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00:45:02

니탕개의 난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의 대외 전쟁·정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00d45><colcolor=#ddd>전쟁·정벌교전세력
대마도 정벌 (제2차, 제3차) 1396, 1419왜구
파일:쓰시마 소 가문 문장.svg 소 가문
4군 6진 개척 1433 ~ 1437여진족
모련위 정벌 1461여진족
정건주위(세조) 1467여진족
정건주위(성종) 1479여진족
정니마군 1491여진족
정서북로구 1492여진족
삼포왜란 1510왜구
파일:쓰시마 소 가문 문장.svg 소 가문
사량진 왜변 1544왜구
을묘왜변 1555왜구
니탕개의 난 1583여진족
녹둔도 전투 1587 ~ 1588여진족
임진왜란 1592 ~ 1597파일:고시치노키리.svg 일본 (도요토미 정권)
정유재란 1597 ~ 1598파일:고시치노키리.svg 일본 (도요토미 정권)
제2차 당포 해전 1604파일:도쿠가와 가몬.svg 일본 (도쿠가와 정권)
사르후 전투 1619파일:청나라 국기.svg청나라
흥양 해전 1622파일:네덜란드 동인도 회사.png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정묘호란 1627파일:청나라 국기.svg청나라
병자호란 1637파일:청나라 국기.svg청나라
가도 정벌 1637모문룡 휘하 명군 잔당
송산 전투 1641명나라
나선정벌 1652 ~ 1658파일:루스 차르국 국기.svg 루스 차르국
제너럴 셔먼호 사건 1866파일:미국 국기(1867-1877).svg 미국
병인양요 1866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2제국
신미양요 1871파일:미국 국기(1867-1877).svg 미국
운요호 사건 1875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니탕개의 난
尼蕩介之 亂
<colbgcolor=#C00D45,#01454F><colcolor=#f0ad73,white> 시기 1583년 (선조 16년) 1월 28일 ~ 7월 19일
장소

조선 함경도 육진 일대와 두만강 북쪽 일부
원인 야인여진의 흉년으로 인한 식량 부족과 세력 다툼
교전국 <rowcolor=black> 조선
(수세)
야인여진
(공세)
주요 인물
지휘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신립|]] (온성부사)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김수 (경원부사)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이일|]] (전라수사[1])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정언신|]] (황해도순찰사)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김시민|]] (부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틀:깃발|]] 이용 (함경남병사)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이순신|]] (종사관)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양사의|]](안원보 판관)
파일:조선 어기.svg 이봉수(만호)[2]
[[틀:깃발|
기 명칭
이이
]][[틀:깃발|
깃발 명칭
이이
]][[이이(조선)|
이이(조선)
이이
]][3] (병조판서)
지휘관

[[야인여진|
女眞
]] 니탕개
[[야인여진|
女眞
]] 율보리
[[야인여진|
女眞
]] 우을기내
[[야인여진|
女眞
]] 마니응개
[[야인여진|
女眞
]] 이창종개
전력 규모 불명 야인여진군: 30,000여 명 ↓
피해 규모 불명 규모 불명
결과 조선의 승리

1. 개요2. 배경3. 전개
3.1. 1차 전역(1월 28일 ~ 2월 16일) - 경원진 전역3.2. 2차 전역(5월 5일 ~ 7월 19일) - 종성진 전역3.3. 이후
4. 결과와 의의5. 여담

[clearfix]

1. 개요

니탕개(尼湯介)의 난은 조선 시대 선조 16년(1583년) 1월 ~ 7월에 걸쳐 함경도 북부의 6진[4]에서 벌어진 여진족의 변란을 일컫는다.

당시 여진족은 최대 3만 명[5]에 달하는 무장 세력을 바탕으로 조선 영토를 침공해 왔는데, 이는 임진왜란 직전 조선이 직면한 최대 규모의 전란이었다. 조선은 이 사건을 계기로 문제로 거론된 여러 방위체제를 재검토하여 진관 체제에서 제승방략으로 방위 체제를 전환하였다.

