99대 윤인경 | 제100대 류관 | 제101대 성세창 | }}} | |||||
제102대 이기 | 제103대 정순붕 | 제104대 황헌 | 제105대 심연원 | ||||||
제106대 상진 | 제107대 윤개 | 제108대 윤원형 | 제109대 안현 | ||||||
제110대 이준경 | 제111대 심통원 | 제112대 이명 | 제113대 권철 | ||||||
제114대 민기 | 제115대 홍섬 | 제116대 이탁 | 제117대 박순 | ||||||
제118대 노수신 | 제119대 강사상 | 제120대 정유길 | 제121대 김귀영 | ||||||
제122대 정지연 | 제123대 정유길 | 제124대 노수신 | 제125대 정유길 | ||||||
제126대 류전 | 제127대 이산해 | 제128대 정언신 | 제129대 정철 | ||||||
제130대 심수경 | 제131대 류성룡 | 제132대 이양원 | 제133대 윤두수 | ||||||
제134대 유홍 | 제135대 김응남 | 제136대 정탁 | 제137대 이원익 | ||||||
제138대 이덕형 | 제139대 이항복 | 제140대 이헌국 | 제141대 이항복 | ||||||
제142대 이헌국 | 제143대 김명원 | 제144대 윤승훈 | 제145대 류영경 | ||||||
제146대 기자헌 | 제147대 심희수 | 제148대 허욱 | 제149대 한응인 | ||||||
제150대 심희수 | 제151대 이항복 | 제152·153대 정인홍 | 제154대 정창연 | ||||||
제155대 정인홍 | 제156대 한효순 | 제157대 민몽룡 | 제158대 박승종 | ||||||
제159대 박홍구 | 제160대 조정 | ||||||||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김명원 관련 틀 | |||||||||||||||||||||||||||||||||||||||||||||||||||||||||||||||||||||||||||||||||||||||||||||||||||||||||||||||||||||||||||||||||||||||||||||||||||||||||||||||||||||||||||||||||||||||||||||||||||||||||||||||||||||||||||||||||||||||||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경림부원군(慶林府院君) 충익공(忠翼公) 김명원 金命元 | |
출생 | 1534년 2월 16일[1] (음력 중종 29년 1월 24일) |
사망 | 1603년 1월 21일 (향년 68세) (음력 1602년, 선조 35년 12월 10일) |
봉호 | 경림부원군(慶林府院君) |
시호 | 충익(忠翼) |
본관 | 경주 김씨 |
자 | 응순(應順) |
호 | 주은(酒隱) |
부모 | 부친 - 김만균(金萬鈞, ? ~ 1549)[2] 모친 - 순흥 안씨 안준의(安尊義)의 딸 |
형제자매 | 2남 2녀 중 차남# 형 - 김경원(金慶元, 1528 ~ ?) 여동생 - 김개이(金凱伊, 1545 ~ ?) 여동생 - 김종개(金終介, 1548 ~ ?) |
부인 | 청주 한씨 - 한관(韓綰)의 딸 |
자녀 | 3남 4녀# 장녀 - 김숙희(金淑姬, 1557 ~ ?) 장남 - 김수개(金守愷, 1559 ~ ?) 차녀 - 김수희(金壽姬, 1560 ~ ?) 3녀 - 김경희(金敬姬, 1562 ~ ?) 4녀 - 김덕희(金德姬, 1566 ~ ?) 차남 - 김수인(金守仁) 3남 - 김수렴(金守廉, 1574 ~ ?) |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문관.2. 생애
임진왜란 이전에는 권신 이량을 형 김경원과 함께 탄핵하다가 파직된 경력도 있을 정도로 강직한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았고, 정여립의 난으로 일어난 기축옥사를 마무리지은 명신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주요 군사 요충지의 지방관을 섭렵하고 니탕개의 난과 이어지는 여진족과의 대규모 무력 충돌 과정에서 뛰어난 군사 행정 능력을 보여주기도 하였다.임진왜란 와중에는 도원수직을 맡았으나, 전투에는 서툴렀던데다 임란 초기 도원수직의 제한된 권한까지 곁들어져 이전의 명성에 상당히 누가 되는 행동거지를 보였다. 부연하자면 도원수가 군에 있어서 포괄적인 총지휘권을 부여받은 건 권율이 올라선 직후이다. 김명원 시절에는 김명원보다 관직 경력이 높은 전직 정승들이 주변에 너무 많아[3][4] 제대로 명령이 먹혀들지 않았고, 그 결과 제한된 권한만을 행사했다. 실제로 비변사에서 도원수 김명원을 비판하는 이유 중 하나는 아니 왜 이렇게 부하 장수들 통제를 못 해?!였다. 사관 평도 '사람됨이 너무 유순해서 장수감은 아니었더라'였고.
