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330d0d 0%, #a52a2a 10%, #a52a2a 90%, #330d0d)" {{{#!wiki style="margin: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52a2a><tablebgcolor=#a52a2a> | 이순신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소속 | <colbgcolor=#fff,#1c1d1f>삼도수군통제사 · 선무공신 | |
가족 | 아내 방수진 장남 이회, 차남 이예, 삼남 이면 맏형 이희신의 아들 이완 · 딸의 시아버지 홍가신 먼 친척 형 이광 · 19촌 이이 후손 (이봉상 · 그 외 후손) | ||
관련 인물 | 친구 류성룡 · 류성룡의 제자 허균 육군 동료 (이일 · 신립 · 권율 · 이경록) 수군 동료, 부하 (이억기 · 권준 · 김돌손 · 김완 · 김억추 · 나대용 · 무의공 이순신 · 배흥립 · 안위 · 오계적 · 이영남 · 이운룡 · 정운 · 준사 · 최호 · 송희립 · 우치적 · 어영담 · 황세득 · 송여종 · 김인영 · 신호 · 원균 · 배설 · 이언량 · 류형 · 진무성) 주군 (선조 · 선조비 의인왕후 · 분조 광해군) | ||
생애 | 생애 · 전투 관련 · 여담 | ||
관련 장소 | 이순신이 태어난 곳 한양 건천동 · 이순신 일가의 생가 아산 이순신의 묘소 장군묘 · 이순신의 사당 현충사 명량해전이 벌어진 곳 명량수도 · 노량해전이 벌어진 곳 남해 관음포 | ||
관련 사건 | 탄신일 · 니탕개의 난 · 녹둔도 전투 시전부락 전투 · 이몽학의 난 · 백의종군 임진왜란, 정유재란 해전 (옥포 해전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 · 사천 해전 · 당포 해전 · 당항포 해전 · 율포 해전 · 한산도 대첩 · 안골포 해전 · 장림포 해전 · 절영도 해전 · 초량목 해전 · 부산포 해전 · 웅포 해전 · 장문포 해전 · 명량 해전 · 절이도 해전 · 왜교성 전투 · 노량 해전) | ||
관련 물건 | 쌍룡검 · 백원 주화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 ||
작품 | 장계별책 · 난중일기 · 이충무공전서 | ||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 용모 · 창작물 | ||
평가 | 관련 기록 · 평가 · 의문점 | ||
창작물 | 성웅 이순신(1962) · 성웅 이순신(1971) · 난중일기(영화) · 칼의 노래 · 천군(영화) · 명량 · 한산: 용의 출현 · 노량: 죽음의 바다 · 칼의 노래(뮤지컬) | ||
| }}}}}}}}} |
| |
사당에 모셔진 나대용의 영정 초상. 상상화로, 실제 외모와는 상관 없다. | |
이름 | <colbgcolor=white,#2d2f34>나대용(羅大用) |
출생 | 1556년 |
전라도 나주목 거평면 오륜동 (현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오룡리 오륜마을)[1] | |
사망 | 1612년 1월 29일 (향년 55~56세) |
본관 | 금성 나씨 |
부모 | 부친 - 나항(羅亢) |
형제자매 | 남동생 - 나경용(羅景用) |
자 | 시망(時望) |
호 | 체암(遞菴) |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무신. 자는 시망(時望). 호는 체암(遞菴). 거북선을 개발했다고 전해지는 조선 분야 과학자이자 실제 해전에서 다수의 공을 세운 임진왜란의 장수이다.
2. 생애
1556년 전라도 나주목 거평면 오륜동(현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오룡리 오륜마을)에서 정로위(定虜衛)로 복무하던 나항(羅亢)의 두 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래로 나경용(羅景用)이라는 동생이 있었다.향교의 교생(校生)으로 있다가 1583년(선조 16) 훈련원 별시 무과에 병과 28위로 급제하여 한동안 훈련원 봉사를 지냈다. 1591년에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이순신(李舜臣)의 막하에 군관으로 들어가 거북선을 개발하는 데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옥포 해전, 사천 해전, 한산도 해전, 명량 해전, 노량 해전 등 주요 해전에 참전해 공을 세웠으며, 사천 해전에서는 탄환에 맞아 부상을 입기도 했다.
1601년 9월 경상도 고성현감에 부임하여 재임 1년간 전후복구사업을 하였다. 1606년에는 판옥선과 거북선을 개량한 창선을 개발했는데, 필요 인원을 줄여서 적은 인원으로도 효율적으로 전선을 운용할 수 있도록 개량했다고 한다.