2. 배경

조선은 세종 시기의 북방 개척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함경도 쪽 방위에 신경을 써 왔다. 4군 6진 중 유지의 어려움으로 인해 4군을 폐한 이후에도(폐사군) 두만강 유역의 6진의 방위에 있어서는 매우 단호한 태도를 보여왔다. 김종서가 집필한 제승방략에 따르면 6진에는 봉수대가 총 82개, 수호처(순찰지)가 94곳, 후망(육상의 고정 관측 지점) 2개, 해망(해상의 고정 관측 지점) 11개 등 극히 치밀한 방위 체계가 짜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그만큼 이곳에 대한 방어 의지가 강경하였음을 뜻한다.
그러나 문제는 당시 조선의 함경북도 일대의 지리적 특성과 부족한 인구로 인해 여타 지역처럼 단일한 진과 관만으로 자체 방어가 불가능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제승방략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수호처가 매우 많고 해당 지역에서 순찰 도중 외침 발견시 즉각적으로 전투를 할 것을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함경도 북부의 인적 자원에 비해 방어할 지역이 매우 넓어 모든 요해처에 방위 병력을 배치할 수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해당 지역의 토착병들은 지속적인 전투 대비로 인해 여타 지역에 비해 확실히 그 질적 수준에서 우위에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심지어 해당 지역에서는 "남쪽 지방의 훈련된 군졸보다 우리 동네 여자들이 이곳 수비를 더 잘할 것"[6]이라는 식의 호언장담이 나돌았다는데, 이는 그만큼 그들 스스로도 자신들의 전투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높았음을 의미할 것이다.

선조 초기의 여진족들의 정세는 상당히 복잡하였다. 특히 누르하치의 발호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는데, 니탕개의 난이 일어나던 1583년은 이러한 누르하치가 본격적으로 여진족 내에서의 세력 다툼에 참여한 시기로, 명나라의 막대한 지원을 받던 누르하치의 세력 팽창은 여진족들 내부의 정세를 크게 변화시켰다. 그 과정에서 조선 근처에 거주하던 일부 번호들은 마침 몰아닥친 흉년으로 인한 식량 부족과 세력 다툼 등을 이유로 세력을 결집하여 조선을 공격할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조선은 이시애의 난과 이후 벌어진 요동의 건주 여진 토벌 이후부터 건주 여진과의 조공 관계가 끊어졌고, 중종 대 이후 해서 여진 및 야인 여진과의 조공 관계도 단절되어 여진족의 정세를 원활하게 파악할 수 없었다. 그 결과 함경북도의 6진은 사전에 이를 인지하지 못하게 되어 1583년 1월 말부터 시작된 대대적인 여진족의 침공에 직면했다. 그것이 니탕개의 난이다.

3. 전개

3.1. 1차 전역(1월 28일 ~ 2월 16일) - 경원진 전역

니탕개가 육진을 드나들 적에 우리 나라가 임시로 관직과 녹봉을 주어 후하게 대접했다. 이때가 되어 진의 장수가 대접을 소홀히 하자, 니탕개가 드디어 이웃 부락의 우을기내(于乙其乃)와 율보리(栗甫里) 등과 합세하여 잇달아 쳐들어왔다. 경원 부사 '김수'가 맞서 싸우다가 패했고, 적은 잇달아 아산과 안원 등의 진보를 함락시켰다.
연려실기술 제 13권 선조 조 고사 본말, 일월록ㆍ계미 기사

최초의 전투는 경원진에 소속된 아산보에서 벌어졌다. 당시 함경북도에서는 분위기 자체는 심상치 않다고 파악하고 있었으나, 이전과 비슷하게 식량의 약탈 수준에서 종료될 것으로 보고 별다른 준비는 하지 않았다. 그러던 중 정탐 보냈던 병사들이 여진족한테 사로잡히고 이들을 사로잡은 경원 인근의 여진족 우두머리 우을지(迃乙知)(우을기내于乙其乃)에게 아산보가 공격받았다. 그래서 경원부사(慶源府使) 김수(金璲)와 판관 양사의(梁士毅)가 군대를 이끌고 구원에 나섰으나 오히려 여진군에게 패하면서 경원성으로 철수한다.

이 소식을 들은 북병사는 북도 전역에 비상을 걸었으나, 종성(鍾城)회령(會寧)의 번호들이 우을지에게 합류해 난에 가담하면서 일은 더욱 커졌다. 그들은 삼거두인 니탕개, 우을기내, 율보리 등을 중심으로 모였으며, 특히 회령 지역의 여진족 수장 중 한 명이었던 니탕개(尼湯介)의 세력이 가장 컸다.

