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온돌을 활용한 현대식 난방}}}에 대한 내용은 [[바닥난방]]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바닥난방#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바닥난방#|]]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온돌을 활용한 현대식 난방: }}}[[바닥난방]]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바닥난방#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바닥난방#|]]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if 넘어옴1 != null
'''구들'''{{{#!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한국의 로맨스 판타지 웹소설}}}에 대한 내용은 [[구경하는 들러리양]]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구경하는 들러리양#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구경하는 들러리양#|]]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한국의 로맨스 판타지 웹소설: }}}[[구경하는 들러리양]]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구경하는 들러리양#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구경하는 들러리양#|]]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온돌 관련 틀 | ||||||||||||||||||||||||||||||||||||||||||||||||||||||||||||||||||||||||||||||||||||||||||||||||||||||||||||||||||||||||||||||||||||||||||||||||||||||
|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wiki style="margin: 0px; margin-top: -12px; margin-bottom: -7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408080> | |
<colbgcolor=#408080><colcolor=#fff> 온돌문화 溫突文化 Ondol (Underfloor Heating) | ||
소재지 | 기타 | |
분류 | 무형유산 / 전통 생활관습 / 주생활 | |
지정일 | 2018년 4월 30일 |
| |
온돌의 구조 | }}}}}} |
1. 개요
온돌(溫突 또는 溫堗)은 열원을 이용하여 바닥을 데우고, 다시 바닥의 열기로 방안의 공기를 데우는, 대류의 원리를 이용한 난방 방식이다.온돌이라는 명칭은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편에 최초의 기록이 있다. 한반도에서는 고대부터 온돌 유적이 확인되며, 17세기 소빙하기를 기점으로 온돌이 크게 확산되었다. 온돌의 대중화는 한국인 고유의 생활문화를 만드는 데 많은 영향을 끼쳤다.
현대에는 불과 연기를 이용한 전통적 방식뿐만 아니라 온수배관을 이용한 바닥난방 방식도 관습적으로 온돌이라고 부르고 있다.
2. 원리
온돌은 방바닥 밑에 깔린 넓적한 돌(구들장)에 화기를 도입시켜 온도가 높아진 돌이 방출하는 열로 난방한다. 뜨거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고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내려가기 때문에, 바닥을 데우면 방 전체의 공기가 데워진다. 전도에 의한 난방 이외에 복사난방과 대류난방을 겸한다.전통 한옥 구들 밑에는 미로처럼 칸막이를 끼워서 연기가 골고루 퍼지거나 길게 한바퀴 돌고 굴뚝으로 빠져나가게 되어 있다.
3. 구조
- 부뚜막: 솥을 걸 수 있도록 아궁이 위에 흙과 돌을 쌓아 만든다.
- 함실: 취사 용도 없이 난방만을 위해서라면 부뚜막 대신 함실을 설치한다.
- 불목(부넘기): 열기와 연기가 방고래 밑으로 넘어가는 좁은 턱.
- 고래: 열기와 연기가 지나는 길.
- 고랫둑: 고래와 고래를 구분지으며 동시에 구들장을 지지한다. 과거에는 자연석으로 만들었지만 지금은 벽돌이나 블록으로 만든다.
- 윗목개자리: 윗목 부분에 길고 좁게 자리한 구덩이로 여기에 모인 연기는 굴뚝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깊이는 최소 3자 이상(1m)으로 파는 게 좋다.
- 식은담: 고래와 외벽 사이의 경계벽으로 외벽과 약간 띄워야 한다.
- 연도: 윗목개자리에 모인 연기가 굴뚝으로 나가는 길. 지금은 주로 PVC관을 쓴다.
- 굴뚝개자리: 굴뚝 아래의 깊이 패인 부분
- 굴뚝: 연기가 빠져나가는 부분. 지금은 주로 PVC관이나 아연강관 등을 쓴다.
- 구들장: 과거에는 자연석들 중에서 적당한 두께의 넓적한 판석을 구해 썼다. 지금은 주로 제단된 현무암을 쓴다.
4. 역사
4.1. 전근대
온돌은 한반도의 기후에 적응해 발달했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연교차가 30도 내외로 나다 보니 겨울과 여름을 둘 다 날 수 있어야 한다. 산을 등지고 강을 마주 보는 배산임수형 주거지가 발달했다. 여름에는 마루에 바람이 들게 하고, 겨울에는 온돌로 방을 덥혔다.온돌은 기원전 4세기 옥저 시대부터 있었다고 추정한다. 구석기시대와 청동기 시대의 유적에서 온돌의 원형으로 추정되는 형태가 발견되었다.# 구당서는 고구려에서 긴 구덩이를 만들고 그 아래에 불을 때어 따뜻하게 하였다고 기록했다. 이 당시의 온돌은 방 일부만 데우는 ㅡ자나 ㄱ자 형태였고, 이후 고려 시대 중기로 와서 현재의 방 전체를 데우는 온돌의 구조가 완성되었다.
