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1 20:13:09

임진강 전투

1. 임진왜란 초기에 벌어진 전투2. 6.25 전쟁 중기에 벌어진 전투

1. 임진왜란 초기에 벌어진 전투

임진왜란정유재란 전투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임진왜란
음력
4월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 여주 전투[朝]
5월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s-1[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6월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朝] · 율포 해전[朝] · 여주 전투[朝]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7월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전주성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8월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9월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10월
제1차 진주성 전투[朝]
12월
길주성 전투[朝] · 독성산성 전투[朝]
1593년
1월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2월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강화협상 · 휴전기 제2차 진주성 전투[日] · 송유진의 난 · 제2차 당항포 해전[朝] · 장문포 해전[朝] · 이몽학의 난 · 기문포 해전[朝]
정유재란 1597년
7월
칠천량 해전[日]
8월
고령 전투[朝] · 남원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9월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석주관 전투[日]
12월
사로병진책 ·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울산성 전투[日]
1598년
7월
절이도 해전[朝][明]
9월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日] · 왜교성 전투[日]
11월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

<colcolor=black> 임진강 전투
臨津江戰鬪
시기 1592년 6월 27일 (음력 5월 18일)
장소 조선 임진강
원인 한양 함락이후, 조선의 반격 작전.
교전국 조선 파일:조선 어기.svg 일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Goshichi_no_kiri_inverted.svg.png
지휘관 도원수 김명원
제도도순찰사 한응인
경상도 순변사 이일
유도대장 이양원
경기도 조방장 유극량
경기도 수어사 겸 남병사 신할†[1]
독진관 홍봉상†
장연현감 김여율
가토 기요마사
킷카와 히로이에[2]
병력 13,000 명 22,800 명
피해 불명 최소 수 백명
결과 조선의 임진강 방어선 붕괴.
영향 선조, 평양 포기 및 몽진 단행.
신립탄금대 전투에서 허무하게 패배하면서 한양이 풍전등화가 되자 조선 조정은 파천하게 된다. 이에 조선 조정에서는 1만 3천여 명의 병력을 동원해 임진강에 방어선을 펼치게 된다.

한편 일본군은 한성 점령 후 일단 정지하면서 이후 전략을 논의했다. 그 결과 우키타 히데이에는 그대로 서울에 머무르면서 전군을 총지휘하고, 1군 사령관 고니시 유키나가는 평양으로 가기로 하였다. 3군 사령관 구로다 나가마사는 황해도로 가서 1군을 후원하고, 2군 사령관 가토 기요마사는 함경도 방면으로 가기로 하였다. 그리고 4군 사령관 모리 요시나리(毛利吉成)는 강원도로 가서 2군을 후원하기로 하였다.

이후 선발대로 북상하던 가토 기요마사는 5월 10일 경. 임진강에 주둔한 조선군을 보고 진격을 멈추게 된다. 가토 측 강변에는 조선군이 사전에 정리를 해버렸기에 강을 건널 수 있는 배가 없었고 뗏목을 만들기에도 상황이 여의치 않은데다 강물이 불어 물살도 급했기 때문에 시간을 끌면서 서로 대치하게된다.[3]

한편 한강의 수비를 맡았던 조선군 도원수 김명원은 임진강으로 철수해 적의 상황을 보고했다. 선조는 한강 수비의 실패에 대한 책임을 묻지 않고, 임진강 수비를 명한다. 문제는 비변사에서 김명원의 소극적인 행태를 문제삼았고, 이에 선조는 때마침 진주사로 명나라로 파견되었다가 돌아온 예조판서 한응인을 제도도순찰사에 임명했다. 비변사에서 한응인을 추천한 이유는 단지 그가 김명원보다 젊기 때문인데, 문제는 김명원과 한응인 모두 무신이 아닌 문신이었다. 여기에 유도대장 이양원의 군사는 임진강 상류인 대탄에 진을 치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군의 명령계통이 셋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첫번째는 도원수 김명원과 부원수 이빈(李薲), 독진관 홍봉상(洪鳳祥), 경기도 관찰사 권징(權徵), 경기도 조방장 유극량(劉克良), 경기도 수어사 겸 남병사 신할(申硈), 검찰사 박충간(朴忠侃), 좌위장 이천(李薦), 변기 등이었다. 두번째는 제도도순찰사 한응인과 부사 이성임(李聖任)이었다. 세번째는 유도대장 이양원, 경상도 도순변사 이일, 전 부원수 신각, 김우고(金友皐) 등이었다. 병력은 도원수 휘하에 7천여명, 제도도순찰사 휘하에 서계토병 1천여명, 유도대장 휘하에 5천여명이었다.