1월 28일, 여진족 세력은 1만여 명에 달하는 휘하 부족들을 이끌고 경원진을 공격한다. 당시 경원진 일대의 조선군 방위 전력은 435명 정도로 추정한다. 당연히 조선군은 상대가 될수 없어 수성전에 전념할 수밖엔 없었다. 그러나 경원 부사 김수와 안원보 판관 양사의는 제각각 방위구역을 정하고 방어전에 들어가나 서문을 맡았던 전 만호 이봉수가 여진족 군세의 규모를 보고 달아나는 바람에 서문이 돌파당했고 성 대부분이 약탈당했다. 그래도 무기고 및 식량 창고와 같은 주요 거점만은 조선이 끝까지 지켜내자 여진족은 일시적으로 철수했다. 이때 김수의 활약이 대단해, 적은 군사들을 데리고서 저항하여 니탕개군의 수급 40여 급을 베는 공적을 세웠으나 여진족을 패퇴시키지는 못했다.

다음날, 여진족은 무기고를 노리고 재차 공세를 가했으나 조선은 전날과는 다르게 강하게 반격해 왔으며, 때마침 온성 부사 신립이 합세하여 공격해오자 여진족은 패퇴하였다. 이에 조선군은 추격전을 벌일 생각을 가지기도 했지만 전력 차가 매우 컸기 때문에 이를 포기했다.

2월 7일, 선조와 조선 조정은 북병사 이제신이 보낸 서신을 통해 니탕개가 난을 일으켰다는 것을 처음 알았으며, 경원군이 공격당하여 피해를 입었다는 사실을 알게되자 충격을 받아 삼공과 비변사의 당상관들을 불러 대책 회의를 열었다. 선조와 대신들은 여진족의 침공 규모가 워낙 크기에 함경도 자체 병력만으로는 토벌이 어려울 것이라 생각해 경기도 이하 5도에 징발령을 내려 군사를 모집했다. 또한 오운(吳澐)과 박선(朴宣)을 조방장(助防將)으로 삼아 경군 일부를 이끌고 먼저 파견하고, 경기 감사 정언신(鄭彦信)을 우참찬 겸 도순찰사로, 도순찰사(都巡察使) 이용(李𢧳)[7]을 방어사로 특별 제수하였다가 다시 이를 조정해 남병사(南兵使) 김우서(金禹瑞)를 방어사로, 이용을 함경 남병사로 삼았다.

이때 이들이 이끌고 간 병력을 두고 선조 실록에는 용사 80명, 수정 실록에는 용사 8천여 명으로 차이가 크다. 먼저 보냈다는 기록이나 남도 일대에서 병력을 추가 모집한 것, 당시 병조판서였던 율곡 이이가 병력 확보를 위해 노력한 것 등을 볼 때 일단 선발대로 80명을 보내고, 이후 병력을 증강하여 최종적으로 8천여 명에 달하는 병력을 파견한 듯하다.

다만 선조는 '김수'와 '양사의'가 성을 빼았겼다는 급보를 듣고서 두 장수의 죄를 물어, 한양으로 압송할 것도 없이 선전관을 보내 참수하라고 명령했다.

2월 9일, 후퇴했던 여진족은 재차 전력을 정비해 훈융진을 공격한다. 당시 훈융진은 경원진 소속의 주요 진포 중 1곳으로, 두만강의 돌출된 부위를 감제하였기에 병력상 우세를 점한 여진족이 이를 최대한으로 살리기 좋은 거점이였다. 조선도 이를 알고 있어 총 23개 진포 중 3번째로 큰 방어거점을 구축했고, 자체 병력도 평시 153명으로 5번째로 병력을 많이 배치하였지만, 만 단위 이상의 전력이 투입된 여진족에 비한다면 극히 부족한 병력임에는 확실했다.

여진은 성의 사면을 포위하고 충교(衝橋)를 만들어 들이쳤고, 조선군은 필사적으로 저항했지만 훈융진은 거의 함락 직전까지 몰렸다. 그러나 황자파(黃柘坡)에 주둔 중이던 온성부사 신립과 유원 첨사(柔遠僉使) 이박(李璞)이 이끄는 조선군이 재차 구원을 오자 여진은 산맥을 타고 후퇴했다. 이때 신립은 훈융진과 훈융진 첨사 심상절을 구원하러 가던 중 공격받던 안원보를 구출했고, 안원보의 병사들은 경원진으로 철수하였다. 또한 첫 전역에서 공격받은 아산보에서도 병사들이 철수했고, 이후 여진족이 점거한 듯하다.

