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18:20:52

창덕궁 인정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대보단
건무문 광지문 수문
청의정 태극정 농산정 옥청문
농포
소요암 옥류천
소요정 수문
취한정
수복방 신선원전 진설청
괘궁정 취규정
재실
능허정
의효전 사가정 청심정 천향각
몽답정 산단
백운사
천성동 태청문
청연각
존덕정
외삼문 폄우사 척뇌당
관람정
한려청 반도지
승재정
부군당
반빗간 태일문
통벽문 우신문 농수정
연경당 선향재
국출신직소 수인문 장양문
장락문
창덕궁 애련정 수궁
어수당 애련지
불로문
석거문 금마문 영춘문
운경거 의두합
희우정 천석정
서향각 주합루
어수문
사정기비각 부용지 영화당 춘당대 서총대
부용정
요금문 수문장청 서소 개유와 열고관
창송헌 수정전 가정당
수궁 습취헌 집상전
영모당
생물방 경복전 경훈각 징광루 함원전
소주방 청향각
숙경재 의풍각 융경헌 대조전 흥복헌
수랏간 관리합
만수전 태화당 재덕당 정묵당 요휘문 경극문 창경궁
경추문 수문장청 보경당 선평문 양심합 여춘문 병경문
함양문
서북 진설청 내재실
선원전
서남 진설청 동남 진설청
만수문 건중문 희정당 자선재 영안문
양지당 만안문 관광청 선정전 유덕당 건인문
책고 인정전 관물헌 석유실 어휘문
봉모당 억석루 연경문 만복문 향실 선정문 성정각 보춘정 양성재 중희당 칠분서 해당정 수방재 연영합 평원루 취명문
운한문 영의사 예문관 서방색 소주방 선화문 자시문 삼삼와 승화루 한정당 보화문
숭범문 선전관청 장방 영현문 전의사 취운정 협문
훈국초관인직소 이문원 검서청 약방 내삼청 광범문 대전장방 내반원 낙선재 석복헌
훈국초관인직소 홍문관 당후(승정원)문서고 궁방 사옹원 등촉방 대은원 수강재
훈국군파수직소 정청 육선루
악기고
승정원 상서성 연영문 협양문 무예청 장락문 주명문
남소
위장청
인정문 +양사(사간원) 공상청 사알방 누국
수문장청 금천교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일영대
금호문 결속색
정색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호위청 상서원 배설방 금위군번소 패장직소 별감방 전루 문기수번소 저승전 낙선당
무비사
의장고
전설사 빈청
(어차고)
진수당 장경각 계방
수문장청돈화문 수문장청 교자고 상의원 치미각 시민당 군옥재 춘방 등룡문
원역처소 수문장청 전루 별감방 등촉방 배설방 훈국군번소 사주문
단봉문 종묘북신문+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창덕궁 인정문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복궁 근정문
景福宮 勤政門
창덕궁 인정문
昌德宮 仁政門
창경궁 명정문
昌慶宮 明政門
덕수궁 중화문
德壽宮 中和門
경희궁 숭정문
慶熙宮 崇政門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덕수궁 중화문
德壽宮 中和門
창덕궁 인정문
昌德宮 仁政門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내정전 · 태후전 · 선원전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보물
812호 813호 814호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 창덕궁 인정문 창덕궁 선정전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제813호
창덕궁 인정문
昌德宮 仁政門
소재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수량 1동
지정연도 1985년 1월 8일
제작시기 조선 시대, 1405년 창건, 1745년 중건
파일:창덕궁_인정문_전경.jpg
파일:인정문과_구름.jpg
<colbgcolor=#bf1400> 인정문[1]
파일:창덕궁_인정문_야경.jpg
인정문 야경[2]

1. 개요2. 역사3. 구조4. 여담

[clearfix]

1. 개요

창덕궁 정전인정전정문이다.

창덕궁 정문인 돈화문으로 들어와 오른쪽으로 꺾어 금천교를 건넌 뒤 진선문을 지나 왼쪽으로 돌면 보인다. 이는 광화문에서 근정문까지 일직선인 경복궁과 다르다. 경복궁은 예법에 따라 반듯하게 구획한 반면, 창덕궁은 자연 산세에 맞춰 지었기 때문이다.

이름 뜻은 당연히 ‘인정전의 문’이다. ‘인정(仁政)’ 자체는 맹자가 왕도정치를 강조하면서 언급했던 '인정(仁政)'에서 따왔다. 이름 그대로 '어진(仁) 정치(政)를 바탕으로 훌륭한 정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현판글씨선조 시대의 명필 경천군(慶川君) 북악(北嶽) 이해룡(李海龍)[3]이 쓴 것으로 전한다.

