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c00d45 0%" {{{#!wiki style="margin: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00d45,#c00d45><tablebgcolor=#c00d45,#c00d45> | 이순신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fff> 소속 | <colbgcolor=#fff,#1c1d1f>삼도수군통제사 · 선무공신 | |
| 가족 | 아내 방수진 장남 이회, 차남 이예, 삼남 이면 조카(맏형 이희신의 아들) 이완 · 사돈(딸의 시아버지) 홍가신 19촌 족질(조카) 이광 · 이이 후손 (이봉상 · 그 외 후손) | ||
| 관련 인물 | 친구 류성룡 · 류성룡의 제자 허균 육군 동료 (선거이 · 이일 · 신립 · 권율 · 이경록) 수군 동료•부하 (이억기 · 권준 · 김돌손 · 김완 · 김억추 · 나대용 · 무의공이순신 · 배흥립 · 안위 · 오계적 · 이영남 · 이운룡 · 정운 · 준사 · 최호 · 송희립 · 우치적 · 어영담 · 황세득 · 송여종 · 신호 · 원균 · 배설 · 이언량 · 류형 · 진무성 · 정걸) 주군 (선조 · 선조비 의인왕후 · 분조 광해군) | ||
| 생애 | 생애 · 전투 관련 · 여담 | ||
| 관련 장소 | 이순신이 태어난 곳 한양 건천동 · 이순신 일가의 생가 아산 이순신의 묘소 장군묘 · 이순신의 사당 현충사 명량해전이 벌어진 곳 명량수도 · 노량해전이 벌어진 곳 남해 관음포 | ||
| 관련 사건 | 탄신일 · 니탕개의 난 · 녹둔도 전투 시전부락 전투 · 이몽학의 난 · 백의종군 임진왜란, 정유재란 해전 (옥포 해전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 · 사천 해전 · 당포 해전 · 당항포 해전 · 율포 해전 · 한산도 대첩 · 안골포 해전 · 장림포 해전 · 절영도 해전 · 초량목 해전 · 부산포 해전 · 웅포 해전 · 장문포 해전 · 명량 해전 · 절이도 해전 · 왜교성 전투 · 노량 해전) | ||
| 관련 물건 | 쌍룡검 · 백원 주화 · 충무공급 초계정 · 충무급 구축함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DDH-II) · 이순신대교 | ||
| 작품 | 장계별책 · 난중일기 · 이충무공전서 · 이충무공행록 | ||
|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 용모 · 창작물 | ||
| 평가 | 관련 기록 · 평가 · 의문점 | ||
| 창작물 | 성웅 이순신(1962) · 성웅 이순신(1971) · 난중일기(영화) · 칼의 노래 · 천군(영화) · 이순신 3부작 (명량 · 한산: 용의 출현 · 노량: 죽음의 바다) · 칼의 노래(뮤지컬) | ||
| | }}}}}}}}} | ||
| 임진왜란 및 정유재란 전투 목록 | ||||
|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C00D45,#01454F> 임진왜란 (일본군 대규모 상륙), 일본군 진격 시기 | |||
| 1592년 | <colbgcolor=#C00D45,#01454F><colcolor=#f0ad73,white> 음력 4월 |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 ||
| 5월 |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 |||
| 6월 |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日] · 율포 해전[朝] · 금화 전투[日]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 |||
| 7월 |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 |||
| 8월 |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 |||
| 9월 |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 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 |||
| 10월 | 제1차 진주성 전투[朝] | |||
| 12월 | 길주성 전투[朝] · 독성산성 전투[朝] | |||
|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 ||||
| 1593년 | 1월 |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 ||
| 2월 |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 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 |||
| 전선 고착화 및 국지전 시기, 정유재란 (일본군 대규모 재상륙) | ||||
| 1593년 | 6월 | 제2차 진주성 전투[日] | ||
| 1594년 | 3월 | 제2차 당항포 해전[朝] | ||
| 7월 | 거제도 진공작전[朝] | |||
| 1597년 | 2월 | 부산 진공작전[朝] | ||
| 3월 | 기문포 해전[朝] | |||
| 6월 | 가덕도 해전[朝] | |||
| 7월 | 칠천량 해전[日] | |||
| 일본군 진격 시기 | ||||
| 1597년 | 8월 | 고령 전투[朝] · 남원성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 ||
| 9월 |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제1차 석주관 전투[日] | |||
| 사로병진책,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 ||||
| 1597년 | 11월 | 제2차 석주관 전투[日] | ||
| 12월 |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제1차 울산성 전투[日] | |||
| 1598년 | 7월 | 절이도 해전[朝明] | ||
| 9월 |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日] · 왜교성 전투[日] | |||
| 11월 |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 |||
|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