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14:15:31

창덕궁 관람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대보단
건무문 광지문 수문
청의정 태극정 농산정 옥청문
농포
소요암 옥류천
소요정 수문
취한정
수복방 신선원전 진설청
괘궁정 취규정
재실
능허정
의효전 사가정 청심정 천향각
몽답정 산단
백운사
천성동 태청문
청연각
존덕정
외삼문 폄우사 척뇌당
관람정
한려청 반도지
승재정
부군당
반빗간 태일문
통벽문 우신문 농수정
연경당 선향재
국출신직소 수인문 장양문
장락문
창덕궁 애련정 수궁
어수당 애련지
불로문
석거문 금마문 영춘문
운경거 의두합
희우정 천석정
서향각 주합루
어수문
사정기비각 부용지 영화당 춘당대 서총대
부용정
요금문 수문장청 서소 개유와 열고관
창송헌 수정전 가정당
수궁 습취헌 집상전
영모당
생물방 경복전 경훈각 징광루 함원전
소주방 청향각
숙경재 의풍각 융경헌 대조전 흥복헌
수랏간 관리합
만수전 태화당 재덕당 정묵당 요휘문 경극문 창경궁
경추문 수문장청 보경당 선평문 양심합 여춘문 병경문
함양문
서북 진설청 내재실
선원전
서남 진설청 동남 진설청
만수문 건중문 희정당 자선재 영안문
양지당 만안문 관광청 선정전 유덕당 건인문
책고 인정전 관물헌 석유실 어휘문
봉모당 억석루 연경문 만복문 향실 선정문 성정각 보춘정 양성재 중희당 칠분서 해당정 수방재 연영합 평원루 취명문
운한문 영의사 예문관 서방색 소주방 선화문 자시문 삼삼와 승화루 한정당 보화문
숭범문 선전관청 장방 영현문 전의사 취운정 협문
훈국초관인직소 이문원 검서청 약방 내삼청 광범문 대전장방 내반원 낙선재 석복헌
훈국초관인직소 홍문관 당후(승정원)문서고 궁방 사옹원 등촉방 대은원 수강재
훈국군파수직소 정청 육선루
악기고
승정원 상서성 연영문 협양문 무예청 장락문 주명문
남소
위장청
인정문 +양사(사간원) 공상청 사알방 누국
수문장청 금천교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일영대
금호문 결속색
정색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호위청 상서원 배설방 금위군번소 패장직소 별감방 전루 문기수번소 저승전 낙선당
무비사
의장고
전설사 빈청
(어차고)
진수당 장경각 계방
수문장청돈화문 수문장청 교자고 상의원 치미각 시민당 군옥재 춘방 등룡문
원역처소 수문장청 전루 별감방 등촉방 배설방 훈국군번소 사주문
단봉문 종묘북신문+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관람정
昌德宮 觀纜亭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830년 ~ 1901년 사이 (창건)
파일:창덕궁 관람정.jpg
<colbgcolor=#bf1400> 관람정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영상. 존덕정, 폄우사, 승재정과 같이 소개한다.

1. 개요2. 이름3. 역사4. 관람지5. 구조6. 여담7. 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창덕궁 후원 관람지 권역에 있는 정자이다.
파일:창덕궁_후원권역_관람지.jpg
<colbgcolor=#bf1400> 관람지 권역. 왼쪽부터 폄우사, 존덕정, 관람정, 승재정이다.[1]

2. 이름

'관람(觀纜)'은 관람하는 게 아니라 '뱃놀이(纜)을 바라본다(觀)'는 뜻이다. 원래 '람(纜)'은 닻줄이란 뜻인데, 여기서는 뱃놀이란 의미로 썼다.#

3. 역사

언제 지었는지 모른다. 1828년 ~ 1830년 사이에 그린 《동궐도》에는 안보이고 헌종 때 제작한 《궁궐지》에도 관련 기록이 없는데, 1907년(융희 원년) ~ 1908년(융희 2년)에 만든 《동궐도형》에는 보인다. 그래서 고종 때 후원을 정비할 때인 1903년(광무 7년) 경 아니면 순종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긴 1907년(융희 원년) 무렵에 지었을 것으로 추측한 의견이 많았다.

하지만 민족문제연구소 이순우 연구원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적어도 1901년(광무 5년)에는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미국인 버턴 홈스(Burton Holmes)가 1901년에 발간한 《The Burton Holmes Lectures》에 관람정 사진이 실려있기 때문이다. 현재로서는 1901년 이전에 지었다는 것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직까지는 정확한 건립 시기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알 수 없다.
파일:버턴홈즈 관람정.png
<colbgcolor=#bf1400> 1901년 《The Burton Holmes Lectures》에 실린 관람정