1611년에 경기도 수군을 관장하는 정3품 교동 수군절도사에 임명되었으나 전쟁 때 입은 부상이 재발하여 부임하지 못하고 사천 해전에서 맞았던 탄환의 독으로 인해 이듬해 57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3. 기타
4. 대중매체에서
- 1962년 개봉한 영화 <성웅 이순신>에서는 배우 추봉이 연기했다.
- 2016년 KBS 드라마 <임진왜란 1592>에서는 배우 정진이 연기했다.[8] 이순신의 부장으로 나오며 이순신의 명령으로 거북선을 만들었으나 조정이 아무런 지원도 하지 않아 조정에 불만이 많다. 한산도 대첩 전 이기남과 의견 차이로 인해 비를 맞으면서 싸운다.
- 웹툰 <호랭총각>에서는 관직에 오르기 이전의 젊은 모습으로 등장한다. 실제 역사나 고증과는 담을 쌓은 판타지성이 강한 작품이라 이미 이름만 나대용인 다른 인물 같기는 하지만 관상을 봐 주는 사람이 "후일 귀인을 도와 나라에 큰 일을 할 것"이라고 인증해 주었다. 처음 등장은 노모의 병을 고칠 약을 찾던 효자로 호랭총각과 이리저리 같이 다니게 되다 보니 호형호제하는 사이가 돼서 의동생뻘 되는 위치이며 호랭총각이 암행어사가 됐을 때는 사실상 방자 역도 맡았고 호랭어사 왜구네이터 편에서 실존 인물 나대용임이 밝혀졌다.
- 2022년에 개봉한 한산: 용의 출현에서는 박지환이 연기했다. 한산에서는 사천해전에서 3층 거북선 유격장으로 나오고 안택선에 낀 용머리를 빼내기 위해 거북선 지붕 위에서 돌진하다 총에 맞고 다리를 다친다. 이후 거북선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해 용머리를 뺄까 고민하다 봉수가 가져온 자라의 목이 들어가는 것을 보고 신형 거북선에 대한 영감을 얻는다. 그리고 한산 해전에서 신형 거북선의 돌격장이 된다. 이전까진 장이수처럼 찌질한 개그 악역 이미지가 있었지만 한산에서는 거북선에 전력을 다하는 진지한 선역 연기를 잘 소화했다.
[1] 인근의 대도리·동원리·산호리·송산리와 함께 금성 나씨 집성촌이다. 오룡리 472번지에 나대용 생가가 보존되어 있다.[2] 209급 잠수함[3] 후에 성남시장을 역임했던 그 사람 맞다.[4] 이순신과 김구는 당시 우리나라에서 가장 존경받던 위인들이라 그런지 세세하게 다루어 유일하게 이 작품에서 다룬 위인들 중에서 장편으로 하여 2부로 나누어져 나왔다.[5] 이 만화는 처음부터 <명량>처럼 이순신 장군과 임진왜란을 소재로 하여 재미 위주를 위해 시나리오를 써 만든 창작 작품이며 <초롱이의 옛날여행> 이순신 편처럼 이순신과 그 주변 인물들의 역사 사실과 역사 교육을 소재로 만든 작품이 아니니 그리 비판될 것은 없다. 엔딩 크레딧에서도 작품 내 재미와 흥미를 위해 실제 역사 사실과는 다르게 각색한 것이 많다고 밝힌다.[6] 이 작품과 비슷한 시대에 이순신 장군을 다룬 작품이었던 한국위인전 애니메이션 <초롱이의 옛날여행> 이순신 편이나 당시 <중앙일보>에서 나온 어린이용 역사 이야기책인 <소중한 우리 것 재미난 우리 얘기 시리즈>의 이순신 편을 봐도 모두 나대용만이 이순신의 유일한 부관으로 등장한다. 당시로써는 이순신 장군의 부관들 중 나대용밖에 유명한 사람이 없었던 것.[7] 이후 입부 이순신에 의해 옥방에 갇혔으나 이순신이 데려와 선소 군관으로 축출되었다. 파직 사유는 무기관리 소홀, 군사검열 소홀, 공문서 관리 소홀 등. 아무튼 배속된 첫 날부터 직무태만이 문제시 되지 않는 날이 없었다.[8] 조선왕조 오백년 임진왜란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 역을 맡고 불멸의 이순신에서 임 노인을 맡은 정진과는 동명이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