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fff,#101010> 정사(正史) 국가 공인 역사서 | 삼국사기 (▶ 관련 틀) | 고려사 (▶ 관련 틀) | ||||||
실록(實錄) 제왕의 일대기를 다룬 편년체 기록물 | †고려실록 | 조선왕조실록 (▶ 관련 틀) | |||||||
절요(節要) 방대한 정사 기록을 요약한 기록물 | 고려사절요 | 삼국사절요 | |||||||
기전(紀傳) 정사 이외에 기전체를 적용한 기록물 | 휘찬려사 | 동사세가 | 동사찬요 | ||||||
동사 | |||||||||
통감(通鑑) 통치에 도움이 되는 기록물 | 동국통감 | ||||||||
강목(綱目) 강목체를 적용한 기록물 | 동사강목 | 동국통감제강 | †본조편년강목 | ||||||
여사제강 | 동사회강 | 대동사강 | |||||||
국조정토록 | |||||||||
사략(史略) | †본조사략 | 동국사략 | |||||||
일기(日記) 국가 공문서 | 승정원일기 | 일성록 | 동궁일기 | ||||||
각사등록 | 비변사등록 | ||||||||
역사시(歷史詩) | 응제시주 | 제왕운기 | |||||||
기타 | 삼국유사 (▶ 관련 틀) | †개황력 | 대사편년 | ||||||
대사기 | 속무정보감 | 국조통기 | |||||||
발해고 | 해동고승전 | 동국병감 | |||||||
단군세가 | 기자지 | ||||||||
해동명장전 | †단군고기 | †신라고기 | |||||||
†백제고기 | †해동고기 | †본국고기 | |||||||
†삼한고기 | †고려고기 | 연려실기술 | |||||||
동사보유 | 동국역대총목 | 열조통기 | |||||||
해동역사 | |||||||||
기타 실전(失傳) | |||||||||
<colbgcolor=#fff,#191919> 고구려 | †유기 | †신집 | |||||||
신라 | †국사 | †제왕연대력 | †화랑세기 | ||||||
백제 | †백제기 | †백제신찬 | †백제본기 | †서기 | |||||
고려 | †구삼국사 | †가락국기 | †편년통록 | †왕대종족기 | †성원록 | †금경록 | |||
위서(僞書) | 환단고기 | 규원사화 | 단기고사 | ||||||
부도지 | 화랑세기 박창화 필사본 | 격암유록 | |||||||
†: 실전(失傳)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 |||||||||
번외: 현대 역사서 한국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ddd>전쟁·정벌 | 교전세력 |
대마도 정벌 (제2차, 제3차) 1396, 1419 | 왜구 | |
제1차 파저강 야인 정벌 1433 | 여진족 | |
제2차 파저강 야인 정벌 1437 | 여진족 | |
4군 6진 개척 1434 ~ 1443 | 여진족 | |
모련위 정벌 1461 | 여진족 | |
정건주위(세조) 1467 | 여진족 | |
정건주위(성종) 1479 | 여진족 | |
정니마군 1491 | 여진족 | |
정서북로구 1492 | 여진족 | |
삼포왜란 1510 | 왜구 | |
사량진 왜변 1544 | 왜구 | |
을묘왜변 1555 | 왜구 | |
니탕개의 난 1583 | 여진족 | |
녹둔도 전투 1587 ~ 1588 | 여진족 | |
임진왜란 1592 ~ 1597 | ||
정유재란 1597 ~ 1598 | ||
제2차 당포 해전 1604 | ||
사르후 전투 1619 | ||
흥양 해전 1622 | ||
정묘호란 1627 | ||
병자호란 1637 | ||
가도 정벌 1637 | 모문룡 휘하 명군 잔당 | |
송산 전투 1641 | 명나라 | |
나선정벌 1652 ~ 1658 | ||
제너럴 셔먼호 사건 1866 | ||
병인양요 1866 | ||
신미양요 1871 | ||
운요호 사건 1875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서울 흥인지문
1.#26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
1.#76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당진 안국사지 석탑
1.#126 경주무장사지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
1.#176 순천 송광사 금동요령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1.#226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269-3.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3 269-4.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7(2007)}}}
1.#276 군산 발산리 오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
1.#326 이순신 유물 일괄 326-2. 옥로 1.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 1. 금동약사여래입상 1.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1.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1.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3) 1.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1. 금동보살입상(1963-2) 1. 통도사 청동 은입사 향완(1963) 1. 석조비로자나불좌상 1. 정지장군 갑옷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1.#376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금동여래입상(1964)
1.#426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
1.#476
[31]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제46호로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장계 홍패 및 장말손 백패·홍패
523-3. 석보상절 권11}}}
1.#526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 {{{-2 526-1.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해동명적 526-2.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원조오잠, 사산오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시용향악보
1.#576 봉업사명 청동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0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01 대구 도학동 승탑 1.#626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51~7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51 연안 이씨 종중 문적
1.#676 영천 화남리 석조여래좌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01~7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01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경
1.#726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51~8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51 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4
1.#776 환두대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801~8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801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1.#826 김제 귀신사 대적광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851~9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851 창경궁 관천대