2. 역사

파일:은대계회도2.png
파일:동궐도에 묘사된 인정문 일곽.png
<colbgcolor=#bf1400> 16세기 조선 전기 창덕궁 인정전 일곽의 모습이 담긴 〈은대계회도(銀臺契會圖)〉 <colbgcolor=#bf1400> 19세기 〈동궐도〉에서 묘사해놓은 인정문 권역
1405년(태종 5년) 창덕궁 창건 때 지었다. 건립 당시에는 행각 모서리에 십자각(十字閣)을 두었으며 문과 십자각 모두 중층이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08년(광해군 원년)에 복구했다. 이후 이괄의 난, 병자호란 때 다른 건물들이 다 불탔을 때도 무사했다.

그러나 1744년(영조 20년) 10월에 가까이 있던 승정원 건물에서 불이 나 화재를 입어 이듬해인 1745년(영조 21년) 3월에 재건했다. 당시 재건을 책임졌던 당상관 김약로가 상량문[4]을 만들지 말지 고민했는데 영조가 정전이 아니라며 굳이 만들지 말라 명했다.#

1907년(융희 원년) 순종황제가 즉위하고 창덕궁으로 이어한 뒤 일제강점기까지 살았다. 그때 인정전 권역을 많이 변형했고 인정문 모습도 많이 바꾸어놓았다. 광복 이후인 1994년 원형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3. 구조

  •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총 6칸이다.
  • 겹처마 양식지붕은 팔작지붕으로 세운 1층짜리 이다.[5] 용마루, 내림마루, 추녀마루를 양상바름한 뒤, 2개의 취두와 4개의 용두, 그리고 동, 서 양쪽의 추녀마루 위에 5개의 잡상과 각 처마 끝에 토수를 놓았다.
  • 제일 아랫 부분에는 장대석으로 기단계단을 조성했다. 가운데 이 다니는 어칸(御間) 앞에 소맷돌이 있는 계단을 놓았으나 답도는 설치하지 않았다.
  • 기단 위에 원형 주춧돌을 놓고, 그 위에 원기둥을 올려 건물을 세웠다. 기둥머리에 기둥을 연결해주는 창방과 평방[6]을 놓아 공포를 받치게 했다. 공포는 외 2출목, 내 3출목의 다포 양식으로 만들었고 기둥 사이마다 공포(주간포)를 두었는데 어칸에는 3개, 협칸에는 각각 2개의 주간포를 얹었다.
  • 도리받침부재는 구름 모양으로 깎았으며, 중앙 2개의 기둥은 고주(高柱)라 하여 다른 기둥보다 훨씬 높게 세웠다.
  • 천장은 연등천장으로 만들어 서까래 등 가구가 보이게 했다.
  • 단청은 단초머리의 모로단청[7]으로 칠했다.
  • 문짝은 나무 으로 만들었으며 중앙 열에 달았다.
  • 인정문의 좌우에는 각각 10칸의 행각이 있고, 행각은 직각으로 북으로 꺾여 인정전 좌우의 행각과 바로 붙어있다. 원래 서쪽의 월랑에는 향실(香室)과 내삼청(內三廳)이, 동쪽 행랑에는 관광청과 육선루, 악기고 등이 있는 등 여러 관청들이 입주해 있었는데 현재는 향실을 제외한 전 행랑이 빈 공간이다.#

파일:인정문 마당.png}}} ||
<colbgcolor=#bf1400> 진선문 · 인정문 · 숙장문 마당
앞 마당이 찌그러져있다. 창덕궁 창건 당시부터 그랬다. 위에 언급한 것처럼 창덕궁은 자연 산세에 맞춰 지었고 또 남쪽에 종묘가 있어서, 종묘의 지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공간을 최대한 넓게 하려다보니 저런 모양이 나온 것. 이 때의 일화가 하나 있다. 태종은 이 마당이 마음에 안 들었는지 공사 책임자인 박자청을 측량을 게을리 했다는 죄목으로 에 가두고 행각을 부수게 한 뒤 그 곳에 만 쌓았다. 하지만 한 달 뒤에 사면받은 박자청은 이후로도 능력인정받아 여러 공사를 계속 맡았고 행각도 원래 자신이 의도했던 대로 다시 만들었다. 즉, 이 찌그러진 마당은 박자청이 과 대립하면서까지 이루고자 한, 그가 의도했던 설계인 것. 천하의 태종과 맞서서 자기 뜻을 이루다니 이 양반도 보통 양반이 아닌 듯하다.

파일:1902년 창덕궁 인정문.jpg}}} ||
파일:창덕궁 인정전(일제강점기).jpg
||
<colbgcolor=#bf1400> 1902년 촬영한 인정문 <colbgcolor=#bf1400> 일제강점기 인정문과 인정전 일곽
파일:일제강점기 변한 인정문 서행각.png}}} ||<bgcolor=#fff>
파일:일제강점기 인정문 내측.png
||
변형된 인정문 서행각 일제강점기 인정전 마당 안쪽에서 바라본 인정문
파일:1980년대 인정문.png}}} ||<bgcolor=#fff>
파일:복원 중 인정전.jpg
||
1980년대 인정문 1990년대 복원 중인 인정문
위에서 짧게 언급했지만 순종 이어 이후에 달라진 부분이 많았다. 본래 정전이던 인정전황제의 알현소로 바뀌면서 인정문 역시 단순한 정문에서 알현소의 현관이 되었고 이 때 몸체가 많이 변했다.

