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 ┏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
ㅣ | ㅣ | ||||||||||||||||||||||||||||||||||||||||
ㅣ | ㄴ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건무문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
ㅣ | ㅣ | ||||||||||||||||||||||||||||||||||||||||
ㅣ | ㅣ | ||||||||||||||||||||||||||||||||||||||||
ㅣ | 청의정 | 태극정 | 농산정 | ||||||||||||||||||||||||||||||||||||||
ㅣ | 농포 | ㅣ | |||||||||||||||||||||||||||||||||||||||
ㅣ | 소요암 옥류천 | ㅣ | |||||||||||||||||||||||||||||||||||||||
ㅏ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소요정 | |||||||||||||||||||||||||||||||
ㅣ | ㅣ | 취한정 | ㅣ | ||||||||||||||||||||||||||||||||||||||
ㅣ | 수복방 | 신선원전 진설청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ㅡ | ㅡ | ㅡ | ㅣ | ㅣ | ||||||||||||||||||||||||||||||||||||
ㅣ | 괘궁정 | ㅣ | 취규정 | ㅣ | |||||||||||||||||||||||||||||||||||||
ㅣ | 재실 | ┏ | ㅡ | ㄱ | ㅣ | ㅣ | |||||||||||||||||||||||||||||||||||
ㅣ | ㅣ | ㅣ | ㅣ | 능허정 | ㅣ | ||||||||||||||||||||||||||||||||||||
ㅣ | 의효전 | ㅣ | 청심정 | ㅣ | |||||||||||||||||||||||||||||||||||||
ㅣ | 몽답정 | ㅡ | ㅡ | ㅡ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ㅣ | 존덕정 | ㅣ | ||||||||||||||||||||||||||||||||||||||
ㄴ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외삼문 | ㅡ | ㅓ | 폄우사 | 관람정 | ㅣ | |||||||||||||||||||||||||||||
ㅣ | 반도지 | ㅣ | |||||||||||||||||||||||||||||||||||||||
ㅣ | ┏ | ┛ | |||||||||||||||||||||||||||||||||||||||
ㅣ | 승재정 | ㅣ | |||||||||||||||||||||||||||||||||||||||
ㅣ | ㅣ | ||||||||||||||||||||||||||||||||||||||||
ㅣ | ┏ | ㅡ | ㄱ | ㅣ | |||||||||||||||||||||||||||||||||||||
ㅣ | ㅣ | 반빗간 | ㅏ | ㅡ | 태일문 | ㅡ | ㄱ | ㅣ | |||||||||||||||||||||||||||||||||
ㅣ | ㅏ | 통벽문 | 우신문 | 농수정 | ㅣ | ㅣ | |||||||||||||||||||||||||||||||||||
ㅣ | ㅣ | 연경당 | 선향재 | ㅣ | ㅣ | ||||||||||||||||||||||||||||||||||||
ㅣ | ㅣ | ┏ | ㅡ | ㅡ | ┛ | ㅣ | |||||||||||||||||||||||||||||||||||
ㅣ | | ㄴ | 수인문 | 장양문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ㅡ | 장락문 | ┛ | ㅣ | |||||||||||||||||||||||||||||||||||||
ㅣ | 창덕궁 애련정 | | ㅣ | ||||||||||||||||||||||||||||||||||||||
ㅣ | 애련지 | ㅣ | |||||||||||||||||||||||||||||||||||||||
ㅣ | 불로문 | ㅣ | |||||||||||||||||||||||||||||||||||||||
ㅣ | 석거문 | 금마문 | 영춘문 | ||||||||||||||||||||||||||||||||||||||
ㅣ | 운경거 | 의두합 | ㅣ | ||||||||||||||||||||||||||||||||||||||
ㅣ | ㅣ | ||||||||||||||||||||||||||||||||||||||||
