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21:52:27

경복궁 흥복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현무문
천하제일복지천
오운각 옥련정
벽화실 청와대 관저
청와대 본관 청와대 녹지원 춘안당 융문당
칠궁 양정재 수궁(구 관저터) 융무당 태화궁
지희실 경농재(관풍루) 대유헌 경무대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수궁 청와대 춘추관
마장 관가문 희맹공신단
금화문 팔도배미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추성문 금위군직소 춘화문 춘생문
신무문 수문 계무문 광무문 춘도문 수문
숙문당 수문장청 군사방 팔우정 집옥재 협길당 각감청 관문각
건청궁
서녹산 어구 동녹산
태원전 영사재 대왕대비전 세답방
순화궁 세답방 중궁전 세답방 종각
빈궁 세답방 공묵재 왕대비전 세답방 가회정 보현당 남여고 육우정 녹직처소 내재실
동장고 통화당 순화궁 외소주방 숙경재 서진설청 선원전 동진설청 경안당
순화궁 내소주방 진전 소주방 진전 생물방 화락당 나인처소
회안전 문경전 서장고 향원정만화당 벽혜당(왕대비전 생물방) 대향당 나인처소
정훈당
함화당 집경당 전기등소 만경전 건기당(왕대비전 내소주방) 요광당(왕대비전 외소주방)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나인처소
숙설소 영훈당
원역처소 빈궁 생물방 상궁처소 다경합 건복합
제관방 회광당(빈궁 내소주방) 광원당(빈궁 외소주방)
수인문 흥복전 중궁전 수방 대왕대비전 수방 제수합 영보당 벽월당(상궁처소)
중궁전 침방 대왕대비전 침방
국별장직소 원역처소(접견소) 장방 원역처소 아미산 자미당 자경전 집희당(대왕대비전 내소주방) 춘소당(대왕대비전 침방) 취운당(대왕대비전 수방) 나인처소
침채고 예춘당(대왕대비전 생물방) 벽로당(상궁처소) 웅향당(상궁처소)
국출신직소 함정당(대왕대비전 외소주방) 계응당(상궁처소)
하향정 임향당 나인처소
무겸직소 함원전 건순각
인지당 나인처소 보월당(상궁처소) 자운당(상궁처소) 나인처소
경회루 함홍각
교태전원길헌
복희당(대전 생물방)
북소위장직소 흠경각
양의문대전 내소주방난지당(대전 외소주방)대소대금방(나인처소)
응지당 강녕전연길당
파수각 경성전 연생전
수문 향오문
영추문 수문장청 내각(규장각) 검서청(규장각) 대전장방(내시부) 천추전 사정전 만춘전 자선당비현각 장방 수문장청 건춘문
습회당 협오당 장원당 중궁전 수랏간 왕대비전 수랏간 등촉방 등촉방 장방 관리사무소
군사방 수정전 별감방 군사방
초관직소 장무관직소 입심억석(내의원) 주원(사옹원) 수정문 사정문 오상방 원역처소
훈국군번직소 침의청(내의원) 약방(내의원) 내반원(내시부) 협의문
융무루ㅓ
근정전계인문
융문루
통장청 문기수청 춘방
서소위장직소 의약청(내의원) 영화문 계방
옥당
(홍문관)
검서청(규장각) 대전 수랏간 계조당 훈국군번처소 초관처소
누국 당후(승정원) 정원(승정원) 숭양문 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일영대 선전관청 빈청
기별청
유화문
수각

덕양문
수각
봉선문 별군직청 주차장
영제교
춘방책고대청 상의원 면복각
신당 덕응방 북마랑 흥례문
전사청 연고 내사복시 거달처소 중마랑 동마랑 용성문 어도 협생문 계방 오위도총부
우마랑 국립고궁박물관 좌마랑 내구 연지 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수문장청
매표소
남소부장청 동소부장청
견마배청 남마랑 군사방 초관처소 영군직소
측사
측사 충장장청
서십자각 수문 광화문
(월대)
수문 동십자각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colbgcolor=#bf1400> 경복궁 흥복전
景福宮 興福殿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건축시기 1867년 (창건)
2019년 (복원)
파일:경복궁_흥복전 문화재청.jpg
<colbgcolor=#bf1400> 흥복전[1]
1. 개요2. 역사3. 구조4. 부속 건물
4.1. -흥복전 서 원역처소(興福殿 西 員役處所)-4.2. -흥복전 장방(興福殿 長房)-4.3. -수인문 행각(壽仁門 行閣)-4.4. -흥복전 동 원역처소(興福殿 東 員役處所)-4.5. -빈궁 소주방(嬪宮 燒廚房)-4.6. -다경합(多慶閤)-
5. 여담

[clearfix]

1. 개요

경복궁의 건물. 교태전의 후원인 아미산의 북쪽에 있다.