875-1.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7~10 1.#876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50] 보물 제875-1호로 지정번호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901~9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901 권벌 종가 고문서
1.#926 수월관음보살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951~10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951 선조국문유서
1.#976 상지은니 묘법연화경 권5~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01~10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01 양산이씨 종가 고문서
1.#1026 청자 양각도철문 방형 향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51~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51 분류두공분시(언해) 1051-1.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3 1. 천태사교의 1. 진언권공(언해) 1. 백자 병 1. 백자 태항아리 1. 백자 청화철화삼산뇌문 산뢰 1. 백자 청화 ‘망우대’명 초충문 접시 1. 백자 청화칠보난초문 병 1. 백자 청화초화문 필통 1. 백자 철화끈무늬 병 1. 백자 철채 뿔잔 1. 분청사기 철화당초문 장군 1. 백자 청화매월십장생문 팔각접시 1. 백자 청화운룡문 항아리 1.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1991) 1. 백자 청화화조문 팔각통형 병 1.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1.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유개항아리 1. 분청사기 음각수조문 편병 1. 분청사기 박지모란문 장군 1. 청자 유개항아리 1. 초조본불설우바새오계상경 1. 초조본 아비담팔건도론 권24 1.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3 1.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6 1.#1076 김천리 개국원종공신녹권
1. 벽역신방 1. 신찬벽온방 1087-1. 신찬벽온방(1991-1) 1. 언해태산집요 1088-1. 언해태산집요(1991-1) 1. 동인지문오칠 권7~9 1. 권근 응제시주 1090-1. 권근 응제시주(1991) 1. 제왕운기 1091-1. 제왕운기(1991) 1.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1. 불과환오선사벽암록 1. 인천안목(1991) 1.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복장전적일괄 1. 오희문 쇄미록 1. 염제신 초상 1. 감지은니 미륵삼부경 1. 감지금니 미륵하생경 1. 상지은니 불설보우경 권2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01~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101 상지은니 대반야바라밀다경 권305
1.#1126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별행소
[60] 보물 제569-22호 및 제569-23호으로 지정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51~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151 청동 옻칠 발걸이
1.#1176 유수 초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201~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201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
1.#1226 조흡 고신왕지(199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251~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251
1.#1276 인제 한계사지 북 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301~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301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1306-1. 묘법연화경(2001) 1. 고흥 능가사 대웅전 1. 홍진 호성공신교서 1. 영암 엄길리 암각 매향명 1. 나주 불회사 대웅전 1. 순천 선암사 대웅전 1.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1.#1326 함창상원사사불회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351~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351 통도사 괘불탱
1.#1376 순천 송광사 티베트문 법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401~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401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1.#1426 수월관음도(200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451~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451 청자 상감운학국화문 병형 주전자
1.#1476 김시민 선무공신 교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1~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01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괄
1.#1526 부산 범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2 1543-1.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9~10 1543-2.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51~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51 진천 영수사 영산회괘불탱
1.#1576 김천 직지사 대웅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601~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601 천하여지도
1.#1626 김현성 필적