지속적으로 함경북도 일대의 전란이 계속되자 북도우후(北道虞候) 이인길(李仁吉)이 겁에 질려 숨어다니는 등, 함경도 일대에서는 전란에 대한 공포가 팽배했던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후방의 길주 목사 이난수도 겁을 먹고 명령에 불복종해 군대를 내지 않을 정도였다고.

이후 훈융진에서는 훈융진 첨사 심상절과 온성 부사 신립의 활약으로 여진족 수급 50여 급을 베고 패퇴시켰다.

이에 2월 16일, 조선여진족에 대한 보복 조치로 함경 북병사 이제신의 지휘 하에 온성 부사(穩城府使) 신립(申砬), 부령 부사(富寧府使) 장의현(張義賢), 훈융진 첨사 신상절(申尙節)과 군관(軍官) 김우추(金遇秋) · 이종인(李宗仁) · 김준민(金俊民) 등이 세 길로 나누어 두만강을 건너 신립과 변국간은 금득탄(金得灘) · 안두리(安豆里) · 자중도(者中島)의 450여 굴을, 신상절과 원희는 마전오(麻田塢)를, 김우추, 부령 부사 장의현, 이종인, 유중영, 권홍 등은 상가암(尙加巖) · 우을기(于乙其) · 거여읍(車汝邑) · 포다통(浦多通) · 개동(介洞) 등의 80여 굴을 불태우고 제각각 수십에서 수백여 급에 달하는 전과를 올렸다.[출처1] 이후 일시적으로 니탕개의 난은 소강 상태에 접어든다.

2월 26일, 조선 조정에서는 도호부였던 경원진의 함락을 이유로 경원부사(慶源府使) 김수(金璲)와 판관 양사의(梁士毅)를 처형하였으며 이 처형을 사흘간 연기시킨 이제신에게도 책임을 물어 파직시켰다.

선조와 조선 조정의 대응에서 주목할 만한 점을 고르자면 도순찰사와 방어사의 선발과 파견으로, 이전과는 확연히 다른데, 이전까지의 여진족 침입에 대해서는 함경 북병사를 정점으로 하는 함북 일대의 군사 지휘 체계를 유지하면서 조방장 등 보조적 지휘관만을 보내 이를 보강하는 형식이었으나 니탕개의 난에서는 북병사와 동격인 남병사(종2품)를 방어사로 임명해 파견하고, 북병사보다 우위에 있는 도순찰사(정2품)를 파견하였으며 전술했듯 경기도 이하 5도에서 병사들을 징집했는데, 이는 함경북도 자체의 방위력만으로는 방어에 성공할 수 없다는 인식을 지니고 남도 일대의 병력에 더해 후방에서의 지원군까지 함께 파견하여 전란이 함경남도까지 퍼지는 사태를 사전에 저지하고자 함으로 보인다.

3.2. 2차 전역(5월 5일 ~ 7월 19일) - 종성진 전역

경원진 전역에서 마지막 순간에 조선의 강력한 보복공격을 당하긴 했으나 경원진을 거의 함락 직전까지 몰고 간 전과는 당시 여진족들 내에서 크게 반향이 있었던 모양이다. 종성회령 일대의 번호 대부분이 가담하여 그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다.

특히 이때 여진족 중 가장 세력이 강성했던 것은 니탕개였고, 사실상 여진족 세력의 수장으로 활동한 자도 니탕개였다. 그는 조선에 귀화하였다가 다시 여진족으로 돌아간 인물로, 함경북도 일대의 지리적 상황과 방어체계를 잘 알았다.

여진족의 준동이 재차 시작된 것은 4월 말에서 5월 초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때 여진족은 기병 2천여를 두만강 건너 종성에 포진시켜 대치하면서 첩자 10여 명을 잠입시켜 상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후 5월 5일, 율보리(栗甫里)와 니탕개(尼湯介)가 이끄는 여진족 1만(선조수정실록) ~ 2만(선조실록)여가 종성진 본진을 공격했다.