ㅣ | 희우정 | 천석정 | ㅣ | ||||||||||||||||||||||||||||||||||||||
ㅣ | 서향각 | 주합루 | ㅣ | ||||||||||||||||||||||||||||||||||||||
ㅣ | 어수문 | ㅣ | |||||||||||||||||||||||||||||||||||||||
ㅣ | 사정기비각 | 부용지 | 영화당 | 춘당대 | ㅣ | ||||||||||||||||||||||||||||||||||||
ㅣ | 부용정 | ㅣ | |||||||||||||||||||||||||||||||||||||||
ㅣ | ㅣ | ||||||||||||||||||||||||||||||||||||||||
요금문 | | | ㅣ | ||||||||||||||||||||||||||||||||||||||
ㅣ | ┏ | ┛ | |||||||||||||||||||||||||||||||||||||||
ㅣ | ㅣ | ||||||||||||||||||||||||||||||||||||||||
┏ | ㅡ | ┛ | ㅣ | ||||||||||||||||||||||||||||||||||||||
ㅣ | | | ㅣ | ||||||||||||||||||||||||||||||||||||||
ㅣ | ㅣ | ||||||||||||||||||||||||||||||||||||||||
ㅣ | | | 경훈각 | ┏ | 함원전 | ㅣ | |||||||||||||||||||||||||||||||||||
ㅣ | | ㅣ | ㅣ | ㅣ | 청향각 | ㅣ | |||||||||||||||||||||||||||||||||||
ㅣ | | 의풍각 | ┏ | ㅗ | ㅡ | 융경헌 | 대조전 | 흥복헌 | ┛ | ㅣ | |||||||||||||||||||||||||||||||
ㅣ | ㅣ | 수랏간 | 관리합 | ㅣ | → | ||||||||||||||||||||||||||||||||||||
ㅣ | | ㄴ | ㅡ | 요휘문 | 경극문 | ㅣ | 창경궁 | ||||||||||||||||||||||||||||||||||
경추문 | | ㅏ | 선평문 | ㅜ | 여춘문 | ||||||||||||||||||||||||||||||||||||
ㅣ | ㅣ | ㅣ | ㅣ | 함양문 | ㄱ | ||||||||||||||||||||||||||||||||||||
ㅣ | 서북 진설청 내재실 선원전 서남 진설청 동남 진설청 | 만수문 | ┏ | ㅡ | 건중문 | ㅡ | ㅡ | ㅗ | ㅡ | ㅓ | 희정당 | ㅣ | | ||||||||||||||||||||||||||||
ㅣ | 양지당 | 만안문 | ㅓ | 선정전 | ㅣ | ㅣ | ㅣ | ┏ | |||||||||||||||||||||||||||||||||
ㅣ | 책고 | 인정전 | ㅣ | ㅣ | ㅣ | ㄴ | ㅡ | ┛ | 관물헌 | ㄱ | |||||||||||||||||||||||||||||||
ㅣ | 봉모당 | 억석루 | 연경문 | 만복문 | 향실 | ㅏ | ㅡ | 선정문 | ㅡ | ㅓ | 성정각 보춘정 | | 칠분서 | ㄱ | |||||||||||||||||||||||||||
ㅣ | 운한문 | 영의사 | 예문관 | ㅣ | ㅣ | 자시문 | 삼삼와 | 승화루 | 한정당 | ㄴ | ㄱ | ||||||||||||||||||||||||||||||
ㅣ | 숭범문 | ㅏ | ㅡ | ┛ | 영현문 | 전의사 | 취운정 | ㄴ | ㄱ | ||||||||||||||||||||||||||||||||
이문원 | 검서청 | 약방 | 광범문 | ┏ | 낙선재 | ㅜ | 석복헌 | ㅣ | |||||||||||||||||||||||||||||||||
ㅡ | ㅡ | ㅡ | ㄱ | 홍문관 | ㅣ | ㅏ | ㅣ | ㅏ | ㅗ | 수강재 | ㄱ | ㅣ | |||||||||||||||||||||||||||||
ㄴ | ㅡ | | ㅓ | ㅓ | | ㄴ | 장락문 | ㅓ | ㅣ | ||||||||||||||||||||||||||||||||
ㅏ | ㅡ | 인정문 | ㅡ | + | ┛ | | ㄴ | ㅡ | ㅡ | ┛ | |||||||||||||||||||||||||||||||
금천교 | 진선문 | 숙장문 | |||||||||||||||||||||||||||||||||||||||
금호문 |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 | | | | | | ㅣ | |||||||||||||||||||||||||||||||||
빈청 (어차고) | | ㅣ | |||||||||||||||||||||||||||||||||||||||
돈화문 | ㄱ | | 상의원 | 치미각 | | | |||||||||||||||||||||||||||||||||||