그러나 평양성 전투때 평북 지역에서 2만여에 달하는 군사를 양성했고, 한양 탈환쯤에 경기도 일대에서 일제 징발을 통해 수천의 병력을 재차 끌어모으는데 성공하는 등 군사 행정에선 매우 탁월했다.
2.1. 초년기
1534년 사헌부 대사헌(종2품)과 예조 참판(종2품)을 지낸 아버지 김만균(金萬鈞)과 어머니 순흥 안씨 안준의(安尊義)[5]의 딸 사이의 아들로 태어났다. 퇴계 이황의 문인이다.1558년(명종 13) 식년시 생원시에 3등 38위로 입격하고 여절교위(勵節校尉:종6품 무관의 품계)로 있던 1561년(명종 16) 식년시 문과에 갑과 3위(탐화랑)로 급제했다.[6]
1562년(명종 17) 형 김경원이 홍문관 교리(校理:정5품)에 제수될 때 함께 홍문관 저작(著作:정8품)에 제수되었고, 이듬해 6월에는 홍문관 박사(博士:정7품)에 제수되었다.# 그러나 그해 7월 당시의 권신 이량(李樑)[7]을 탄핵했다가 찍혀서 '몸가짐이 바르지 않고 여색을 탐하고 술을 즐긴다'는 이유로 당시 예빈시 정(禮賓寺正:정3품)으로 있던 형 김경원과 함께 파직되었다.#[8]
하지만 한 달 뒤인 1563년 8월 당시 사헌부 대사헌 기대항(奇大恒)의 탄핵으로 이량과 윤백원을 비롯한 이른바 '6간(六奸)'이 파직되고 귀양가게 되면서 이듬해 1월 관직에 복귀할 수 있었다.# 이후 홍문관과 사헌부, 사간원 등 삼사와 관련된 요직을 역임하였다.
2.2. 임진왜란 이전
1568년 함경도 순무 어사에 임명되었고, 1569년 종성 부사가 되었다. 이후 동래 부사, 충청 감사, 의주 목사, 평안도 병마 절도사, 전라 감사 등 주로 군사적으로 중요한 외직을 돌아다녔다. 이러한 관직 경력을 통해 김명원은 '무재(武才)가 있는 데다 변방 사정을 잘 알고 있으니 만약에 사변이 있을 때는 그들에게 순찰사(巡察使)를 겸직시키면 매우 편리할 것'[9]이라는 평가를 받게 된다. 또한 전라 감사직을 맡을 당시 자신의 후임으로 심의겸을 추천했는데 이 일로 인해 동인으로 여겨지면서 탄핵되기도 하였으나 병조 참판으로 그 자리를 유지했다.1583년 니탕개의 난을 시작으로 함경도 지역 여진족과 지속적이고 대규모의 군사 충돌이 빈번하게 일어나자 조정에서는 김명원을 함경도 관찰사로 파견(1584년)하였고, 김명원은 이 자리에서 병력 동원, 물자 공급, 백성 원호 등 군사 행정에 뛰어난 역량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 좌참찬(左參贊) 겸 도순찰사(都巡察使)직으로 올라가 사실상 북변의 군사 행정 및 감찰을 총괄하는 업무를 맡으며 유력한 중신이자 군사 전문가로 이름을 날리게 된다.