1. 숙종어필 칠언시 1. 영조어필 1631-1. 영조어필-숙빈최씨사우제문원고 1. 정조어필 1632-1. 정조어필-신제학정민시출안호남 1. 구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1.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1. 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1.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 1.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1. 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 1.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지눌진영 1. 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 1. 상주 남장사 감로왕도 1. 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 1. 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 1. 예천 용문사 천불도 1. 안동 광흥사 동종 1. 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 1.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 1.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1.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1.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651~17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651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
1.#1676 윤순 필적 고시서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701~17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701 하동 쌍계사 동종
1.#1726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751~18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751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1.#1776 영가진각대사증도가(2012)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801~18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801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
1.#1826 양산 통도사 영산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851~19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851 논산 쌍계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1.#1876 완산부지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901~19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901 조선왕조의궤 1901-1. 조선왕조의궤(2016-1) 1. 제주향교 대성전 1. 고려 수월관음보살도 1.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출토 사리장엄구 1. 서울 청진동 출토 백자항아리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1.#1926 협주명현십초시
[84] 가치상실이나 승격 등으로 인한 지정해제와는 달리 대명률은 지정 사실 자체가 취소되었다.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951~20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951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 1.#1976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01~20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01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
1.#2026 김천 직지사 괘불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51~2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51 안동 체화정
1.#2076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및 복장유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100~2142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101 순천향교 대성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1)]⠀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2021.11.19 - 2022.11.2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2]⠀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2.11.25 - 2023.12.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3]⠀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3.12.26 - 2025.09.04
* 고창 문수사 대웅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4]⠀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1. 개요
國朝征討錄. 조선 전기 일어난 7차례의 대외 정벌사를 기록한 책. 보물 제1511호이며, 국내 유일본이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으며 임진왜란 때 왜군이 탈취해 간 자료를 다시 베낀 필사본이 일본에 한권 남아있다.2. 내용
국조정토록의 최초 편찬자와 저술 과정은 불확실하다. 책에 기록된 마지막 전쟁이 삼포왜란(1510년)이고 임진왜란(1592년 ~ 1598년) 당시 일본으로 유출된 점으로 미뤄 보아 1510년 ~ 1592년 사이에 간행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을 뿐이다. 기록상으로는 광해군이 국조정토록을 본 후 그 중요성을 인식, 재간행할 것을 명령하고 사고(史庫)에 보관하도록 지시한 것이 최초다.세종 원년(1419년) 대마도 정벌 부터 중종 5년(1510년) 삼포왜란 토벌전까지 조선 전기에 단행된 총 일곱 차례의 전쟁 기록을 담고 있다.
2.1. 정대마도(征對馬島)
1419년(세종 원년) 음력 6월 1일에서 7월 3일까지 대마도를 정벌한 내용.5월 5일 왜선 32척이 충청도 비인현(庇仁縣)[1] 도두음곶(都豆音串)에 습격하여 우리 병선(兵船) 7척을 불사르자 5월 16일 상왕(태종)이 주재하는 의정부 회의에서 정벌을 단행하기로 결정, 6월 19일 병선 227척, 장교 669, 갑사 및 병사 기선군 등 16,616인 총 17,285인을 인솔하고 군량 65일분을 가지고 출정했다.
19일 두지포에서 적선 129척을 빼앗아, 20척을 취하고 모두 불태웠다. 민가 1939호를 불태우고, 114명을 참수하고 21명을 포로로 잡고, 잡혀있던 한인(漢人) 남녀 131인을 얻었다. 훈내곶에 목책을 세워 오래 주둔할 뜻을 보였으며, 다시 진격하여 민가 68호와 선박 15척을 불태우고, 적 9명을 참살하고 잡혀있던 한인 15명, 본국인 8명을 얻었다. 도도웅와(都都熊瓦)가 서신을 보내 군대의 철수를 빌었고, 또한 태풍이 올 시간이 임박하여 7월 3일 거제에 귀환하였다. 아군 전사자는 편장 박홍신 등 4명과 백수십 명의 전사자를 내었다.
자세한 전개에 대해서는 기해동정 항목 참조.
2.2. 정파저강(征婆猪江)
1433년(세종 15년) 음력 2월 27일에서 4월 20일까지 건주위 여진 이만주(李滿柱)를 토벌한 내용.건주위 여진 이만주가 홀라온(火刺溫)[Hūlun] 야인인 것처럼 위장한 400여 기를 몰고 와 여연군을 침입하여 많은 인민과 가축을 약탈해 갔는데, 세종 15년(1433년) 정월 8일 거짓말을 하며, 64명만 송환했다.