이리하여 어명의 영향으로 조선군이 돌격준비를 하는 와중 전황변화가 일어났다. 고니시가 조선군 진영에 야나가와 시게노부[4]를 보내 항복을 권유하자, 가토 기요마사는 임진강 강변에 소수의 병사를 남기고 파주로 철수하기 시작했다.[5] 그 전까지 퇴각할 기미도 없었고 일본군 진영에 어떤 이상한 일도 일어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거짓 후퇴가 아닌가 의심되는 상황이었고 도원수 김명원도 그렇게 생각했으나... 이미 어명 때문에 돌격 작전에 시동이 걸린 마당에 전황 변화까지 일어나니 각 부대 간에는 돌격 작전에 서로 경쟁까지 하는 지경이 되었다. 김명원은 이것을 막을 수가 없었다.[6]

이 와중에 한응인은 자신이 거느린 강변 군사들에게 돌격하라는 명령을 내렸는데, 이 와중에 한응인의 사고가 터졌다. 강변군 수뇌진은 일본군의 동태가 수상하니 출전 연기를 요청했는데, 한응인은 오히려 이들의 목을 벤 것이다.[7][8] 그리고 유극량 등의 반대[9]에도 불구하고 신할 등은 임진강을 건너 일본군을 추격할 것을 명령한다. 그 결과, 신할, 유극량이 이끄는 조선군이 강을 건너가 남아있던 것으로 보이는 소수의 일본군을 물리치는 데에는 성공했으나 이내 산 뒤에 숨어있던 가토군이 튀어나오면서 조선군을 공격, 전멸시킨다. 유극량은 신할에게 퇴각하자고 외쳤는데, 신할은 유극량의 말을 무시하고 계속 싸우다 전사한다. 이에 유극량은 "여기가 내가 죽을 곳이다!"고 외치며 왜적들에게 활을 쏘며 맞서 싸우다가 전사한다. 독진관 홍봉상도 전사한다. 척후장이었던 장연현감 김여율(金汝嵂)은 이를 보고 달아나 버렸다. 강 너머에서 이 광경을 본 조선군은 사기가 떨어졌고, 박충간[10]의 도주를 시작으로 군 전체가 붕괴하였다.[11] 그리고 가토는 조선군이 타고 온 배로 강을 건너오기 시작했고 결국 김명원과 한응인도 도망치면서 허무하게 패배하고 만다.

이 전투는 지휘 계통의 문제로 조직력이 엉망인 조선군의 문제점과 정보 분석이 엉망이었던 조선 조정의 판단 미스가 겹쳐 일어난 패배였다. 조선 조정도 이런 점 때문에 김명원, 한응인 등을 처벌할 명분을 잃어 결국 별다른 처벌을 내리지 못했다.[12] 그리고 임진강 방어선까지 내주며 방어 능력을 상실한 조선 조정은 계속 북으로 도망쳐 의주까지 몰리게 된다.

https://youtu.be/9qppAdMQa14?feature=shared
토탈 워: 쇼군2 Morning Sun 모드로 이 전투를 재현한 영상이 있다.

