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근정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의 보물 | |||||||||||||||||
811호 | ← | 812호 | → | 813호 | ||||||||||||||
경복궁 아미산 굴뚝 |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 | 창덕궁 인정문 |
}}} ||
대한민국 보물 제812호 | |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 景福宮 勤政門 및 行閣 | |
소재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
수량 | 2동[1] |
지정연도 | 1985년 1월 8일 |
제작시기 | 조선 시대, 1395년 창건, 1867년 중건 |
<colbgcolor=#bf1400> 근정문[2] |
[clearfix]
1. 개요
경복궁 정전인 근정전의 정문이다.2. 역사
1395년(태조 4년)에 경복궁을 창건하면서 함께 세웠으나 임진왜란으로 불탔고 1867년(고종 4년) 경복궁 중건 때 다시 지었다.고종 시기에 중건할 때, 위치 등은 개국 초와 비슷하나 상세한 일부 부분은 달라진 듯 하다. 본래 행각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부출입구[3]가 문과 가까이 붙었으며, 주변 행각도 단랑이었던 것을 복랑으로 지었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청사가 정말 근정문 바로 앞까지 들어섰었다.[4] 근정문 앞에 있던 흥례문은 헐려 사라지고, 금천은 메워졌다. 그럼에도 근정문은 무사했고 6.25 전쟁의 화마도 무사히 비껴가 오늘날까지 옛 모습대로 남아있다. 그 역사성을 인정받아 1985년에 보물 제812호로 지정받았다.
3. 구조
-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목조 건물이다. 가운데 칸은 임금만이 다니는 어칸이라 하여 높이가 좌, 우 칸보다 더 높다. 어칸 남쪽 계단에는 서수 조각과 답도가 놓여있다.
- 지붕은 우진각지붕, 처마는 겹처마, 공포는 다포 양식이다. 용마루와 추녀마루는 양성바름을 했고 그 위에 용두와 취두, 잡상을 올렸다. 단청은 모로단청으로 칠했다.
- 근정문 안쪽으로 들어가면, 동쪽에 2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이 있다. 2층 창방 아래에는 빗살무늬 창문이 있다.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의 근정전 동행각 내부 구성도 |
《북궐도형》의 근정전 서행각 내부 구성도 |
4. 기타
- 고려의 근정문, 즉 고려 법궁 정전의 정문은 회경문(會慶門)이다. 태조 ~ 현종 초까진 만월대의 정전이 천덕전이었기에 정전 정문도 천덕문(天德門)이었다. 하지만 현종이 만월대를 재건하며 정전을 새로 지어 천덕문은 밀려나고 회경문이 정전 정문이 되었다.
- 조선 왕들의 즉위식장으로도 쓰였다. 정전이 아닌 정전의 정문에서 거행한 이유는 대부분 선왕의 장례기간에 즉위식이 열리기 때문에, 슬픈 상황에서 즉위해야 했기 때문이다.# 2대 정종을 시작으로 4대 세종, 6대 단종, 7대 세조, 9대 성종, 11대 중종, 13대 명종, 14대 선조까지 임금 8명이 이 곳에서 왕위에 올랐다.
[1] 근정문 및 근정전 행각.[2]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3] 일화문, 월화문. 일화문은 문신이 드나들고, 월화문은 무신이 드나들었다.[4] 아스팔트 도로를 사이에 두고 중앙청 후문과 마주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