조선측 정벌군은 우선 이순몽이 2,515명을 거느리고 이만주가 머무르는 본진으로 향하고 최해산은 2,070명을 거느리고 차여(車餘) 등처로, 이각은 1,770명을 거느리고 마천(馬遷) 등처로, 이징석은 3,010명을 거느리고 오랄 등처로, 김효성은 1,888명을 거느리고 임팔랑보가 사는 근거지로, 홍사석은 1,110명을 거느리고 팔리수 등처로, 최윤덕은 2,599명을 거느리고 림파랄 등의 소굴을 향했다.
최윤덕은 남녀 62명을 포로로 잡고, 98명을 사살하고 말 25필, 소 27마리를 얻고 전사자 4명, 말 2필을 잃었다. 이순몽은 남녀 56명, 최해산은 남자 1명, 참수 3명, 이각은 남녀 14명 생포, 말 11필, 소 17마리를 얻었다. 이징석[3]은 남녀 56명, 참수 5명, 말 25필, 소 33마리, 김효성은 남녀 66명, 13명 죽이고 말 6필, 소 12마리를 얻었다. 홍사석은 남녀 생포 31명, 사살 21명, 소 21마리를 얻었다.
2.3. 정건주위(征建州衛)
1467년(세조 13년) 음력 9월 24일에서 10월 4일까지 건주위 여진 이만주(李滿柱)를 토벌한 내용.4월 29일 건주위 여진이 쳐들어와 분탕을 치자 복수하려던 중 9월 13일에 명에서 협공 요구가 오자 정벌을 결정하였다. 중추부지사 어유소(魚有沼)가 좌상대장(左廂大將), 동지사 남이(南怡)가 우상대장, 우참찬 윤필상을 선위사(宣慰使), 진북 장군 강순(康純)을 서정주장(西征主將)으로 삼아 공격하였다. 기병 2,753명, 보병 2,646명을 좌군으로, 기병 2,685명, 보병 1,752명을 우군으로 삼고 정예 병력 600명을 중앙으로 삼아 약 만여명이 출정했다.
첫날 건주위의 추장 이만주, 고납합 등 24명을 참하고, 24명을 포로로 잡고, 잡혀있던 한인(漢人) 6명을 구출하고, 말 18필, 소 15마리를 얻고 무수한 집과 재물을 취했다. 유자광이 큰 나무 껍질을 벗겨
"조선주장(朝鮮主將) 강순(康純)이 정병(精兵) 1만(萬)을 인솔하여 건주위를 멸하였다"
고 써 놓고 하루를 기다려도 명군이 오지 않자 회군하다가 적 100명의 급습을 받았으나 좌우에서 협공, 조선군 피해없이 모두 사살하였다. 다시 회평에서 4명을 참하고, 강변에서 1명을 참수 8명을 사살하였다. 올미부를 넘어 890명이 대항하자 13명을 참하고 사살자 30여 명에 소 50마리, 말 2필을 얻었다. 여진족의 집과 그들이 쌓아 놓은 곡식을 모두 불태운 후 큰 나무에 껍질을 벗기고,
"조선국 좌상(左廂) 장군(將軍) 어유소(魚有沼)가 정병(精兵) 1만을 거느리고 올미부(兀彌府)에서 천병(天兵)[4]을 기다렸으나 오지 않음으로 돌아 간다."
라고 써 놓았다. 이숙기 등이 13명을 사살하고 잉화평(仍火坪)에 이르러 여진족 100여 기의 공격을 받자 30여 명을 사살하였다. 이후 "싸움에서 대승이 귀한 것이며, 더욱 귀한 것은 군사의 피해가 없음이다"이라 하고 귀환하는 척한 후 매복하고 기다리던 적 군사 7명을 사살하였다. 30여 명이 투구와 갑옷을 입고 20명을 인솔하고 산 허리에서 말을 달려 대장에게 공격해오자 대장이 직접 적 두 명을 사살하고 공격해오는 적 한 명을 죽이니 모두 도망쳤다.
10월 4일 주장 강순이 이산(理山), 우상대장 남이는 강계로 돌아왔고, 이보다 앞서 3일에 좌상대장 어유소가 이산으로 귀환하였다.