4. 관람지

파일:창덕궁 관람지.png
<colbgcolor=#bf1400> 관람지
관람정의 연못은 관람지(觀纜池)이다. 한반도 모양이라 반도지(半島池)로도 부른다.
파일:동궐도형 관람정.png
<colbgcolor=#bf1400> 왼쪽은 〈동궐도〉에 나온 현재 관람정 일대이다. 현재와 전혀 다르다.
오른쪽은 〈동궐도형〉에 나온 관람정(초록색 원 안)과 호리병 모양의 연못이다.
그런데 조선 시대에는 저런 모습이 아니었다. 〈동궐도〉를 보면, 사각형 연못 2개와 원형 연못 1개가 나누어져 있었다. 순종 때 제작한 〈동궐도형〉을 보면 저 연못을 합쳐 호리병 모양으로 만들고 그 위에 다리를 놓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마 일제강점기에 지금의 모습으로 바꾼 듯 하다.
파일:고궁-00804-0001_1.jpg
파일:옛날 관람정.png
<colbgcolor=#bf1400> 관람정과 관람지에 놓은 다리[2]
다리도 형태가 두 가지였다. 현재 남아있는 사진을 보면, 경복궁 향원정의 취향교와 같이 'X'자 난간을 한 다리였는데 어느 순간 'I' 자형 난간 형태로 바뀌었다.
파일:승재정과 연결된 다리.png
<colbgcolor=#bf1400> 관람지 다리. 왼쪽에 승재정과 승재정 남면에서 다리와 연결된 길이 보인다.[3]
이 다리 서쪽에 승재정으로 가는 길이 있었다.

5. 구조

  • 평면이 부챗꼴이다. 즉, 지붕, 마루, 기단이 전부 부채 모양이다. 그래서 건물 부재들이 곡선 형태이다.
  • 한 단짜리 기단 위에 주춧돌을 올리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기둥과 주춧돌은 원형이다. 연못과 맞닿는 부분에는 세로로 긴 돌기둥을 연못 바닥에 맞닿게 만들었다. 그래서 마치 연못에 발 담그고 있는 것 같은 모습이다.
  • 지붕은 우진각 지붕이다. 처음 지붕 재질은 동판 비슷한 것이었는데, 순종 즉위 전후로 기와로 바꾼 듯 하다. 처마는 홑처마로, 용마루와 추녀마루는 기와로 마감했으며 용마루 양 끄트머리에 용두를 올렸다.
  • 공포없는 민도리 양식이다. 주두는 원형이고 단청은 모로단청으로 칠했다. 기둥 사이 틀에 낙양각을 설치했다.
  • 현판은 동면에 걸려있다. 모양이 특이하다. 나뭇잎 모양을 한 초록색 판으로, 진짜 에 글씨를 써놓은 것 같은 느낌을 준다. 글씨는 흰색이다.
  • 각 기둥 하단부마다 난간을 설치했다. 다만, 건물로 들어가는 부분에는 기둥 양 옆에 짧게 난간을 두었다. 난간의 모양은 풍혈을 뚫은 궁판을 두고 그 위에 난간기둥과 돌란대를 둔 형태이다.
  • 실내 천장은 구조가 다 보이는 연등천장이다. 바닥은 마루이다.
  • 기둥의 바깥쪽에 주련을 걸었다. 주련에는 를 적어놓았다. 주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珠簾繡柱圍黃鵠 (주렴수주위황곡)

    구슬 발, 채색 기둥을 고니 떼 둘러싸고


    錦纜牙檣起白鷗 (금람아장기백구)

    비단 닻줄, 상아 돛대에 갈매기떼 날아오르네


    彩鴛靜點銀塘水 (채원정점은당수)

    알록달록한 원앙이 은빛 연못물에 고요히 떠다니고


    乳燕凉飛玉宇風 (유연량비옥우풍)

    어린 제비는 바람을 타고 시원하게 하늘을 나네


    橋轉彩虹當綺殿 (교전채홍당기전)

    찬란한 무지개다리 돌아드니 전각과 마주했고


    艦浮花鷁近蓬萊 (함부화익근봉래)

    화려한 익수(鷁首)의 배 떠가니 봉래산이 가까워지네

6. 여담

}}} ||
<colbgcolor=#bf1400> 〈창덕궁 달빛기행〉 영상
〈창덕궁 달빛기행〉 코스 중 한 곳이다. 판소리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 흔치 않는 부채꼴 모양 정자이다 보니 조경기사 필기 시험에서 졸정원의 여수동좌헌, 사자림의 선자정과 함께 부채꼴 정자를 묻는 문제가 이따끔 나온다.

7. 매체에서


파일:제1공화국 관람정.png}}} ||
<colbgcolor=#bf1400> 〈제1공화국〉의 관람정
MBC 드라마제1공화국〉 22회에서 이승만 대통령(최불암 분)이 낚시하다가 김장흥 경무대경찰서장(임채무 분)에게서 6.25 전쟁 발발 소식을 듣고 놀라는 장소로 등장한다.

파일:킹덤 관람정.png}}} ||
<colbgcolor=#bf1400> 〈킹덤 1〉의 관람정
넷플릭스 드라마킹덤 1〉에서 조학주(류승룡 분)와 딸 계비 조씨(김혜준 분)가 대화하는 장소로 등장한다. 관람지는 시신을 넣은 연못으로 나온다. 단, 시신넣는 장면 촬영은 다른 연못에서 한 듯 하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2] 왼쪽 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3] 사진 출처 - 프랑스 장식미술관 〈Corée〉.[4]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