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의 국장. |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의 휘장. |
[clearfix]
1. 개요
대한제국의 국장. 또한 조선 왕실, 대한제국 황실의 가문인 전주 이씨를 상징하는 문양으로, 자두꽃(이화, 李花)[1]을 도안화한 문장이다. 자두의 순우리말인 '오얏'을 써서 '오얏 문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2. 역사
덕수궁 석조전의 이화문 부조. |
중화민국(대만)의 매화 문장. | 일본의 국화 문장. |
3. 의의
국기(태극기)나 국가(애국가)와 함께 근대 주권국가의 상징이기도 하지만, 디자인 면에서도 중요한 의의가 있는 문양이라고 할 수 있다. 제국은 단청과 수묵으로 대표되는 고전적인 미술에서 탈피해 근대식 가문 문장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잉크와 인쇄기라는 장비를 통해 소도구와 비품 등에 적용함으로써 생활 디자인과 산업 디자인의 막을 열었다고 볼 수 있다. 문장은 황실의 중후함, 고풍스러운 우아함을 잃지 않으면서도 모더니즘하고 심플한 세련미가 돋보인다.변형도 다양해서, 꽃술이 없는 것에서부터 3개, 5개까지 있는 문양도 있고 겹꽃잎이 추가된 문양도 있으며, 여타 서양 문장들이 겉에 월계수를 두듯 오얏 가지를 두르거나 황금으로 만든 원이 장식된 문양도 있다. 색은 노랑색(금색) 혹은 빨강색이며, 전주 이씨 종친회의 경우 꽃술 안쪽에 '종(宗)' 자를 새겨넣기도 한다.
4. 변형
| | |
운현궁의 이화문. | 사동궁의 겹꽃잎 이화문. | 덕수궁 석조전 내실의 이화문. |
5. 활용 예시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의 한인회(Oxford University Korea Society; OUKS)가 이화문을 활용하여 한인회 문양을 제작하였다. 자세한 사항은 옥스퍼드 대학교/한국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