조선여진족의 공격에 대응하여 도하 저지를 시도했지만, 전력상 크게 열세였기에 출장군관(出身軍官) 권덕례(權德禮)·최호(崔浩)와 그밖의 토병(土兵)들 다수가 여진군에게 피살되고 병사(兵使)도 포위되었다. 이때 종성 부사(鍾城府使) 유영립은 피해 규모를 축소 보고하여 나중에 이 사실이 들통나 11월 30일에 탄핵된다.

종성진은 당시 6진 중에서도 최북단의 진영이었던데다 종성진 후방의 행영을 지나면 두만강 하류까지 바로 통할 수 있고, 이는 곧 여진족이 함경 평야까지 진출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하기에, 종성진에 대한 공격은 조선에게는 사건의 확대를 가져올 수 있는 위험한 것이었다. 이에 조선은 화포를 쏘아대며 방어하였고, 여타 진영의 구원군이 올 때까지 수비에 전념하였다. 여기에 호정이라는, 니탕개와 사이가 좋지 않던 여진족 세력이 조선에 가담했는데, 니탕개 세력이 종성진을 공격할 때 니탕개 세력의 본거지를 불태우고 견제하여 종성진에 대한 공격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철수했다.

이후 니탕개는 세력을 정비하여 5월 13일 기명 약 1천여 명으로 종성을 재차 공격했으나 패퇴했고, 5월 16일에는 약 5천여 명이라는 상당한 병력을 모아 재차 동관진과 방원보 공략을 시도했지만 실패한다. 그러자 니탕개는 19일에 2만(또는 3만여)에 달하는 병력을 모아 동관진 한 곳을 집중공격하였는데, 종성진 공격 때와 마찬가지로 이 사실을 투을지가 조선에 밀고하여 조선군이 사전에 험지를 방어해 실패했다.

대대적인 공세가 사전의 밀고로 실패하자 니탕개는 조선에 타협안을 제시했고, 심지어는 항복하겠다는 제안도 했다. 하지만 조선은 이를 흉계로 간주하였기에 거부하며 니탕개를 원흉으로 보고 잡아 죽이려 했다. 그래서 니탕개는 다시 조선으로 돌아간다는 선택지를 포기하고, 마지막으로 병력을 모아 7월 19일, 2만여에 달하는 병력으로 방원보를 공격한다. 그러나 당시 방원보는 성 전체가 강과 하천으로 둘러싸인 요새지였던지라 주변 진영의 구원 없이도 여진족은 방원보를 함락할 수 없었다. 이후 니탕개 세력을 중심으로 모인 여진족들이 조선에 대한 공격을 멈춤으로써 니탕개의 난이 끝났다.

이때 조선의 대응은 2월의 1차 침입 때 걸었던 비상 체제를 유지하는 정도였다. 방어사로 임명되었던 김우서를 북도 병마사로 임명해 지휘권을 통일시키고, 4월여에 전라 수사였던 이일경원 부사로 임명했으며 필요로 하는 물자 요청을 그때그때 수용하였다. 또한 비정기적인 무과의 선발 인원을 대폭 늘려 이 시기 전후의 무과 선발자가 약 천여 명에 달했다.

마지막으로, 난을 시작한 경원 여진족 우두머리 우을지(迃乙知)(우을기내于乙其乃)가 조선 및 조선에 가담한 여진족들에게 건원보로 유인되어 생포되었고, 조선군에게 참수당했다.[출처2] 이때 조선에서 이를 계획한 군관이 이순신이었다고 전한다. 이는 이순신의 이름이 최초로 조정에 알려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

3.3. 이후

니탕개 세력을 중심으로 하는 여진족의 침입은 이것으로 끝났으나, 여진족들의 조선에 대한 노략질은 이것으로 그치지 않았다. 가장 유명한 것이 이순신이 첫 번째 백의종군을 하게 된 이유인 녹둔도 전투. 신립이일 또한 함경 북병사, 남병사 직을 번갈아 가며 역임하여 북방 방위에 힘썼다. 애초에 이 둘이 임진왜란 이전 조선 최고의 무장으로 평가된 것이 이 니탕개의 난 진압 과정이었다.

이런 일련의 여진족 침입은 1588년 시전부락 전투를 마지막으로 점차 잠잠해진다.