우선 정면 3칸 중 앞 면의 가운데 칸과 뒷면의 좌, 우 협칸만 통행할 수 있게 한 뒤, 나머지 칸은 전부 유리창으로 막았다. 그리고 문짝도 근대식 나무 문으로 조성했으며 현판도 떼어냈다.[8] 또한 원래 인정문과 인정전은 별개의 건물이었으나, 인정전 좌, 우에 건물과 바로 이어지는 행각을 덧댄 뒤 그 행각을 인정문 행각과 연결되게 하여 인정문에서 인정전까지 실내 이동을 할 수 있게 만들었다, 인정문 행랑은, 원래 바깥 쪽만 으로 나누고 인정전 마당 쪽으로는 기둥만 놓았던 것을 개조 이후엔 전부 으로 막은 뒤 귀빈 대기실 등으로 활용했다. 1990년대 조선 시대 원형의 모습으로 복원하여 현재는 볼 수 없다.

파일:인정문 용마루.png}}} ||
<colbgcolor=#bf1400> 인정문 용마루[9]
다른 궁궐 건물의 들과는 다르게, 용마루에 오얏꽃(자두꽃) 문양이 박혀있다.[10] 바로 대한제국 국장황실문장이었던 '이화문(李花紋)'이다.[11] 대한제국 황실전주 이씨라 오얏꽃을 문장으로 삼은 것이다. 이렇게 가문 문장을 새겨넣는 것은 개화기 서양이나 일본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12] 크게 순종이 이어했을 당시에 박았다는 주장과 일제강점기 이후에 박았다는 의견이 있다. 전자는 이미 구한말에 궁에 유리창과 커튼, 카페트를 들이는 등 다방면에서 외국식을 도입했던 것을 들 수 있고, 후자 일제 설은 일본전통 양식 파괴를 위해 일부러 용마루에 박았다는 것이다. 다만, 이것이 와전되어 꽃 종류를 구분하지 못하고 사쿠라를 박았다는 루머가 나돌기도 했다. 이 오얏꽃 문양은 1990년대 인정전 일곽의 원형 복원 당시에도 떼지 않았고 지금까지 있다.

4. 여담

  • 이 곳에서 임금이 직접 죄인을 국문하는 친국을 많이 열었다. 사안의 중대함에 따라 장소가 달라졌는데 꽤 무거운 를 저지른 중죄인들을 주로 인정문에서 심문했다. 즉 여기까지 왔다는 건 사실상 살 가망이 없다는 얘기다.(물론 다 그렇다는 건 아니지만) ## 사망 플래그[13]
  • 성종 시기 문과의 초시[14]와 중시[15]를 동시에 치를 때, 인정전에서 함께 보면 부정행위가 있을 것을 염려해 인정전 마당에선 중시를, 인정문 마당에선 초시를 치르게 했다. # 예나 지금이나 다를 거 없다.

[1]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3] 본관은 경주. 고려 호부상서 이달충(李達衷)의 9대손이다. 그의 후손은 10대가 연속으로 사자관과 서예가문으로 대를 이었다. 그의 10대손 소농(筱農) 이종태(李鍾泰)는 덕수궁의 대한문(大漢門) 편액을 썼다.[4] 上樑文. 새로 짓거나 고친 집의 내력, 공역 일시 등을 적어둔 문서.[5] 한옥에서는 주로 ‘단층(單層)’으로 표현한다.[6] 창방 위에 얹혀 공포를 받치는 넓은 직사각형 단면의 긴 건축 부재.[7] 부재(部材)의 두 끝 부분에만 칠한 단청.[8] 북쪽의 중앙 칸은 나중에 통행할 수 있게 바뀌었으며 현판도 나중에 다시 걸었다.[9] 사진 출처 - 네이버 지도.[10] 이는 인정전도 마찬가지. 단 인정문에는 앞 뒤로 3개, 총 6개가 박혀있고 인정전에는 5개가 박혀있다.[11] 배꽃을 가리키는 이화(梨花)와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 이화학당, 이화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의 이화는 배꽃(梨花)이다.[12] 일본의 중세 건축물에 가면 가몬(일본)을 이렇게 새겨넣는 것을 자주 찾아볼 수 있다.[13] 경희궁이 머물 땐, 숭정문에서 했다.[14] 과거의 첫 시험.[15] 당하관(堂下官) 이하의 , 무관에게 10년마다 한 번씩 보게 하는 과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6) (이전 역사)
문서의 r6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