ㅣ | 원역처소 | | | | | | | ||||||||||||||||||||||||||||||||||
ㄴ | ㅡ | ㅡ | ㅡ | ㅗ | 단봉문 | ㅡ | ㅡ | ㅡ | ㅡ | ㅡ | ↓ | 종묘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북신문 | +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
<colbgcolor=#bf1400> 창덕궁 태극정 昌德宮 太極亭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2-71번지) | |
건축시기 | 1636년 (창건) |
<colbgcolor=#bf1400> 태극정[1]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입체 영상. 소요정, 취한정, 취규정, 농산정, 청의정과 같이 소개한다. |
[clearfix]
1. 개요
창덕궁 후원 옥류천 권역에 있는 정자이다.2. 이름
‘태극(太極)’은 ‘음양 사상과 결합해 만물을 생성시키는 우주의 근원’이다. 《주역》에서 따온 이름으로 태극기의 그 태극이 맞다.<colbgcolor=#bf1400> 태극 문양 |
3. 역사
1636년(인조 14년)에 지었다. 첫 이름은 운영정(雲影亭)이었는데 나중에 태극정으로 바꾸었다. 이후 많은 왕들이 쉬어가는 곳으로 활용했다.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치면서도 살아남아 오늘에 이른다.<colbgcolor=#bf1400> 왼쪽은 《동궐도》의 태극정(붉은 원 안), 오른쪽은 《조선고적도보》의 태극정 |
4. 구조
- 1층[2] 목조 건물로 남향(南向)이다. 칸 수는 정면 1칸, 측면 1칸으로 총 1칸이다. 기단은 장대석으로 3단을 쌓았으며 그 위에 다시 장대석 1단을 깔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기둥과 주춧돌은 원형이며 기둥 안쪽 가장자리에 문틀을 설치했다. 출입은 남쪽 칸으로만 할 수 있으며 건물로 오르게하는 디딤돌은 2단이다. 기단의 사방 가운데에는 1단짜리 계단이 있다. 남쪽 기단의 계단 앞에는 돌판을 길게 덧대고 그 위에는 전돌을 깔았다.
- 사방이 트여있다. 그러나 《동궐도》를 보면 원래는 측면에 벽을, 정면에 문을 달아놓았다. 일제강점기에 촬영한 《조선고적도보》를 보면 벽은 사라졌지만 사방에 들문이 달려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언제 지금처럼 바뀌었는지는 알 수 없다.
- 지붕은 사모지붕, 처마는 겹처마이다. 기둥 사이에 창방을 두고 그 위에 소로를 얹었다. 용마루와 추녀마루는 기와로 쌓았으며 내림마루 끝에는 막새기와를 얹었다. 추녀마루가 만나는 부분에는 절병통을 올렸다. 단청은 모로단청으로 칠했다.
- 각 칸의 하단부에는 머름을 두었고, 건물 바깥에는 쪽마루를 깐 뒤 그 가장자리에 난간을 설치했다. 다만, 건물로 들어가는 부분에는 머름과 난간을 두지 않았다. 난간은 ‘아(亞)’자 형 교란으로, 그 위에 호리병 형태의 난간기둥과 돌란대를 얹은 형태이다.
- 기둥 바깥 쪽에 주련을 걸었다. 주련에는 시를 적어놓았다. 주련 내용은 다음과 같다.隔窓雲霧生衣上 (격창운무생의상)창 밖의 운무(雲霧)는 옷 위에서 피어오르고捲幔山川入鏡中 (권만산천입경중)휘장을 걷자 산천이 거울 속으로 들어오네花裏簾櫳晴放燕(화리염롱청방연)꽃 속이라, 주렴 친 창 밖에 비 개자 제비 날고柳邊樓閣曉聞鶯(유변누각효문앵)버들 곁이라, 누각에선 새벽녘에 꾀꼬리 소리 들리네
5. 여담
- 역대 임금들이 태극정을 많이 찾고 아꼈다. 숙종은 창덕궁 후원에서 아름다운 정자 3채를 '상림삼정(上林三亭)'으로 불렀는데 태극정도 여기에 포함시켰다.[3] 관련하여 《상림삼정기》를 썼는데 거기서 ‘여산(廬山)[4]과 난정(蘭亭)[5]이 어찌 여기보다 나을까’라며 태극정의 경치를 극찬했다.# 숙종의 증손자 정조는 《태극정시》를 지어 빼어난 풍경을 찬양했다. 정조의 아들 순조는 여기서 신하들을 만나 《심경》을 읽게했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트위터.[2]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3] 나머지는 청의정과 소요정.[4] 산세가 수려하기로 유명한 중국의 명산으로, 남북조시대에 남조의 내로라하는 명사들이 모두 한 번씩 찾던 산이었다.[5] 중국 사오싱시에 있는 왕희지의 유적지. 역시 경치가 빼어나기로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