4. 결과와 의의

니탕개의 난은 임진왜란 이전 조선이 직면한 최대의 군사적 위협이었으며, 이는 조선이 전기에 비해 군사력이 문제가 많고 크게 약화되었음을 인식하게 하는 최초의 전역이었다. 특히 이때의 조선은 병력 부족으로 인해 고민했다. 이는 당시 함경도 일대가 지속적으로 닥친 자연 재해와 전염병 등으로 인해 인적 자원 자체가 심각하게 고갈되어 그런 것도 있고, 함경도 일대는 원체 인구 밀도가 적었기 때문인 것도 있다. 하지만 후방에서 이를 충원하며 지원하기 쉽지 않았다는 것은, 당시 조선의 군제가 상당히 좋지 않은 상태였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당시 무관들도 상당수는 겁먹고 제대로 싸우지 못하다가 신립이 활약한 후에야 이를 따르기 시작하는 등 지휘관들이 질적으로 심각하게 하락했음을 보여주었다. 군량미 조달 또한 한 가지 문제였다.[10]

이 때문에 조선 조정, 특히 선조는 이에 상당히 관심을 가지고 해결을 위해 부심하였다. 우선 병졸 자체를 구하기 힘들다는 데에 있어서는 군역의 대상이 아닌 공사천[11]의 신분 상승을 대가로 한 군역 편입, 군대로의 징발을 시작했다. 특히 이 징발에 선조가 적극적이었지만 사대부들의 강한 반대에 부딪치자 유연한 태도를 보였고, 사노비들을 징발하면 주인들에게 적절한 보상책을 제공해 반발을 무마하는 것으로 절충되었다.[출처3] 이는 양인 개병제가 현실적으로 무너졌음을 인지하고 이에 집착하지 않는 특단의 대책의 필요성을 인지한 것이다. 특히 무관의 질적 부족에 대해서 큰 충격을 받고는 엄벌주의로 나아가, 1차 전역에서 초전에 패전한 장수들에 대해서 사형에 처하는 등의 강한 처벌을 가해 기강을 잡았다. 동시에 무과에서 무관을 대량으로 선발하고, 서얼과 공사천 또한 무과 선발 대상임을 공시하여 신분보다는 실력에 우선시된 선발을 시도했다. 군량미에 대해서는 최초로 공납 개혁과 수미법(收米法) 등 대동법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논의가 시작되게 된다.

여기에 더해, 니탕개의 난으로 시작해 시전부락까지 여진족과의 잦은 충돌 과정에서 조선은 기존의 군제, 즉 다수의 궁기병 중심의 체제가 한계에 직면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특히, 후반으로 갈수록 여진족들은 더 잘 무장된 중기병 중심의 군 체제로 나아갔는데, 조선은 이에 대해 기존의 강력한 궁시만으로는 갑주를 잘 차려 입은 여진족 중기병에 심각한 대응력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인지했던 것이다. 또한 기병이라는 전략적 기동력이 우수한 병과를 상대로는 기존의 대형 화포는 기동력에서 부족하였기에 대응이 힘들었다.

임진왜란 이전, 조선이 이에 대응책으로 삼은 것은 총통, 특히 승자총통이었다. 당시 승자총통은 사찰에서 종을 몰수해 녹여서 총통 제조에 활용했다. 조선시대는 숭유억불 정책에 따라 불교에 비판적이었지만 몇몇 왕들은 친불교적 행적을 보이기도 했다. 태조나 세조 등이 비교적 친불교적이었고, 불교에 강경한 성향이었던 왕은 태종, 성종, 중종, 명종[13] 등이 있다. 하지만 선조불교에 별 애착이 없는 성향이라 종을 빼앗음에 주저함이 없었다. 그렇기에 이 시기 승자총통의 추가 제조는 쉽게 이루어졌고 기존의 승자총통이 포신 파열을 일으키는 사례가 많자 무쇠 대신 정철을 사용하고 포혈을 조정하는 등 승자총통의 성능 개선에도 관심을 주었다. 그리고 이 무기들은 한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해군 제독께서 요긴하게 사용한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승자총통보다 개인 화기로 더 나은 화기, 즉 조총이 대대적으로 도입되었다. 실제로 선조는 임란 이후 여진족의 준동에 있어 조총을 상당히 신뢰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광해군 대에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사르후 전투에서 과도한 조총 중시는 한계를 드러내기 시작한다. 다만 사르후 전투에서 조선 조총부대의 궤멸 원인이 조총이라는 병기의 문제만은 아니었다. 원래 조선군을 엄호하기로 약속된 명군이 워낙 형편없다보니 청군한테 먼저 당해버림으로써 차례로 무력하게 당했다고 봐야된다. 실제로 화승총의 위력을 극대화한 부대인 테르시오 자체가 기병 전력이 부실한 스페인이 프랑스, 독일로 대표되는 서유럽의 중기병들에 대항하기 위해 발전된 진형이다.