문헌 연구에서는 13세기 전기에 개경을 중심으로 중상류층의 기거처에 온돌 사용이 퍼졌으며, 고려 말기에는 한반도 남부지방으로 온돌이 확산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한반도 남부지방에 위치한 말흘리 고려시대 건물지에서 온돌과 방이 연접되어 설치된 건물들이 나와 12세기 이전에 한반도 남부지역의 중상류층의 가옥에서도 온돌이 보급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온돌방과 마루가 연접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도 역시 12세기의 실증유구가 발견됨에 따라 그간의 연구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만들어졌음이 확인되었다.
이원익이 아뢰기를, "신이 전에 듣건대, 선조(先朝)의 나인들이 모두 말하기를 ‘사대부 집 종들도 온돌에 거처하는데 나인으로서 마루방에 거처해서야 되겠는가.’ 하므로 이로부터 대궐 안에 온돌이 많아졌다 하니, 마루방으로 바꾸면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인조실록 5권, 인조 2년 3월 5일
조선 초까지 온돌은 하층민 문화로 인식되었고, 화로를 이용하는 상류층은 잘 쓰지 않았다. 온돌은 17세기 소빙하기를 겪으면서 본격적으로 보편화되기 시작했다. 17세기에는 건물에서 온돌이 있는 방과 없는 방을 다른 단어로 구별해 썼는데, 18세기에는 구분 표시가 사라져, 모든 방에 기본적으로 온돌을 시공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1]인조실록 5권, 인조 2년 3월 5일
온돌의 확산으로 나무 땔감의 수요가 급증했다. 17세기 초에 비해 19세기 말~20세기 초의 가정용 연료재 소비량은 대략 2~5배 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 실록에는 벌목으로 인한 토사유실로 농업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에 대한 논의가 발견된다. 땔감을 구하기 어려워지자 몰래 나무를 베는 도벌이 심화됐다. 18세기에는 산림의 소유권을 둘러싼 송사인 산송(山訟)이 증가했다. 서유구는 "도시의 땔나무 가격이 높아 소상인의 소득 태반을 부뚜막에 태우게 된다"고 기록했다.
조선 조정은 산림 보호를 위한 금산(禁山) 규제를 강화하고, 비변사와 각 지방 군관을 동원해 나무 심기를 시행했다. 1788년에는 소나무를 보호하기 위한 산림법인 송금사목을 제정했다.# 그러나 조정의 규제에도 회복보다 소모가 빨라 삼림이 심각하게 고갈됐다.[3] 도시뿐만 아니라 농경 인구가 어느 정도 있는 지역 대부분에서 숲이 사라졌고, 개마고원 일대나 백두대간처럼 교통이 불편해 벌목이 어려운 지역만 생태가 유지됐다. 구한말에는 민둥산이 아닌 산이 없다고 이야기할 정도가 되었다.
조선 후기 땔감 부족이 심화되면서 온돌을 부정적으로 보는 견해가 증가했다. 박지원은 열하일기에서 청나라의 벽돌 건축을 찬양하며 한국식 온돌의 단점을 비판했는데, 황토와 돌로 만들면 돌에 바른 황토의 두께에 따라 온도가 균일하지 않고 열이 여기저기서 새어나가지만 벽돌로 만들면 수수깡 몇 줌으로도 집안 전체를 달구기 좋다고 칭찬했다.[4] 성대중은 청성잡기에서 "무리한 벌목으로 인한 산림이 파괴되고 젊은이들이 온돌 때문에 게을러진다"고 지적했다.