2.4. 정건주위(征建州衛)
1479년(성종 10년) 음력 12월 1일에서 12월 16일까지 건주위 여진을 토벌한 내용. 도원수(都元帥)는 윤필상(尹弼相)이었고 출정 대장은 어유소(魚有沼)였다. 평안도 군사 7,000명, 황해도 군사 2,000, 함경도 군사 1,000명 등 국경 수비대로 총 10,000명을 차출하여 후원군으로 편성 대기시킨 후 도원수가 기병 950명을 인솔하고 12월 13일 도강하여 공격하고 돌아왔다.적 15명을 참수하고, 2명의 귀를 베어 왔고, 조선인 포로 15명, 중국인 포로 여자 7명을 얻어 왔다. 아군 피해는 사망 1명, 병사자 2명이었다.
2.5. 정니마군(征尼麻軍)
1491년(성종 21년) 음력 10월 18일에서 11월 2일까지 만주의 우디거(兀狄哈) 여진 니마거(尼麻車)를 토벌한 내용. 정월 12일에 니마거 여진족이 함경도 조산보(造山堡)를 습격하여 사람과 가축을 약탈하자 이에 응징하기로 결정했다.기병 17,200명, 보병 2,800명으로 군사합계 20,000명을 동원하였으며 그중 3,375명을 선봉 부대로 삼아 만주로 진격했다. 적 200여 기와 싸워 잡힌 9명을 참하고 전투 중 많은 적을 사살하였으나 대군이 동원된 걸 알고 대부분 도망을 갔으므로 적들의 소굴로 돌입, 집과 농지를 모조리 불태우고 돌아왔다.
2.6. 정서북로구(征西北虜寇)
1492년(성종 22년) 음력 8월 20일에서 22일까지 압록강 너머의 건주위 여진을 토벌한 내용. 여진족들이 지난해 조선측의 침략에 대한 보복을 기획하고 있다는 소문을 듣자 출정, 고산리 강변에서 적 500여명과 싸워 잡힌 적 39명의 목을 베고, 화살을 맞춰 익사시킨 적이 50여명, 그 외 적의 병기를 모두 노획했다.2.7. 정삼포반왜(征三浦叛倭)
1510년(중종 5년) 4월 19일에 삼포에서 폭동을 일으킨 왜인들을 토벌한 내용. 삼포왜란 항목 참조.3. 의의
정벌의 원인, 지휘 체계, 작전 지시, 동원 병력과 군량, 공격 과정과 전과, 전후 포상 등 정벌과 관련된 모든 과정을 자세하게 서술해 조선 시대 전쟁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또한 조선왕조실록은 편년체의 자료이기 때문에 전쟁 기사가 집중되어 있지 않고 날짜에 따라 분산되어 서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기사가 사이 사이에 많이 끼어들어 있어 일반인들이 이에 대해 집중하기 힘들다. 그러나 이 책은 전쟁에 관한 기사만을 뽑아 놓았기 때문에 전쟁의 전체 상황을 이해하기 쉽다.
그리고 이 책은 성리학적 강목 의식이 강하게 투영되어 광해군 대의 정치적 성향을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자료다.
국조정토록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본이 국내 유일본이고, 2007년 보물 1511호로 지정되었다. 1946년 이후 언제인가에 고서 수집가인 윤석찬이 통문관(通文館)에서 구입한 것을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사들인 것이라고 전한다.
일본에도 필사본 한 권이 있는데 1965년 한일국교 정상화 과정에서 반환문화재 목록 속에 일본 전사본이 끼어 있었다. 일본판은 뒤에 서국조정토록후(書國朝征討錄後)라는 발문이 붙어 있다. 발문에 따르면 임진왜란 중에 조선에서 탈취해 온 책 중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바쳤던 수백 권의 책 중 하나로, 발문을 지은 마나세(曲直瀨)의 선조는 히데요시의 주치의 마나세 쇼린(曲直瀨正琳·?~1611)으로[5] 임진왜란을 개탄스럽다고 적어놓아 임진왜란을 히데요시가 광기(狂氣)를 부린 전쟁으로 인식하던 일본 유학자들의 역사관을 전하고 있다.