또한, 만 단위 이상의 외적은 기존의 진관 체제가 상정한 외적의 규모 이상이었으며, 이에 대응하여 경장, 즉 수도에서 내려온 장수가 함경도 전체의 군을 지휘 통솔하여 막아낸 것이 제승방략의 체제로 완전히 굳어진다. 즉, 대규모 외침에 대응하여 도 단위 이상의 군을 통합하여 방어하고, 이 지휘를 한성에서 내려온 경장이 한다제승방략이 완전하게 정리된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 제승방략이 적의 규모가 더욱 커지고, 적군의 신속한 기동으로 사전에 차단하기 힘들었던 임진왜란병자호란에서 한계를 드러낸다. 탄금대 전투에서 보듯 중앙에서 내려온 장수가 패하게 되면 속수무책이다.

전체적으로 미루어 볼 때 조선은 니탕개의 난으로 인해 자체적인 군제의 문제점을 최초로 인식할 수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노력을 시작하였다. 하지만 그 노력이 불충분했기에, 임진왜란에서 이러한 불충분한 노력은 초반의 패전과 심각했던 임진년 전황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 점에 있어 어느 정도 평가절하할 수도 있을 것이나, 니탕개의 난 이후의 노력이 없었다면 상황은 더 심각했을 것이라는 데서 이는 낮게 볼 수만도 없다.

5. 여담


[1] '김수'의 파직 이후 경원부사에 임명됨.[2] 여진족에게 서문을 돌파당하자 도주하고 기록이 없다.[3] 한양에서 군사와 물자 지급[4] 종성(鐘城), 온성(穩城), 회령(會寧), 경원(慶源), 경흥(慶興), 부령(富寧)[5] 12세기 때만 해도 "여진족 1만이 모이면 당해낼 자가 없다." 하는 평가를 받았으니 3만이면 엄청난 규모이다. 정묘호란에서 후금이 동원한 전력이 3만 남짓이었다.[6] 광해군일기 권35, 광해 2년 11월 18일 기미, 송자대전에도 북방 여인을 군졸로 쓰자는 이야기가 나온다.[7] 이때 이용은 한양에서 훈련원 소속 무관으로 복무하는 이순신이란 이름의 38세 무장을 휘하에 임명하게 해달라고 비변사에게 청하였다.[출처1] 선조실록 17권, 16년 2월 28일 신해 / 선조수정실록 17권, 선조 16년 2월 1일 갑신 / 국역 제승방략 참조.[출처2] 선조 실록 17권, 선조 16년 7월 10일 기축 / 선조실록 21권, 선조수정실록 20년 9월 1일 정해[10] 당장 조선 초기에는 무려 32만이 넘는 병력이 동원되었다는 기록도 있으나, 16세기 후반에는 최대 17만 명을 동원하는 데에 그쳤다. 사실 이는 조선이 이전 왕조들과는 달리 초기부터 사병제도를 폐지하는 등 중앙집권화를 위해 지방 군사력을 통제 했었다는 것을 감안해야하지만 정도가 지나쳐서 이게 결국 군사력을 약화시키는 원흉이 되었다. 이는 조선만 그랬던것이 아니고 동시기 명나라 또한 넒은 국토와 많은 인구에 비해 조선처럼 적은 병력만 동원하였는데 당시 명나라는 장부상 총병력 300만과는 대조적으로 실제로는 그 징집병조차 10만을 버거워했다.[11]노비, 사노비, 기타 천민[출처3] 윤호량, <선조 16년(1583년) '이탕개의 난'과 조선의 군사 전략>, 고려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10년. 30p ~ 31p[13] 초기엔 약간 친불교적이었지만 어디까지나 어머니인 문정왕후 영향이었지 문정왕후 죽자마자 승과고 도첩제고 뭐고 다 없애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