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3 14:42:59

가구

1. 단어
1.1. 실내에 두고 사용하는 기구
1.1.1. 종류1.1.2. 관련 문서1.1.3. 브랜드
1.2. 가구()1.3. 통계1.4. 가구()1.5. 가구()1.6. 가구()1.7. 가구()1.8. 가구()1.9. 가구()

1. 단어

1.1. 실내에 두고 사용하는 기구

家具 | Furniture

실내에 두고 사용하는 기구로 세간이라고도 한다. 대개 집안에 있는 물건 중에 장롱·탁자·의자와 조금 큰 물건을 말한다. 대부분의 가구는 움직일 수 있는 기물이지만, 붙박이(built-in) 가구도 있다.[1]

가구를 만드는 데에는 보통 목재를 사용한다. 소수지만 대나무철재를 사용한 것도 있다.

한국의 경우 과거 가구를 만들 때 옻나무에서 추출한 옻칠을 했다. 이 옻칠은 소독 효과 및 보존 효과가 뛰어났다. 또, 전복을 비롯한 각종 조개껍데기를 가공하여 장식한 자개 역시 유행했다.

1) 가구의 어원 :
영어의 furniture(지급품, 공급품)에서 유래된 것과 프랑스어의 meuble에서 유래 된 것이 있다. 전자(furniture)는 실내에 갖춰진 물건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후자(meuble)는 프랑스어와 (moble) 독일어로 움직일 수 있는 물건이란 의미가 강하다.

2) 가구의 기원 :
인류 역사상 가구가 언제부터 존재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정착생활과 함께 필요에 의해 가구가 발생했다고 한다. 최초의 가구의 발굴은 신석기시대의 주거지 였던 의자와 침대가 통합된 가구를 최초의 발견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3) 가구의 의미 :
인류가 살아가는데 있어, 편리성을 추구하는 측면이 강하며 우리생활을 반영하는 도구이다

4) 가구의 개념
ⓐ 필요에 의해 생겼다는 기능적인 의미
ⓑ 사회, 경제적인 지위를 나타내는 도구의 의미
ⓒ 시대적, 국가적 문화와 생활을 표현하는 의미

많이들 혼동하지만 furniture은 불가산명사이다.

가구를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상점은 시내의 상권과 거리가 먼 교외에 위치한 경우가 많다. 가구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상점 부지 또한 넓이가 넓어야 하는데 시내 상권은 부동산 가격 때문에 부담스럽기 때문. 게다가 가구는 보통 화물 차량으로 별도 배송하기 때문에 굳이 상점을 시내에 위치하지 않아도 가능하다.

한국에서도 가구는 대체적으로 시대의 유행을 많이 탄다. 1990년 이전까지는 자개 가구들이 큰 인기를 끌었지만, 1990년이 넘어가면서 화려한 장식이 조각되어있는 이탈리아제 수입 원목가구가 큰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2000년대가 지나면서 오히려 북유럽풍의 심플한 디자인에 실용적이고 저렴한 가구가 인기를 끌기 시작해서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중이다. 옛날풍의 엔틱가구를 좋아하는 사람들도 늘어가고는 있으나 아직 그렇게 대세는 아니다. 중고 마켓에 가면 옛날 가구들이 저렴하게 중고로 많이 올라온다.

정의 상으로는 가전제품도 가구에 포함될 수도 있으나, 통념적으로 가전은 가구와 분리해서 취급되는 편이다. 영어권에서도 가전은 보통 furniture 보단 appliance라는 카테고리로 따로 분류한다. 그러나 일부 가전은 명백히 전통적 가구의 속성을 공유하고 있기도 하고, 반대로 전통적 가구에 전자 장치가 적용되어 가전화 되는 경우도 있는 만큼, 상대적으로 현대에 발명된 가전이 지금은 별도 개념으로 인식되지만, 점차 경계는 허물어지고 있으며 가전도 가구의 개념 안으로 들어오게 될 것이다.