이후 전라도 관찰사, 평안도 관찰사 직을 거친 후 중앙으로 복귀하여 1587년 좌참찬으로 의금부지사직을 겸하고, 1588년에는 형조 판서직을 역임. 1589년 정여립의 난으로 인한 기축 옥사를 수습하여 정국을 안정화시키고 그 공으로 평난 공신 3등에 책록되고 경림군에 봉해진다. 건저의 사건으로 정철을 비롯한 서인들이 몰락한 와중에도 사람이 좋아 적을 만들지 않았으므로 보복을 당하지 않았다.
2.3. 임진왜란 시기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순검사가 되었고, 4월 29일에 도원수직에 오른다.[10] 이는 시기로 볼 때 전방으로 나간 이일과 신립의 뒤를 받치는 군사 행정을 수행하고 최고 사령관 격인 도체찰사 류성룡을 서포트하는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그러나 도원수직에 임명되기 하루 전인 4월 28일에 탄금대 전투가 일어났다는 걸 생각하면 이는 한발 늦은 인사였다. 탄금대 전투 소식이 들려온 후 조정은 파천 준비에 들어가고, 또한 패전 소식이 한성에 퍼지면서 공황 상태에 빠져 군사들까지 대거 탈영하기 시작했던 것. 다음 방어선 구축이 임진강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던 상황에서 김명원은 한양에 주둔하면서 한강 유역의 방어선을 지키고 적을 지연시키는 임무를 맡는다.[11]
문제는, 이때 김명원의 병력은 1천여 명, 밀려오는 적군은 가토 기요마사가 이끄는 2군(총원 2만 2천 8백여 명), 또한 남한강을 도하한 고니시 유키나가의 1군도 다른 길로 접근해 오고 있었단 거다(총원 1만 8천 7백여 명). 거기다 김명원 다음가는 지휘권을 지닌 이양원은 임란 바로 직전까지 우의정을 역임할 정도의 거물로, 관직 경력으로 따지면 3정승 직을 한번도 맡은 적이 없었던 김명원보다 훨씬 우위에 있는 사람이어서 김명원이 제대로 지휘권을 행사하기도 힘들었다. 그냥 답이 없다라고 할 수 있는 상황이라 시간벌이도 제대로 할 수 없었던 것. 결국 접근한 일본군 몇몇이 한성 남쪽 언덕에서 한강을 도하하려는 시늉을 보이자 군을 물리려다가 군이 붕괴, 간신히 병력을 추스려 임진강으로 향한다.
김명원의 흑역사라면 흑역사일 수 있는 신각 사건의 문제는 이 철수 과정에서 발생한다. 조선 측이 작정하고 구축한 방어선은 임진강이었는데, 이곳으로 도착한 것은 김명원이 이끄는 군대 뿐이었고 이양원과 신각은 도착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양원과 신각은 경기도 양주로 철수해 군을 수습했는데, 하필이면 파천 과정에서의 혼란으로 인해 경기도 지역의 소식이 잠시 두절된 상태였다[12]. 따라서 조정에서는 이들이 어디서 뭘 하고 있는지 도무지 알 길이 없었다. 심지어 장계도 안올라왔다. 패전을 거듭한 이일도 장계를 꾸준히 올렸고, 충무공은 심지어 장계만이 아니라 파천한 임금이 먹고 지낼 식량과 물품까지 올려보냈는데...
