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06:06

창덕궁 청의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대보단
건무문 광지문 수문
청의정 태극정 농산정 옥청문
농포
소요암 옥류천
소요정 수문
취한정
수복방 신선원전 진설청
괘궁정 취규정
재실
능허정
의효전 사가정 청심정 천향각
몽답정 산단
백운사
천성동 태청문
청연각
존덕정
외삼문 폄우사 척뇌당
관람정
한려청 반도지
승재정
부군당
반빗간 태일문
통벽문 우신문 농수정
연경당 선향재
국출신직소 수인문 장양문
장락문
창덕궁 애련정 수궁
어수당 애련지
불로문
석거문 금마문 영춘문
운경거 의두합
희우정 천석정
서향각 주합루
어수문
사정기비각 부용지 영화당 춘당대 서총대
부용정
요금문 수문장청 서소 개유와 열고관
창송헌 수정전 가정당
수궁 습취헌 집상전
영모당
생물방 경복전 경훈각 징광루 함원전
소주방 청향각
숙경재 의풍각 융경헌 대조전 흥복헌
수랏간 관리합
만수전 태화당 재덕당 정묵당 요휘문 경극문 창경궁
경추문 수문장청 보경당 선평문 양심합 여춘문 병경문
함양문
서북 진설청 내재실
선원전
서남 진설청 동남 진설청
만수문 건중문 희정당 자선재 영안문
양지당 만안문 관광청 선정전 유덕당 건인문
책고 인정전 관물헌 석유실 어휘문
봉모당 억석루 연경문 만복문 향실 선정문 성정각 보춘정 양성재 중희당 칠분서 해당정 수방재 연영합 평원루 취명문
운한문 영의사 예문관 서방색 소주방 선화문 자시문 삼삼와 승화루 한정당 보화문
숭범문 선전관청 장방 영현문 전의사 취운정 협문
훈국초관인직소 이문원 검서청 약방 내삼청 광범문 대전장방 내반원 낙선재 석복헌
훈국초관인직소 홍문관 당후(승정원)문서고 궁방 사옹원 등촉방 대은원 수강재
훈국군파수직소 정청 육선루
악기고
승정원 상서성 연영문 협양문 무예청 장락문 주명문
남소
위장청
인정문 +양사(사간원) 공상청 사알방 누국
수문장청 금천교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일영대
금호문 결속색
정색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호위청 상서원 배설방 금위군번소 패장직소 별감방 전루 문기수번소 저승전 낙선당
무비사
의장고
전설사 빈청
(어차고)
진수당 장경각 계방
수문장청돈화문 수문장청 교자고 상의원 치미각 시민당 군옥재 춘방 등룡문
원역처소 수문장청 전루 별감방 등촉방 배설방 훈국군번소 사주문
단봉문 종묘북신문+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청의정
昌德宮 淸漪亭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636년 (창건)
파일:external/blog.kcomwel.or.kr/1810396915.jpg
<colbgcolor=#bf1400> 청의정 동측면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입체 영상. 소요정, 취한정, 취규정, 농산정, 태극정과 같이 소개한다.
1. 개요2. 이름3. 역사4. 구조5. 여담

[clearfix]

1. 개요

창덕궁 후원 옥류천 권역에 있는 정자이다. 창덕궁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초가지붕 건물이다.[1] 한국의 초가 정자 중 가장 오래되었다.#

정자 앞에 이 있다. 여기서 를 심고, 수확 후에는 볏짚으로 정자의 지붕 이엉을 잇게 했는데 이는 백성들의 고단함을 몸소 느끼고, 또한 농사의 소중함을 백성들에게 일깨워주기 위함이었다.

2. 이름

'청의(淸漪)' 뜻은 '맑은(淸) 물결(漪)'이다. 옥류천 일대의 맑은 물을 따서 이름으로 지은 듯 하다. '청의' 단어 자체는 《시경 - 위풍(魏風) · 벌단(伐檀)》에서 유래했다. #