1.1.1. 종류

🪑 가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765c48><colcolor=#fff>
리클라이너
문갑
반닫이 · · 병풍 · 붙박이장
사방탁자 · 소파 · 식탁 · 신발장
암체어 · 옷장 · 의자
찬장 · 찬탁자장 · 책상 · 책장 · 침대
캐비넷 · 커튼
탁자
파티션 · 평상
협탁 · 화장대 }}}}}}}}}

1.1.2. 관련 문서

1.1.3. 브랜드

종합
  • 이케아: 스웨덴 기업, 세계 1위 기업으로 한국에도 진출하여 곳곳에 매장을 두고 있다.
  • 한샘: IMM인베스트먼트롯데쇼핑이 공동인수하였다. 오랫동안 압도적인 국내 1위였으나 사모펀드에 매각된 이후 품질 관리가 부실하다는 평이 늘어나고 있다.
  • 현대리바트: 현대백화점그룹의 종합 가구 브랜드이다. 한샘과 함께 1위를 다투는 브랜드이다.
  • 에넥스: 1971년 '오리표 싱크대'라는 브랜드로 싱크대와 부엌 가구를 국내 처음으로 출시한 곳이다. 1990년대에 브랜드명을 에넥스로 바꾸고 부엌 가구 위주에서 가구 전반으로 사업을 확대했다.
  • 퍼시스: 사무용 가구로는 가장 유명한 브랜드이다. 국내 사무용 가구 점유율 60프로 이상으로 압도적인 점유율을 자랑한다.
  • 일룸: 퍼시스의 자회사이다. 퍼시스는 사무용 가구 위주, 일룸은 일반 가정용 가구 위주로 사업을 전개한다.
  • 까사미아: 신세계까사의 리빙&라이프스타일 종합 가구 브랜드이다. 드라마 협찬을 자주 진행하며, 비교적 고가의 가격대로 이루어져 있다.
  • 에몬스: 유명 브랜드에 결코 밀리지 않는 우수한 품질에 비해 가격이 착한 편이라 영남 지방 등에서 강세를 보이는 기업이다.
  • 데스커: 브랜드명처럼 책상과 책장만 판매하는 브랜드이다. 사무용부터 독서실용까지 다양한 책상이 있다.
  • BIF 보루네오: 1966년에 인천에서 설립되어 80년대~90년대 초반까지 국내 1위였던 브랜드이다. 고급 가구와 하우스 가구를 넘어 현재는 사무용 가구까지 진출하여 회의실이나 도서관 등에 납품되는 고급 가구도 생산하고 있다.
  • 에쉴리 퍼니처: 미국의 가구 브랜드이다. 국내에는 2014년에 에넥스를 통해 들어왔다가 2015년부터는 에쉴리코리아라는 법인을 설립하여 직접 운영 중이다.
  • 니토리: 일본 1위 기업이다.
  • 선앤엘: 선퍼니처, 선우드 등으로 국내 굴지의 종합 가구 메이커였으나, 2000년대 초반 철수. 현재는 목재만 제조하며 자회사인 선앤엘 인테리어에서 B2B 사업만 한다.
  • 동서가구: 드라마 협찬을 자주 진핸하는 브랜드이다. 국내 가구 브랜드 10위 안에 꾸준히 있는 꽤 유명한 브랜드이다.
  • 삼익가구: 드라마 협찬을 자주 진행하고 저가 라인부터 고가 라인까지 다양한 가격대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는 목재만 제조하며 자회사인 (주)삼익티디에프에서 가구 제조 사업을 하고 있다.
  • 라자가구: 드라마 협찬을 자주 진행하고 저가 라인주터 고가 라인까지 다양한 가격대로 구성되어 있다.
  • 데코라인
  • 데코하우스
  • 알마니가구
  • 파로마가구
  • 두닷: 적당한 가격대와 흔들리지 않는 책상 브랜드로 유명하다.
  • 본톤: '(주)룸퍼니처'의 브랜드이며, 주로 책상과 의자에만 집중하는 백화점 입점 브랜드이다.
  • 이갤러리: 부산 구평가구단지에 위치한 브랜드이며, 부울경 지역 아파트 입주 박람회에 자주 참여하고 있으나 아직 점유율은 낮은 편이다. 볼펜으로 낙서를 해도 잘 지워지는 가죽 재질의 소파를 강조하고 있으며, 다른 브랜드에 비해 가격이 매우 저렴하여 가성비를 추구하는 고객들이 주로 찾는 중저가형 브랜드이다. 실제로 후기를 보면 싸고 좋다거나 가장 저렴하다거나 예산을 50% 아꼈다는 평이 많지만 그만큼 품질 등에서 디테일이 떨어지는 부분이 있으며, 디자인이 촌스럽다는 평이 있다.
  • 헤스티아가구: 마산에 본사가 위치해있으며, 자연 그대로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디자인을 추구하는 브랜드이다. 산하 브랜드로 레몬트리, 팀버가든 등이 있다.
  • 닥스 퍼니처: 영국의 패션 브랜드인 닥스에서 생산하는 가구 브랜드이다.
  • 나뚜찌: 1959년 '파스콸레 나뚜찌'에 의해 설립되어 반세기 이상 전 세계 가구업계의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는 이탈리아 최고의 가구 회사이다. 나뚜찌이탈리아(Natuzzi Italia)와 나뚜찌에디션스(Natuzzi Editions) 두 브랜드를 선보이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더홈’이 유일하게 수입 및 판매를 하고 있다.
  • 우아미가구: 1945년에 설립된 역사가 오래된 브랜드이다.
  • 듀오백: 의자를 주로 생산하는 브랜드이다. 듀얼 등판을 최초로 설계한 회사로 유명하다.
  • 코아스: 사무용 가구와 학교, 병원, 도서관 등에 납품하는 제품을 주로 생산하는 브랜드이다.