고상식 온돌이 설치된 건축물 | |
<nopad> | <nopad> |
경상북도 상주시 대산루 | 경주시 옥산서원 무변루 |
개화기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들은 온돌에 대한 기록을 많이 남겼다. '벽난로에 비해 매우 효율적인 방식'이라는 칭찬도 있지만, '조선인들은 빵처럼 구워지는 것을 좋아한다',[6] '용광로에서 잠을 자는 기분이었다' 등 너무 뜨겁다는 기록도 많다. 조선에 파견 온 러시아 군인은 "손님이 오면 아랫목을 내주고 손님을 대접하기 위해 불을 더 때주는 풍습이 있다"고 기록했다.[7] 조선을 방문한 이사벨라 버드 비숍은 너무 뜨거워 문을 열었는데, 주막주인이 소리를 지르며 달려와 "호랑이가 물어간다"면서 문을 닫아버렸다고 했다. 문을 열어도 당시 조선의 겨울은 너무 매서워 온돌 바닥은 뜨거운데 공기는 차가워서 괴로웠다는 기록도 있다. 온도가 33도에서 40도에 달하는 경우도 많았다고 하니,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에게는 상당히 고역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4.2. 현대
1960년대부터는 온돌의 연료로 목재 대신 연탄이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부작용으로 연탄에서 발생한 일산화탄소로 가스 중독 사고가 많이 발생했다. 목재는 연기가 새면 쉽게 느낄 수 있는 반면, 일산화탄소는 색과 냄새가 없고 자극이 느껴지지 않아 사고 위험이 더 높았다. 때문에 1980년대 병원에는 작은 병원이라도 '철폐'(iron lung)라는 고압산소 탱크를 구비해놓고 있었다. 철폐 안에 환자를 집어넣고 안에 높은 압력의 100% 산소를 채우면 환자의 적혈구에 붙어있는 일산화탄소가 분압차로 밀려난다.[8] 건설 재료로는 시멘트가 확산되었는데, 반복된 주거 충격과 온돌의 열에 의해 내구도가 갈수록 약화되는 약점이 있었다. 구들장을 교체하는 비용이 부담스러워 고쳐 쓰다 보니 연탄가스 사고 위험이 컸다.1980년대 이후에는 온수 보일러식으로 덥힌 물을 바닥에 깔린 비닐호스로 순환을 시켜서 바닥난방을 하는 방식이 시공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 온수 보일러도 원시적인 것이라 주전자 만한 온수통에 물을 보충을 해가며 쓰려고 대부분의 집은 그냥 비닐호스를 바닥에 깔았고 온수를 연결했기 때문에 열효율상 방 바로 바깥에 설치할 수밖에 없었다.
현재는 도시가스와 상수도관을 연결해 자동으로 온도를 조절하는 가정용 보일러가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온돌이 시공되지 않았거나, 과도한 난방을 원하지 않는 경우를 위한 전기장판과 온수매트같은 제품도 널리 확산되었다.
현대 한국에서는 관습적으로 바닥난방을 전부 '온돌'이라고 하지만,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온수 방식은 전통적 온돌과 기술적 연관성이 낮다. 국내에서 널리 쓰는 온수 온돌은 1908년 영국의 A.H Barker가 발명한 온수관 패널난방[9]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10]
온수를 순환하여 난방하는 시스템은 파이프를 바닥에 매립하고 물을 순환시켜야 해서 항상 누수 위험이 있다. 그래서 시공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초기 아파트에는 온돌을 깔 수 없었으나,[11] 결국 건축기술의 발전으로 대한민국의 단독주택, 아파트 구분 없이 어지간한 한국 주택에는 어떤 방식으로든 바닥에 온돌이 깔려있다.
해외에서도 친환경 난방법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대류식 난방은 매질이 공기인지라 열기가 금방 사라진다. 그러나 온돌은 매질이 물이라 축열 효과가 높다. 원리적으로는 라디에이터와 유사하지만, 온돌은 콘크리트도 2차 매질이 되므로 최종 효율이 더 높다. 그러나 온돌이 대중화된 한국과는 달리, 해외에선 온돌 난방이 흔한 시공법이 아니라 숙련된 시공자가 많지 않으므로 시공 비용이 높은 편이다. 그래서 개인주택보다는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이나 친환경 인증 목적으로 상업용 대형 건물에 도입하는 사례가 더 많다. 하지만 개인주택도 바닥난방을 할 경우에 기관에서 공사비를 지원해 주는 식으로 권장하고 있다.
5. 문화적 영향
한국에서는 17세기에 온돌이 대다수의 가정으로 보급되면서 입식 문화에서 좌식 문화로 전환되었고, 신발을 벗는 생활과 단층 주거 선호가 나타났다.[12] 이는 현대에 들어서도 각 세대가 한 층을 쓰는 아파트를 선호하는 이유가 되었다. 서양인들이 복층 주택을 선호하는 것에 비하면 대조적인 현상이다.계속 불을 때는 온돌의 아궁이에 솥을 놓고 조리하면서 국물 요리가 발달했다.