일본에서 소장하게 된 국조정토록은 초서(필기체)로 되어 있어서 고쳐 쓰지 않으면 쉽게 읽을 수가 없었는데, 1796년 무렵에 에도 막부의 대학두 집안인 하야시 가문의 8대 당주 하야시 주사이(林述齋· 1768~1841)는 제자인 오고 요시노리(大鄕良則)에게 초서로 된 국조정토록을 해서(정자체)로 고쳐 쓰도록 지시했다. 일본 전사본의 경우 미처 탈초를 못한 초서체 흔적이나 탈초 과정에서의 오자(誤字)도 있긴 하지만 장서각 소장본의 일부 누락된 글자를 보완할 수 있어 가치가 높다고. 일본 전사본 국조정토록의 마이크로필름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국조정토록은 2009년에 대한민국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에서 역주 출간되었다. 군사편찬연구소 사이트에서 PDF 번역본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관심있는 사람은 일독을 권한다. #
4. 외부 링크
5. 보물 제1511호
이 책은 조선 세종에서 중종조에 이르는 동안 대마도, 파저강, 건주위, 이마차, 서북로구, 삼포왜란 등을 정벌한 역사를 기록한 것이다. 체재를 보면 목록과 범례에 이어 상권에는 대마도 정벌(征對馬島)·파저강 정벌(征婆猪江)·건주위 정벌(征建州衛)이, 하권에는 건주위 정벌(征建州衛)·이마차 정벌(征尼麻車)·서북로구 정벌(征西北虜寇)·삼포반왜 정벌(征三浦叛倭)이 수록되어 있다.
서술의 체재는 각 전쟁별로 연대에 따라 강목체(綱目體)로 기술되어 있는데, 범례에서 말하고 있듯이 조선의 군사행동은 정(征) 또는 토(討)로 칭하고 적병은 구(寇) 또는 반(叛), 적을 격파한 경우는 참(斬) 또는 로(虜)로 표현하는 등 역사적 사실에 포폄(褒貶)을 행한 통감강목의 서례(序例)를 따르고 있다.
'광해군일기'(태백산사고본) 광해군 6년 7월 29일 기묘조(己卯條)에, 당시까지 사본의 형태로 유포되고 있었던 '국조정토록'은 광해군 6년 이후에 활자로 인출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이익의 '성호사설(星湖僿說)' 경사문(經史門)의 기록에서도 활자로 인출된 후에도 구하여 보기 쉽지 않은 책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국조정토록'은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유일본으로 희소가치가 있으며 조선 전기 전쟁사나 서지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서술의 체재는 각 전쟁별로 연대에 따라 강목체(綱目體)로 기술되어 있는데, 범례에서 말하고 있듯이 조선의 군사행동은 정(征) 또는 토(討)로 칭하고 적병은 구(寇) 또는 반(叛), 적을 격파한 경우는 참(斬) 또는 로(虜)로 표현하는 등 역사적 사실에 포폄(褒貶)을 행한 통감강목의 서례(序例)를 따르고 있다.
'광해군일기'(태백산사고본) 광해군 6년 7월 29일 기묘조(己卯條)에, 당시까지 사본의 형태로 유포되고 있었던 '국조정토록'은 광해군 6년 이후에 활자로 인출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이익의 '성호사설(星湖僿說)' 경사문(經史門)의 기록에서도 활자로 인출된 후에도 구하여 보기 쉽지 않은 책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국조정토록'은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유일본으로 희소가치가 있으며 조선 전기 전쟁사나 서지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1] 현재의 서천군 비인면.[Hūlun] 송화강의 지류인 후란하 유역에 거주하던 여진족들을 가리킨다. 울라(烏喇, ula) · 하다(哈達, hada) · 여허(葉赫, yehe) · 호이파(輝發, hoifa)의 4개 부로 이루어져 정치적 동맹체를 이루고 있었고, 그 수장격인 존재가 울라 부족이었다.[3] 김종서와 더불어 북방의 맹장이라 평가받았던 '멧돼지' 이징옥의 형이기도 하다. 물론 무장으로써의 능력과 달리 인성은 완전히 개차반이라 아버지 유언 무시하고 다른 곳에 산소 쓰려는 것을 말리는 동생을 아버지 빈소에서 두들겨 팬 패륜짓에 더해 막내동생과 함께 계유정난에 참여한 흑역사로 더 유명하다.[4] 명나라 군사를 말한다.[5] 쇼린은 마나세 집안에 데릴사위로 들어왔다. 마나세 집안은 마나세 도산(曲直瀬 道三, 1507~1594)을 비롯해 에도 시대까지 의사로 이름을 떨쳤고, 도산의 경우 아시카가 요시테루의 병을 치료하여 명성을 얻었다. 이후 마나세 쇼린이 이에야스를 섬겨 에도로 이주해 요안인(養安院) 가문의 시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