결국 임진강으로 철수한 김명원은 자신과 연락이 두절된 신각에 대해 '이양원을 따른다는 핑계를 대고 도망쳤다'라는 장계를 올려버렸고,[13] 임진강 유역과 가까운 개성의 조정에서는 이를 받고는 적전 도주로 판단하고 신각을 참하라는 명령을 선전관에게 들려 경기도로 파견한다. 그리고, 나중에야 경기도에서 올라온 소식은 해유령 근처에서 신각이 수습한 병력으로 적을 격파했다는 승전보였고, 선조는 급하게 다시 선전관을 보내 신각을 죽이지 말 것을 명령하였으나 이미 신각은 처형된 뒤였다. 사실 신각은 부원수였으므로 유도대장 이양원이 아니라 도원수 김명원의 통제를 받는게 당연했고, 김명원에게 별도의 보고도 없이 유도대장 이양원을 따라간건 잘못한 일이 맞다. 한강 방어선이 무너지는 와중에 휘하 부원수가 말도 없이 사라져서 다음 집결지인 임진강에 나타나지도 않았으니 김명원 입장에서는 오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긴 했다.
어쨌든 김명원은 이후 8도 도원수로 승진해 1만 5천의 병력으로 임진강 전투에서 일본군과 맞서 싸운다. 그런데 문제가... 비변사에서 '아니 한성이 함락됐는데 김명원 저거 가만히 앉아서 수비만 하네요. 부원수라는 신각도 통제 못하고[14] 뭐하나요 저거. 도순찰사 한응인에게 독자 지휘권을 주고 공격을 맡겨서 나가 싸우라 하세요.'라고 건의하면서 지휘권이 분열되어 버리고, 결국 그 결과 5월 17일 저녁에 야습을 시도했던 한응인이 유인책에 빠져 적을 추적했다가 일본군의 계략에 빠져 군이 붕괴하자 거기에 김명원이 지휘하던 부대까지 휩쓸리면서 참패. 김명원은 공격에 반대했으나 결국 지휘권이 없었기에 설득에 실패하여 여기서 다시 패배를 경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부원수인 신각과 헤어지게 되고 김면원은 이를 빌미로 신각이 갑자기 사라졌다는 장계를 올렸는데 조정에서는 이 장계를 읽고난 뒤에 신각이 군무이탈했다고 지레 짐작하고 신각에게 도부수를 파견했으나 신각은 되려 해유령 전투에서 왜군과 싸워 이기고 왜군의 수급 다수를 올려보낸 상황이었다. 이에 선조는 신각의 참수형 집행을 중지시키기 위해 급하게 선전관을 파견했으나 선전관이 도착했을 때는 이미 신각의 참수형이 집행된 이후였다.
이후 윤두수, 이원익과 함께 평양성 수비를 맡았다. 그러나 여기서도 또다시 윤두수와 함께 야습을 걸었다가 역습에 패배. 이때 대동강의 도하 요충지까지 알려주는 실수를 해 버리면서 결국 평양성도 내어주고 철수한다.[15] 이후 이원익과 협력하여 흩어졌던 군사를 다시 모아서 순안에 주둔하여 재차 방어선을 구축한다. 일본군은 여기까지는 오지 않았다. 애초에 전력차가 컸기에 평양성 함락을 예상하고 순안에 본영을 설치하는 것을 준비했다고 한다.
순안에 주둔할 적에 평북의 지형이 험해서 더이상 일본군이 진격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위 사람들에게 말했는데, 실제로 그의 예상대로 되자 사람들이 감탄했다고 한다. 이후 평북에서 1만의 군대를 양성하는 등 조선군 재건에 노력하였다.
1593년 명나라 원병이 1차로 파견(부총병 조승훈과 3천여 명)되어 평양성 탈환을 시도하나 실패(2차 평양성 전투)하자 조선 측에서는 '중국 군대만 기다릴 순 없잖아? 우리 힘으로 탈환해 보자고' 하는 생각에 그동안 재건한 2만여 병력을 평양성으로 움직여 탈환을 시도했고, 여기서도 최종적인 지휘권을 잡았으나(3차 평양성 전투) 다시 실패.