3. 역사

헌종 때 지은 《궁궐지》에 따르면, 1636년(인조 14년)에 지었다. 그 책에는 정조선조의 어필을 걸었다는 내용도 있다. 그런데 그 어필을 건 게 선조 때부터 남아있던 정자에 건 것인지, 아니면 나중에 새 건물을 짓고 선조의 어필을 가져다 건 것인지는 모른다. 아무튼 1636년에 고쳐 짓든 새로 짓든, 청의정 공사가 있었던 것은 확실한 듯 하다.# 이후 일제강점기6.25 전쟁을 거치면서도 살아남아 오늘에 이른다.
파일:옛날 청의정.png
<colbgcolor=#bf1400> 왼쪽은 《동궐도》의 청의정(붉은 원 안), 오른쪽은 《조선고적도보》의 청의정

4. 구조

  • 1층[2] 목조 건물로 북향(北向)이다. 칸 수는 정면 1칸, 측면 1칸으로 총 1칸이다. 옥류천의 물을 모아 만든 위에 을 만들고 그 위에 다시 장대석으로 기단을 2단 쌓은 뒤 건물을 올렸다. 논과 섬은 둘 다 네모나다.
  • 건물 북쪽으로 출입할 수 있다. 정자에 있어서 드나들 수 있게 돌다리를 놓았다. 교각은 없고 작은 돌판 위에 올려놓은 돌 상판만 있다. 상판 북면의 가운데에는 구멍이 뚫려있다.
  • 처마는 겹처마이며 공포는 초익공이다. 단청은 모로단청으로 칠했다.
  • 기둥과 주춧돌은 원형이다. 주춧돌에는 파련을 화려하게 조각해놓았다.
  • 보통 1칸 짜리 정자들의 지붕은 사모지붕인데, 청의정 지붕은 다르다. 기둥 위에 도리를 8각으로 짜서 지붕을 8각으로 만든 뒤 짚을 올려 원형처럼 보이게 했다.## 지붕 한가운데는 솟아있다.
  • 일반 궁궐 건물들과 다른 점이 많다. 위에 썼듯 초가지붕인 점도 그렇고, 건물의 부재들도 굉장히 얇다. 현판 역시 특이하다. 다른 전각처럼 걸지 않고 목판으로 만든 뒤 도리에 끼워 고정시켰다. 목판은 가운데에 글씨 틀이 있고 그 주변을 화려한 단청으로 칠한 형태이다. 글씨는 검은 바탕에 흰 글씨로, 글씨 틀은 주황색이다.
  • 각 칸 하단부에 난간을 설치했다. 다만, 건물로 들어가는 부분에는 난간을 두지 않았다. 난간은 풍혈을 뚫은 평난간으로 그 위에 하엽동자 모양의 난간기둥과 돌란대를 얹은 형태이다.
  • 천장은 서까래가 다 드러난 형태이다. 서까래가 중앙으로 모이는데 그 지점에는 원형반자를 설치했다. 실내 바닥은 마루이다.
  • 기둥 바깥 쪽에 주련을 걸었다. 주련에는 를 적어놓았는데, 1957년에 작성한 《각궁주련조서》에 따르면 대한제국기 관료였던 동농 김가진이 썼다고 한다. 주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僊露長凝瑤艸碧 (선로장응요초벽)

    신선의 이슬은 길이 요초(瑤艸)에 푸르게 맺혔고


    彩雲深護玉芝鮮 (채운심호옥지선)

    채색 구름은 깊이 옥지(玉芝)를 곱게 감쌌네.


    魚躍文波時撥剌 (어약문파시발랄)

    물고기는 물결 위에 뛰어 때로 첨벙거리고


    鶯留深樹久俳徊(앵류심수구배회)

    꾀꼬리는 짙은 나무에 들어 오래 서성거리네.


5. 여담

  • 숙종은 창덕궁 후원에서 아름다운 정자 3채를 '상림삼정(上林三亭)'으로 불렀는데 청의정도 여기에 포함시켰다.[3]

파일:청의정 모내기 행사.png}}} ||
<colbgcolor=#bf1400> 2018년 6월에 진행한 청의정 모내기 행사[4]
2006년부터 매년 가을문화재청농촌진흥청 관계자들, 일반인 지원자들이 이곳에서 모내기, 벼베기 행사를 한다. ## # 2020년에는 코로나 19 사태로 관련 부서 관계자들만 참여했다.

[1] 19세기 초에 제작한 《동궐도》를 보면 창덕궁과 창경궁에 초가지붕이 몇 채 있었다. 그러나 청의정을 제외한 나머지는 전부 현재 없다.[2]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3] 나머지는 태극정소요정.[4] 사진 출처 - 문화재청 창덕궁 트위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6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6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