6. 종류
대체로 불길이 있는 줄고래와 불길이 없는 허튼고래 두 종류로 분류되며, 이 2가지를 절충한 절충식 고래도 있다.6.1. 줄고래
- 일자고래 - 여러 줄의 고랫둑을 일렬로 길게 놓는 방식으로 흔히 줄고래 하면 이 방식을 가장 먼저 떠올릴 정도로 널리 쓰이는 고래 방식. 열기가 아랫목에서 윗목까지 빨리 전달되므로 아랫목과 윗목의 온도 차이도 적다. 방 가장자리에 열이 덜 들고 허튼고래 방식보다 비용이 더 드는 점이 단점.
- 외줄고래
- 도롱이고래
- 되돈고래
- 선자형고래
6.2. 허튼고래
불길을 만들지 않고 구들장을 떠받치는 받침돌만 세우고 그 위에 구들장을 얹어놓은 방식.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지만 아랫목과 윗목의 온도차가 크며 구들장의 하중이 고르게 분배되지 않아 줄고래일 경우보다 구들장이 내려앉을 가능성이 높다.6.3. 절충식 고래
줄고래와 허튼고래를 절충시킨 방식으로 구들방이 장방형인 경우 아랫목은 줄고래로, 윗목은 허튼고래로 시공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6.4. 아자방
전설에 의하면 '아자방'이라는 구들이 있었다고 한다. 아자방은 신라 효공왕 때 구들 도사로 불리던 담공선사가 칠불사 벽안당에 아(亞) 자형으로 길이 약 8m의 이중 온돌방을 축조하였는데, 온돌의 구조가 특이하여 아궁이는 지게를 지고 들어갈 만큼 거대하고 불을 한번 때면 49일간이나 따뜻하였다고 한다.그러나 1948년, 공비를 토벌한답시고 군부대가 칠불사 아자방을 불태워버리는 만행을 저질러 아자방은 온돌만 남아 있었다가 1982년 복원되었다. 당시 온돌 보수공사를 맡은 구들장 장인 김용달은 '아자방의 원리를 알 수 없어 일반 형태로 놓았다.'라고 하였고, 이 때문에 그때 당시만 해도 아자방의 구들 본래 모습은 찾아보기 어려웠으며 한번 불을 넣으면 3~4일 정도 온기가 유지될 뿐이었다.
1982년 당시에 이를 확인해본 결과 봄, 가을에는 온기가 10일 정도 유지되었다고 한다.[13] 구들 전문가들은 전설의 49일이 유지 불가능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다만 전통 구조의 도자 가마나 숯가마의 열 보존 상태를 생각해보면 전혀 불가능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더불어 선방이라는 승려들의 수련처라는 장소의 특성상 굳이 고온의 지속적 유지는 불필요하다는 점도 또한 염두에 두어야 할 부분이다.
2019년, 많은 사람들의 노력 끝에 아자방의 원리를 알아냈다. 가마 형태의 대형 아궁이와 보조 아궁이, 이중 구들을 설치하고 많은 장작을 쌓아두어 불이 서서히 오래 타도록 하여 온기를 유지하였다. 아자방을 복원하였는데 한 번 불을 넣으면 약 25일까지 온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고 한다.[14]
6.5. 굴묵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굴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굴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해외 유사 사례
7.1. 동아시아
|
|
일본에서 유카단보는 '따뜻하지만 난방비가 많이 든다'는 인식이 있다. 목재 바닥을 선호하는 일본 특성상 콘크리트에 비해 열기가 금방 식기도 하고, 건물이 오래되어 단열이 부실하면 방 전체를 데우는 유카단보는 쉽게 열을 빼앗긴다.
7.2. 구미권
|
|
|
8. 기타
- 전통 한옥의 온돌은 아궁이를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기온이 높은 계절(늦봄~한여름)에는 야외 아궁이를 따로 두고 밥을 지었으며, 잠도 대청마루에서 자거나 마당에 평상을 깔고 자야 했다. 지금도 시골에서 관습적으로 볼 수 있는 풍경이다.
- 불을 다 땐 후에는 아궁이의 입구를 막는데, 개나 고양이가 구들 안으로 기어들어 갔다가 죽는 걸 막기 위해서다.
- 고구려 군대 주둔지 유적에서 병사들의 숙소가 말이 있는 마굿간에 한편으로 붙은 형태로 발굴이 되었는데, 실내에 통로 한켠으로 병사들이 머무는 주변보다 높여진 바닥에는 온돌 시설이 되어 있었다.