행주대첩으로 권율이 주목받게 되자 선조는 도원수를 김명원에서 권율로 교체하려고 생각하게 된다. 이는 벽제관 전투 이후 명의 강화 교섭 시도에 대하여 조선 정부의 반대 입장을 제대로 전하지 못하는 도체찰사 류성룡과 도원수 김명원에 대한 불만, 그리고 뛰어난 전적을 올린 권율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었다. 그러나 비변사에서는 "권율이 경기 지역의 지형지물과 군사 정세를 모릅니다. 함부로 바꿨다가 혼란스러워지면 좀 문제니까 일단은 놔두죠."하는 이유를 들어 반대하였다. 결국 도원수의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대신 의병의 절제권을 부여받게 된다. 이후에 비변사에서 '류성룡은 놔두고 김명원만 권율로 바꿉시다'는 건의를 하기도 하였으나 거부되기도 했다.
이 시기에도 여전히 군사 행정과 작전 구상에 노력하였으며, 평양성 함락 이후에 경기 지역과 한양 탈환을 위한 병력 배치와 행정은 김명원, 류성룡, 이항복이 작성하였다고 한다. 또한 명나라 장수들이 그의 군사적 식견을 높게 평가하여 자문을 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일본군이 부산으로 철수한 후에도 교체 논의는 지속되었고, 6월에 권율은 김명원을 대신해 도원수가 된다.
이후에는 호조 판서, 예조 판서, 형조 판서, 공조 판서를 역임했다.
2.4. 정유재란과 종전 이후
1597년 정유재란 때에도 병조 판서로 유도 대장을 겸했고, 이후 형조 판서로 옮겨간다. 병조 판서를 이어받은 이항복과는 당파가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호흡이 잘 맞았던 모양인지 정유재란 시기에 둘은 같이 묶여서 관직을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칠천량 해전 패배 이후 이순신을 통제사로 복귀시키도록 건의한 당사자도 김명원과 이항복이었다. 이항복이 영의정으로 올라갈 적에는 우의정으로 김명원을 천거하기도 하였다. 이후 좌의정으로 보직 이동하였다.이순신을 탄핵할 때 정탁, 이원익과 함께 이순신을 옹호한 몇 안되는 중신이었다.[16] 당시 엄청난 분노를 쏟아내던 선조를 향해 이순신의 친구이자 그를 천거한 류성룡까지 선조의 분노에 눈치를 보며 이순신 탄핵에 찬성했던 상황이었고, 남인, 북인 할 거 없이 동조하고 언관들조차 건수잡았다고 신나서 실컷 물어 뜯었다. 이런 상황에서 자신의 소신을 그대로 보여준 것은 정말 대단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김명원이 이순신 탄핵 건에 중립을 지킨 이유는 이전에 신각 건으로 낭패를 봤기 때문에 이를 반면교사로 삼았다거나 또는 신각의 처형 건을 방패로 삼아 "이순신도 신각처럼 경솔하게 보내야 하겠습니까?" 라며 거리낌없이 직언을 질렀다는 해석이 존재한다.
여튼 칠천량 해전으로 조선 수군이 궤멸되었다는 소식이 조정에 전해지자 이항복과 더불어 이순신의 복직을 주장해 관철시켰다. 이때 선조는 더 이상 방법이 없음을 알기에 암묵적으로 재가는 했으나 차마 자신의 입으로 하기는 민망하고 화가 났는지 일어나 나가버렸다.
1601년에는 부원군으로 진봉되었으나 다음해에 병으로 사망했다.