2. 역사

파일:조선고적도보 흥복전.png
<colbgcolor=#bf1400> 《조선고적도보》에 실린 흥복전
경복궁 창건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고, 1868년(고종 5년) 경복궁을 중건할 때 처음 건립했다.# 완전히 새 건물을 지은 건 아니고, 영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았던 창의궁의 함일재를 옮겨 지었다고 전한다. 경복궁 중건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강녕전, 교태전 등 내전의 주요 건물들이 2차례에 걸쳐 불타 없어지자(...) 임금이 사용하면서 경연, 신하들과 외국 공사를 만나는 등 공식적인 업무와 행사를 하는 공간이 되었다. 이후 효명세자의 부인이자 고종의 양어머니 신정왕후 조씨가 머물렀고 1890년(고종 27년) 4월 이 곳에서 승하했다.#

그러다 고종이 경운궁(현 덕수궁)으로 거처를 옮긴뒤 흥복전 제일 북쪽 빈궁 생물방과 부속 건물인 다경합을 헐어 경운궁의 자재로 사용하고 남아있던 흥복전 본채는 일제강점기에 헐려 사라졌다. 1917년 화재로 사라진 창덕궁 내전을 복구하는데에 자재로 쓰였다고 하나 옮긴 이후 어떤 건물이 되었는지는 모른다. 흥복전 자리엔 일본식 정원이 들어섰다.
<colbgcolor=#bf1400> 흥복전 공개를 다룬 YTN 뉴스 클립
문화재청은〈경복궁 복원 2차 계획 사업〉의 일환으로 2015년 9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총 174억원을 들여 약 3년 3개월에 걸쳐 복원 공사를 진행했고 2019년 7월에 공개했다. 정식 개방은 2020년.# 단청은 아직 칠하지 않았는데, 계획대로라면 2020년대 초중반에 모두 마칠 예정이었지만 단청 연구를 한 뒤 2025년에 단청을 칠하고 현판을 붙일 예정이라고 한다.

3. 구조

  • 기단은 4벌대의 장대석으로 쌓았고, 역시 4벌짜리인 계단을 정면에 3세트, 뒷면에도 3개를 놓았는데 뒷면 계단의 둘은 기단의 측면에 놓여있다. 주춧돌과 기둥은 사각으로 되어 있다.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에 공포는 초익공 양식이다. 용마루와 추녀마루, 내림마루는 양성바름을 하고 취두와 용두, 그리고 4개의 잡상과 토수를 놓았다.
파일:흥복전 내부 구성도 1.png
<colbgcolor=#bf1400> 흥복전 및 행각 내부 구성도
  • 정면 9칸, 측면 4칸의 총 36칸으로 정면 기준 양 끝 칸은 마루가 1칸 씩[2]구성되어있으며 마루 밑의 기둥 사이마다 나무 판문으로 막아놓았다. 서쪽의 마루 이름은 만의루(萬宜樓)이다.# 마루 안쪽에 온돌방 2칸을 두었고[3] 양 온돌방 사이에 대청 3칸[4]을 두었다. 정면의 가장자리 칸은 툇마루이나 뒷면의 가장자리는 온돌방으로 되어있다. 단, 대청과 연결된 뒷면의 칸은 툇마루이다. 그리고 건물 동북쪽에 4칸짜리 온돌방을 두어 ‘」’ 자 형태를 띄게 했다. 덧대인 온돌방의 동쪽, 북쪽 면에는 가퇴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북쪽 내행각은 동쪽부터 홍안당(弘安堂), 태지당(泰祉堂), 계형당(啓亨堂)으로 이루어졌다.
파일:흥복전 권역 배치도.png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의 흥복전 일대 배치도
  • 바로 남쪽에 아미산이 있기 때문에 남쪽 행각은 없으며 흥복전 영역의 정문 수인문(壽仁門)도 남쪽이 아닌 서쪽에 세웠다. 대신 외행각을 서,북쪽으로 갖추었으며 흥복전 본전과 각 행각 사이마다 작은 담과 문이 설치되어 영역을 분리했다. 이 중 서,북쪽 외행각은 현재 복원이 안된 상태로 관람로 등에 잠식된 곳을 제외한 서쪽 1랑,북쪽 3랑의 터를 정비해두었다. 지금 존재하지 않는 서쪽의 외행각은 남북으로 긴 채로 2겹을 이루었고,북쪽의 외행각은 옛 그림이나 배치도를 보면, 동서로 길었으며 4겹을 이루었다고 한다. 이 행각들은 궁인들이 머무는 처소와 음식을 만드는 빈궁 소주방 등으로 구성되었었다. 또한 동북쪽에는 다경합이라는 정면 5칸,측면 2칸의 부속 건물이 있었지만 경운궁(덕수궁) 건설을 위해 이건되어서 현재는 없다.[5]
<colbgcolor=#bf1400>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흥복전, 함화당, 집경당 전각마케팅 안내 영상
  • 궁궐 복원 역사상 처음으로 현대식 화장실빔 프로젝터, 전기 시설을 설치하여 화제가 되었다. 단순히 보존만 하는 게 아닌, 회의, 교육, 공연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기 위함이라고. 사실 예부터 보존 된 건물을 건드린 것도 아니니 큰 문제는 없고, 박제된 궁이 아닌 시민들의 살아있는 공간으로 활용한다는 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는다. 다만, 전기 시설 등 화재 위험 요소와 관련하여 보다 철저한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4. 부속 건물

원래의 경복궁 2차 복원 계획에선 아래의 건물들도 포함해서 복원될 예정이었으나
복원계획 축소로 아래의 건물들은 미복원 되었다.