2. 6.25 전쟁 중기에 벌어진 전투



[1] 탄금대에서 패사한 신립의 동생[2] 킷카와 가문의 문서나, 모리 가문의 문서에 따르면 가토가 아닌 킷카와 히로이에가 이 전투를 이끌었다고 한다.[3] 일본군이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르게 진군했기 때문이다. 빠르게 진군하다보니 중장비 같은건 보유할 수 없었고, 중장비가 없는 마당에 자체 보유한 선박같은게 있을리가 없었고, 뗏목을 만들어도 수만명이나 되는 병력을 실어나르는건 간단한 일이 아니다. 이후 평양성 전투가 벌어질 때도 대동강 때문에 발이 묶였고, 공성 병기고 뭐고 아무것도 없어서 뜬끔없이 강화 협상을 요청했을 정도였다.[4] 쓰시마 도주 소 요시토시의 가로.[5] 하루는 왜적이 강 언덕에 지은 여막을 불태우고 장막을 헐어치우고 군기를 거두어 싣고 물러나 도망가는 모양을 보이며 우리 군사들을 유인하는 것이었다. 신할은 평소 행동이 가볍고 날카로우나 꾀가 없어서 왜적이 정말로 도망하는 것으로 생각하여 강을 건너 뒤쫓아 가서 짓밟아버리려 하였다. 경기감사 권징도 신할과 합세하였기 때문에 김명원은 이를 금할 수가 없었다. - 징비록[6] 위에서 보듯 애초에 지휘권이 둘로 갈린 것 자체가 빨리 공격하라는 이유에서였다.[7] 이날 한응인도 또한 임진강에 이르러 모든 군사를 거느리고 왜적을 추격하려고 했다. 한응인이 거느린 군사들은 강변의 장군들로서 북쪽 오랑캐와 가까이 있어 싸우고 진 치는 형세를 자세히 알고 있었으므로 한응인에게 말하기를, "군사들이 먼 곳에서 오느라고 피로한데다가 아직껏 밥도 먹지 못하였고, 기계도 정비하지 않았으며, 뒤따라오는 군사들 또한 다 도착하지 않았습니다. 또 왜적이 물러가는 것이 참인지 거짓인지 알 수 없사오니 원컨대 조금 쉬었다가 내일 적군의 형세를 보아서 나아가 싸우도록 하십시다"고 건의하였다. 한응인은 군사들이 머뭇거린다고 하여 몇 사람을 베어 죽였다. - 징비록[8] 강변에서 임진강까지는 먼 거리다. 게다가 당시는 농사철이라 논밭에 들어갈 수 없었을 것이므로 좁은 길을 따라서 왔으며, 청천강 같은 큰 강이나 실개천을 만나서는 소단위 병력으로 건넜을 것이다. 이 와중에 뒤처진 부대가 있었을 것이며, 이쯤되면 병력들이 크게 지쳐있으며 밥도 못먹었고, 아직 도착하지 않은 부대도 있었을 것이기 때문에 병사들이 모두 도착해서 피로를 씻고 지형과 나름대로의 전투 편제를 갖춰야하기 때문에 이런 건의를 한것이다. 즉 정당한 건의다. 하지만 한응인은 오히려 참수로 대답했다(...)[9] 조방장 유극량은 나이도 많고 군사에도 익숙하였으므로 결코 가볍게 진격해서는 안된다고 극력 말하자 신할이 그를 베려고 하였다. 그러자 유극량은 말하기를 "내가 어려서부터 군사가 되어 싸움에 따라다녔으니 어찌 죽음을 피할 생각을 하겠습니까? 그렇게 말씀드리는 까닭은 나라 일을 그르칠까 염려해서입니다."라고 말하고 화를 내며 나와서는 자기에게 소속된 군사를 거느리고 먼저 강을 건너갔다. - 징비록[10] ?~1601. 애초에 이 사람은 정여립 사건 때 공신이 되고 선조의 총애를 받아 벼락 출세를 한 사람이다. 임진강 당시 도망병을 잡는 검찰사였는데, 본인이 먼저 도망간 것이다. 이 죄로 파면되었지만 1년 뒤에 다시 기회를 줘 영남·호남 지방에 파견되어 군량미 조달을 담당하였다. 1594년에는 진휼사(賑恤使)가 되어 구호에 필요한 쌀·콩 등의 신속한 조달대책을 상소하여 백성 구제에 힘썼다. 1597년 순검사·선공감제조(繕工監提調)를 역임하고, 1599년에는 충훈부(忠勳府)의 쌀·소금 등을 사적으로 이용하였다 하여 한때 파직당했였으며, 1600년 남이공(南以恭) 등의 파당행위의 폐해를 상소하였다가 집권층에 밉게 보여 여러 차례 탄핵을 받았고 그 와중에 병을 앓아 1601년 죽었다.[11] 김명원과 한응인은 강 북쪽에 있으면서 이것을 바라보고 그만 기운을 잃어버리고 말았다. 이때 상산군 박충간이 마침 군중에 있다가 말을 타고 먼저 달아났는데, 여러 사람이 바라보고는 그가 김명원인줄 알고 모두 다 부르짖기를 "도원수가 달아난다!"고 하니 강여울을 지키던 군사들은 그 소리에 응하여 다 흩어졌다. - 징비록[12] 애초에 공격하라고 독촉했던게 선조 자신이다. 한응인이 사고를 저질렀고, 조선 조정의 대신들도 이를 지적했으나, 한응인은 선조의 어명에 충실했을 따름이라 그대로 묻혀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