3. 평가
김명원은 행정 업무를 맡을 때마다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었는데, 특히 군사와 물자를 확보하고 부대 건제를 정비하는 능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평양성 함락을 예측하고 신속히 순안에 대규모 병력을 집결시켜 고니시군의 북상을 방지하는 전략적 안목도 보여주었다.문제는 후방에서 이토록 탁월한 사람을 능력을 발휘할 수 없는 전방으로 내몰 당시의 전황. 천상 문관이었던 그는 장수를 통제하고 군을 지휘하는 데 있어서는 그다지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모두가 권율처럼 할 수는 없는 노릇인데 문관에게 떡하고 야전지휘를 맡겨 전선에 세워버리니 지휘는 지휘대로 문제고 성격도 안맞아서 위아래 모두 힘들어졌다. 도원수 재직 시기에 비변사에서 종종 올라온 탄핵 사유는 '김명원은 성격이 유순해서 장수 통제를 못한다'였다. 즉 거친 무관들을 통솔할 과단성이나 뚝심 등이 부족했다.
이로 인해 김명원은 애매한 위치에 끼어서 동네북처럼 비난을 들어야 했다. 조정에서는 제대로 공격도 안한다고 까고 장수 통제도 못한다고 깠으며, 김명원 본인은 임란 이전까지 정승을 지내지 못했는데 그 휘하에는 정승직을 경험할 정도로 격이 높은 장수들이 많아서 그런지 부하들도 명령을 잘 들으려 하지 않아서 고생이 많았다. 오늘날에는 또 신각 사건의 악역으로 낙인찍혀 부당하게 까이고 있다. 그러나 사실 이 사건은 공황 상태에 빠져 도주한 지휘관이 셀 수 없이 넘쳐났던 정황 + 장계를 제때 올리지 않은 신각 측의 실책 + 예상 못한 대규모 외침과 전면 패주 속에 강경론이 득세하던 조정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교육용 만화책인 맹꽁이 서당에서도 취급이 좋지 않아 대놓고 까였다. 철수하는 과정을 신각보다 먼저 꼴사납게 도망치면서 후퇴 작전이라고 변명하는 모습으로 그려내거나, 신각에 대해 엄하게 벌할 것을 조정에 장계 올릴 때 "이래야 도망친 내 체면이 좀 서지!"라고 말한다든가. 맹꽁이 서당 자체가 역사 자료가 많이 부족하던 시절에 그려졌기 때문에 이러한 역사 오해가 발생한 것.
임란 초기 조선측의 군 인사를 보면 실전 지휘는 도순변사 신립, 순변사 이일같은 무장들이 맡고 이를 총괄하는 역할은 도원수가 아니라 도제찰사인 류성룡이 맡으며, 도원수인 김명원은 류성룡을 돕고 신립, 이일을 지원하는 역할이었던 걸로 보이나 신립과 이일이 모두 단기간에 참패하며 도원수였던 김명원이 얼떨결에 자신에게 잘 맞지 않는 최전선으로 내몰렸던 것이 문제로 여겨진다.[17]
신각 처형 사건의 도화선으로 오인되어 인터넷에선 부당하게 원균 급으로 까인다. 상주 전투와 탄금대 전투에서 죽다 살아난 이일도 장계는 바로바로 보내서 조정이 긴급히 파천논의를 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신각이 너무 허술하게 처신했다고 밖에 할 말이 없는데 어쨌든 공세우고 억울하게 죽은 사람이라 질타를 안하고 대신 김명원만 물고 늘어지고 있다. 류성룡은 징비록에서 김명원과 신각의 일을 서술하며 신각의 죽음은 안타깝게 여겼지만(신각에게 90살 넘은 노모가 있어서 사람들이 더욱 안타깝게 여겼다는 내용이 있다) 김명원을 비난하지는 않았다.