4.1. -흥복전 서 원역처소(興福殿 西 員役處所)-

파일:흥복전 서편 원역처소.png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의 흥복전 서 원역처소 내부 구성도
景福宮 西 員役處所

경회루 북동쪽에 있던 제반관서에 딸린 구실아치인 원역들이 머무는 처소였다. 고종을 알현하려는 사람들이 대기하던 접견소 역할도 했다.
동편의 흥복전 장방과 마주보는 형태였다. 현재는 잔디로 터만 정비해 두었다.

4.2. -흥복전 장방(興福殿 長房)-

파일:흥복전 장방 2.png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의 흥복전 장방 내부 구성도
景福宮 興福殿 長房

경회루 북동쪽에 있던 각 관아의 서리(書吏)가 쓰던 방이였다. 서편의 흥복전 서 원역처소와 마주보는 형태였다.
현재는 잔디로 터만 정비해 두었다

4.3. -수인문 행각(壽仁門 行閣)-

파일:수인문 행각.png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의 수인문 행각 내부 구성도
景福宮 壽仁門 行閣

흥복전의 정문이였다. 행각 내부에는 군아에 속하여 원의 명령을 간접으로 받아 큰 소리로 전달하는 일을 맡아보던 사내종인
급창(及唱)을 관리하는 창차비(唱差備)가 있었다.
현재 터에는 화장실이 있다.

4.4. -흥복전 동 원역처소(興福殿 東 員役處所)-

파일:흥복전 동 원역처소 1.png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의 흥복전 동 원역처소 내부 구성도
景福宮 興福殿 東 員役處所

수인문 남서쪽에 있던 제반관서에 딸린 구실아치인 원역들이 머무는 처소였다.
현재 터에는 화장실이 있다.

4.5. -빈궁 소주방(嬪宮 燒廚房)-

파일:빈궁 소주방 1.png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의 빈궁 소주방 내부 구성도
景福宮 嬪宮 燒廚房

후궁의 음식을 만들던 곳이였다. 북쪽 3랑 서쪽에 평상시의 음식을 만들던 빈궁 내소주방(嬪宮 內燒廚房)인 회광당(會光堂)이
동쪽에 잔치 음식을 담당했던 빈궁 외소주방(嬪宮 外燒廚房)인 광원당(廣元堂)이 있었고
최북단 4랑은 경운궁 중건으로 이건되어 1907년(광무 11년)에 제작된 《북궐도형》에는 '금무(今無)' 즉 '현재는 없음' 으로 표시되었지만
1888년(고종 25년)에 제작된 다른 배치도인 《경복궁 배치도》를 보면은 서편에 음료와 다과를 담당했던 빈궁 생물방(嬪宮 生物房)이
동편에 상궁 처소(尙宮 處所)가 있었다.
현재는 잔디로 북쪽 3랑 남북 2랑의 터만 정비해 두었다.

4.6. -다경합(多慶閤)-

파일:경복궁 다경합 1.png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과 흥복전 발굴조사 내용을 합친 다경합 내부 구성도
景福宮 多慶閤

흥복전 북동쪽에 있던 정면 5칸, 측면 2칸의 별당이였다.
1873년(고종 10년)에 화재로 불탔다가 재건한뒤에 1877년(고종 14년)에 당시 세자인 순종과 사부의 상견례 장소로 이용했고
1907년(광무 11년)이전에 경운궁 중건으로 이건되어 가정당이 되었고 다시 창덕궁으로 이건된 걸로 추정된다.#
《북궐도형》에는 '금무(今無)' 즉 '현재는 없음' 으로 표시되었다.
《북궐도형》에는 동편에 복도각이 그려져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동편에 복도각이 있었다는 사실이 발굴조사에서 확인되었다.

5. 여담

<colbgcolor=#bf1400> 흥복전 복원에 시멘트를 사용했다는 논란을 다룬 〈KBS 뉴스 9〉 뉴스 클립
  • 복원 공사 도중 전통 건축에 쓸 수 없는 시멘트(...)를 썼다가 걸려서 재공사한 적이 있었다. 문화재청은 당초 이 사실을 모르다가 공사에 참여한 한 기능인이 폭로해 알게 되었다고.#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2] 정면, 측면을 합친 실제 칸 수는 총 4칸,[3] 이론 상 4칸이나 남북축으로 방을 트여 실제로 2칸이다.[4] 이론 상 6칸이나 공간을 전부 트여 1칸으로 사용하게 했다.[5] 그러나 정황상 이 건물은 창덕궁으로 또 이건 되어서... 현재는 창덕궁 가정당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4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4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