침대
  • 에이스침대: 국내 1위
  • 시몬스: 국내 2위
  • 지누스: 2022년 현대백화점그룹에서 지분 30%를 7,747억원에 인수했다.
  • 썰타코리아: 미국 1위의 매트리스 제조사 '썰타'의 한국 법인이다. 역사가 오래된만큼 수입산 침대 중에서는 인기가 제일 많은 편이다.
  • 씰리코리아: 썰타와 마찬가지로 미국에서 유명한 브랜드이다. 1950년에 세계 최초로 정형외과 의사들과의 협업을 통해 설립된 침대 전문 브랜드이다. 프리미엄 침대로 유명하며, 전세계 5성급 이상 호텔에 납품을 하며 기술과 품질을 인정받는 브랜드이다. 하지만 2019년 라돈이 검출되어 전량 리콜을 하며 이미지가 손상되었고 현재는 위세가 많이 줄었다.
  • 대명소노시즌: 대명소노그룹의 침대 브랜드이다.
  • 흙표흙침대: 흙침대로 매우 유명한 브랜드이다.
  • 장수돌침대(장수흙침대): '장수돌침대 별이다섯개' 밈으로 유명하다. 돌침대 분야에서는 점유율이 매우 높다. 흙침대도 생산한다.
  • 국민흙침대(국민돌침대): 흙침대를 주로 생산하는 브랜드지만 돌침대도 생산한다.
  • 템퍼: 침대베개도 생산하지만 원래는 매트리스로 매우 유명한 브랜드이다.
  • 알레르망 스핑크스: 이불로 유명한 알레르망의 침대 브랜드이다.