4. 여담
문관이었지만 의외로 어릴 땐 활쏘기에 능했고 기골도 장대하였으며 장래희망이 무려 장수(!!!)였다고 한다. 심지어 『조선의 궁술』이라는 책에선 조선의 역대 뛰어난 궁술인 중 한 명으로 김명원을 꼽은 걸 보면 비록 문관이었지만 의외로 어지간한 무관들에게도 무력에서 크게 안 밀렸을 수도 있다. 근데 이 책 자체가 뛰어난 궁술인 명단에 능창군, 이순신 등 딱히 활솜씨로 유명하지 않은 사람들도 등재가 되어 있고 정작 동시기의 (이성계랑 비견될) 진짜 신궁으로 유명했던 신립이 명단에 없는 등 등재기준이 지멋대로이기 때문에, 그냥 '김명원이 문관이라 해서 무력이 전혀 없는 샌님은 절대 아니었다.' 정도로 보는 게 맞을 듯하다. 그리고 활쏘기는 조선 사대부의 일반교양이기도 했기 때문에 크게 이상한 노릇도 아니다. 그리고 김명원이 문관이었다 하더라도 군사행정 면에서 상당히 뛰어난 재능을 발휘했기 때문에 '군대와 담쌓았다'고 보기도 어렵다. 사실 그는 전형적인 군수참모, 행정장교형 인재다.후손들도 어찌됐든 정승까지 지냈던 김명원의 영향일지는 몰라도 상당히 출세한 편이었다. 숙종의 세 번째 왕비였던 인원왕후가 바로 김명원의 현손이다.
한국 대체역사물들에서는 임진왜란 시기를 다루면 무조건 등장하는데 적성이 군수참모 쪽이다보니 주인공들도 그쪽 관직을 줘서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적성에 안 맞는 곳으로 가서 빛을 발하지 못했을 뿐 능력이 없는 건 아니며 인성면에서도 흠이 없기 때문.
[1] 율리우스력 2월 6일[2] 선성군의 외증손자.[3] 1품급 산직을 가진 부원군, 군들이 넘쳐났...(...) 게다가 조선군의 총사령관이라고 할 수 있는 도체찰사가 4명이나 되어 도원수의 권한은 한정되어 있었다.[4] 이를 현대 대한민국 국군에 비유해 본다면, 합동참모의장이 군령권을 행사하려 하는데 국무총리, 부총리, 국가안보실장, 국방위원장 등 온갖 사람들이 참견하는 상황이다. 게다가 방패막이 되주고 교통정리를 해줘야 할 국방장관이 4명이라 도움은 하나도 안 되고 혼란만 가중되는 상황이다.[5] 현감(縣監:종6품)을 역임했다.[6] 이때 이 집안 전체가 과거에 여러차례 장원 급제해서 '장원 집안(壯元家)'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실제로 조부 김천령(金千齡)은 1489년(성종 20) 식년시 진사시에 1등 1위로 장원, 1496년(연산군 2) 식년시 문과에 갑과 1위로 장원 급제하였다. 김만균의 경우 1516년(중종 11) 식년시 진사시에 3등 32위로 입격하고 1528년(중종 23) 별시 문과에 갑과 1위로 장원 급제하였다. 김명원의 형인 김경원(金慶元)도 1553년(명종 8) 별시 문과에 갑과 1위로 장원 급제하였다. 여담으로 며느리 창녕 성씨의 친정아버지, 즉 바깥사돈 성순(成恂)도 1591년(선조 24) 식년시 생원시에 1등 1위로 장원 입격하였다.[7] 효령대군의 5대손이다. 당시 명종이 윤원형을 견제하기 위해 권신으로 만든 것도 있는데, 나중에는 윤원형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까지 되었다.[8] 하지만 사실 김경원-김명원 형제가 정말로 죄가 있어서 파직된 것은 아니었다. 