소파
  • 자코모: 국내 1위
  • 다우닝
  • 토레: 패브릭 소재중 고가인 알칸타라 소재의 소파가 주력인 브랜드. 소재 자체가 고가의 소재이다 보니 소파의 금액대도 1,000만원이 넘는 제품도 흔할만큼 상당히 고가인 편이다.
  • 밀로티: 다우닝의 자회사로 다우닝은 가죽 소파를 주력으로 판다면 밀로티는 패브릭 소재가 주력인 브랜드이다. 금액대는 다우닝보다 더 고가인 편.
  • 봄소와: 소파와 식탁을 생산하는 국내 브랜드이며, 비교적 고가이다.
  • 밀레
  • 에싸: 카시미라 소재의 소파가 주력인 브랜드. 에싸도 자코모의 자회사인데, 다우닝-밀로티의 관계처럼 자코모는 가죽 제품위주, 에싸는 패브릭 제품 위주로 판매중이다.
  • 헷세드: 국내 소파 브랜드 가운데 가장 고가 라인 중 하나. '엑센느 소파'로 알려져 있음. 현재 기준으로는 Toray 7000BX라는 인공소재로 제작된다. 후원협찬을 잘 하지 않아서 브랜드가 명시되진 않으나, 박나래, 전진, 김희철 등 유명 연예인들이 사용한 소파로도 알려져 있다.

1.2. 가구()

household

가족여부, 주민등록 여부는 상관없이 같이 모여사는 단위. 일상 생활에서는 세대(世帶)와는 유사어로 취급하지만 행정, 세법에서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가구(家口)란 일명 호구조사라고도 불리는, 5년 마다 시행하고 있는 인구주택 총조사를 할 때 사용한다. 가족여부, 주민등록 여부는 상관없이 같이 먹고자고 생활하는 사람을 뜻하는 말이다. 혈연, 혼인, 입양 등으로 한 집안을 이룬 사람들의 집단을 말하는 세대와는 달리 가구는 반드시 혈연 관계가 아니더라도 1인 이상이 모여 취사, 취침등 생계를 같이하는 생활 단위를 말한다.

한 가구에 소속된 사람의 수에 따라 1인 가구, 4인 가구 등으로 나누어진다. 한 마디로 집에 몇 명이 살고 있나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BTS가 같이 한 집에 살면 서로 가족은 아니지만 7인가구가 된다.

주택보급률을 계산할 때 가구수를 이용한다.

1.3. 통계

대한민국의 가구수는 1955년부터 통계를 내기 시작했으며 2017년 11월 1일 기준으로 2016만 8천 가구를 기록하여 사상 처음으로 2000만 가구를 돌파했다.

통계청 인구총조사에 따르면 1975년 통계까지 6인 이상 가구 비율이 가장 많았고, 이후 2005년 통계까지 4인 가구 비율이 가장 많았다. 이후 통계에서는 1인 가구 비율이 대세를 이루고 나날이 늘어 2010년 20%대에서 2021년 30%대까지 증가하게 된다. 2021년의 평균 가구원 수는 2.3명이다.

정부와 언론은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많아진 2010년 이후에도 10년이 넘게 지나도록 여전히 각종 통계에서 4인 가구를 기준으로 잡는 것을 고집해오고 있다. # 이는 저출산 때문으로, 4인 가구를 보편적인 가구 형태로, 그렇지 않은 가구를 기형적인 가구 형태로 관점을 의도적으로 잡아서 출산율을 늘려보자는 시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현 대한민국의 가구 실태를 왜곡하고 보편적인 가구원 수를 기준으로 정보를 전달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일본에는 약 5800만 가구가 있다고 한다.

1.4. 가구()

1.5. 가구()

사람이나 차가 많이 다니는 길을 뜻함.

1.6. 가구()

가로()와 가로 사이를 차지하는 한 구역을 뜻함.

1.7. 가구()

허구와 같은 뜻.

1.8. 가구()

낱낱의 재료로 조립하여 만든 구조물을 뜻함.

1.9. 가구()

잘 지은 글귀를 뜻함.



[1] 엄밀히 말하면 가구는 아니고, 실내에 공간을 만들어 가구처럼 이용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