명종실록 29권, 명종 18년 7월 22일 무술 1번째기사에 따르면 형 김경원은 당시 이량과 한 패거리이자 윤원형의 조카였던 윤백원(尹百源)과 한 기생을 두고 알력이 있었다고 한다. 이로 보아, 당시 권신들에게 미움을 받아 괘씸죄로 파직당했을 가능성이 높다.[9] 선조 실록 16년 3월 4일자 기사[10] 유도대장 이양원, 부원수 신각[11] 본래는 류성룡이 지휘권을 잡아야 했으나 이항복의 건의로 류성룡은 조정과 함께 철수.[12] 일단 기재사초 하에 있는 '임진일록 1(壬辰日錄一)에 의하면 이항복이 형조판서로 오른 만력 20년 5월 12일, 이양원이 이일, 신각 이하 장수 10여명과 군사 5천여명과 함께 대탄에 주둔하여 진격을 도모하고 있다고 아뢴 것을 보아 해유령 전투 이전 연락이 닿은 적이 있는 걸로 추정된다.[13] 도원수로서 모든 상황에 대해 조정에 보고하는 것은 사실 당연한 일이다.[14] 신각이 참형을 당한 것은 임진강 전투 이후이다(임진강 전투가 일어난 바로 그날에 비변사에서 선조에게 '신각 그거 명령 불복종 혐의로 군법대로 (처형)하겠습니다'는 건의를 하고 있다. 선조 실록 25년 5월 18일 참조). 즉 임진강 전투 당시 김명원이 신각을 죽인 일로 군심을 잃었다는 주장은 그야말로 사실 왜곡의 극치.[15] 윤두수와 김명원이 야습을 시도해 성공하긴 했다. 문제는 정신을 차리고 대응하는 일본군을 뿌리치고 빠져나올 때 겁먹은 사공들이 군사들이 배에 타기도 전에 먼저 내빼버린 것. 야습에 동원된 병사들은 어쩔 수 없이 대동강의 얕은 부분을 건너 빠져나와야 했는데 추격한 일본군이 이를 알아버렸다. 일본군이 공세가 시작될 참에 어떤 말 탄 사람이 도망치는걸 보고 누군가 "김명원이 도망친다!"라고 외쳤고 그 결과 군심이 걷잡을 수 없이 무너졌다. 윤두수와 김명원은 노약자들을 대피시키고, 병기를 파쇄한 다음 부랴부랴 평양을 빠져나왔다.[16] 정탁은 그 유명한 신구차를 올리며 이순신에게 죄가 있을 순 있으나 전쟁터에서 장수를 죽인다면 손해만 볼 것이라며 적극 변호했고, 이원익은 김명원과 더불어 일단 지켜보자는 비교적 이순신에 우호적인 의견을 피력했다. 이원익과 정탁과의 비교는 대놓고 옹호한 것(정탁)과 그 정도는 아니지만 긍정적이었던(이원익) 차이였지만 사실상 이원익도 이순신 편을 들었다 해도 무방할 것이다. 중신을 빼고 보면 이순신의 부하들과 권율이 이순신을 옹호하고 있었다. 특히 이정암의 동생 이정형은 이순신을 처벌하려 혈안되어있는 선조에게“이순신이 말하기를 ‘거제도에 들어가 지키면 좋은 줄은 알지만, 한산도는 선박을 감출 수 있는데다가 적들이 깊은 실정을 알 수 없고, 거제도는 그 속이 비록 넓기는 하나 선박을 감출 곳이 없을 뿐더러 또 건너편 안골포의 적과 상대하고 있어 들어가 지키기에는 어렵다’고 하였으니, 그 말이 합당한 듯합니다." 전략까지 설명하면서 적극적으로 변호했다. 그러나 대간의 삼사들이 모두 이순신을 까는걸 동참하고 있는 마당에 종 2품 이조참판의 발언은 높지 않았다.[17] 이 분업화가 잘 이루어진 좋은 경우가 이괄의 난이다. 명목상 도체찰사 이원익과 도원수 장만이 후방에서 선전과 보급, 행정에 힘쓰고, 야전에서는 무관 정충신과 남이흥이 이괄의 반군과 직접 맞서 싸웠다. 물론 결과는 대성공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