- 전기밥솥이 드물던 시절에는 온돌을 밥을 보관하는 데도 썼다. 이 시절을 묘사한 소설 등에서 '아랫목에 묻어놓은 밥' 운운하기도 하는데, 워낙 따뜻하기 때문에 이불 몇 겹 깔고 밥통을 놔두면 몇 시간이 지나도 잘 식지 않는다. 단 밥통이 부실할 경우 사람도 같이 이불을 덮고 있다가 뒤척이면서 밥이 엎어지거나 하는 사례도 있었다. 밥뿐만 아니라 메주나 청국장을 발효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이불에서 매우 구린 냄새가 나게 되기 때문에 선호되지는 않았다. 보통 독립된 별채나 빈 방에다가 따로 메주를 띄웠는데, 이 때 아궁이 불 관리를 잘 하는 것이 중요했다.
- 일본어 가타카나로 표기하면 온도루(オンドル)가 된다. 그래서인지 온돌과 관련된 기사가 5ch에 뜨면 온두루어가 줄줄 달린다. オンドル와 オンドゥル의 차이가 스테가나 하나 차이이기 때문이다.
- 한국 아이돌 그룹인 카라가 일본 방송에 출연했을 때 코타츠를 소재로 일본 문화 체험을 하는 방송이 진행된 적이 있었다. 일본인들은 다들 코타츠와 관련된 추억이 있기 때문에 카라에게서도 훈훈한 반응을 기대했지만, 한국에서는 온돌을 많이 사용하고 코타츠에 대해 별다른 얘기할 것도 추억도 없기 때문에 코타츠에 대해 카라 멤버들은 크게 신경쓰지 않았다. 이 방송에서 멤버 한승연은 "한국엔 그런 거 없어요! 한국에선 바닥 전체를 덥혀요!"라고 대답해 양 국가의 난방 구조 차이를 여실히 드러낸 바 있다.
- 온돌의 구조가 방바닥 밑에 공간이 있는 구조이다 보니, 타짜 1부에서는 방바닥에 홈을 파고 온돌 밑에 숨어 있던 사람이 화투패를 넘겨주는 구들치기라는 수법을 구사하기도 했다. 주인공과 고광렬이 눈치채고 고광렬이 방이 추우니 불 지피자고 해서 실패했다.
-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선수촌 숙소로 현대식 온돌이 적용된 최신식 아파트가 제공되어 따뜻함으로 선수들에게 뜨거운 사랑을 받았다. 올림픽 이후에는 일반 아파트로 분양되었다.
- 캐나다의 쇼트트랙 선수 샤를 아믈랭이 평창 선수촌 숙소에서 온돌 바닥에 누워서 TV를 보고 있는 모습이 인스타그램에 올라와서 소소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 영상이 화제가 된 이유는, 캐나다나 미국 같은 대부분의 북미권에서는 좌식생활을 하는 문화가 아니다보니 바닥에 누워있는 모습이 신기하게 보였기 때문이다. 서구권에서는 신발이나 슬리퍼를 신고 카펫을 까는데, 이 카펫 용도가 바닥의 냉기를 막고 신발에서 떨어지는 먼지를 흡수하는 목적이라 청소를 잘 안 하면 변기 이상으로 더러워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바닥에 눕는 경우는 별로 없다.#
- 2018년 4월 30일 '온돌문화'가 대한민국의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한국의 겨울은 건조한데 난방까지하면 더 건조해지기 쉽다. 그러니 가습기를 함께 쓰는 것이 좋다.
- 테르마이 로마이에서 일본의 전통 온천 시설의 한 종류로 소개되고 있다. 물론 한국에서 건너간 그 온돌 맞다. 애초에 이름부터 온도루. 상술한 바와 같이 로마 시대에도 온돌과 비슷한 것이 있었기에 두 소재를 엮어서 스토리를 짠 듯. 아베 히로시 주연 테르마이 로마이 실사판 1편에서도 주요 아이디어로 나온다.
9. 관련 문서
[1] 정정남. 2018. 18세기 이후 조선사회의 온돌에 대한 인식변화와 난방효율 증대를 위한 건축적 모색.#[2] 1911년 조선총독부의 조사에 따르면 장작과 지엽 등 가정용 연료재로 가구당 연간 7,400kg을 사용했는데, 조선 후기에도 비슷했을 것으로 본다.[3] 2020. 조선후기 산림과 온돌. 국립산림과학원.#[4] 중국의 캉은 온돌에 비해 크기가 작고 벽돌을 사용해 비교적 시공이 일정했다.[5] 온돌이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전인 고려와 조선 전기까지는 일반 주택에도 다층 건물이 꽤 있었다고 한다. 고려도경에서는 "개성 선의문으로 들어가면 수십 가호마다 누각이 하나씩 있다"고 기록했다.[6] 2005. 스웨덴 기자 아손, 100년 전 한국을 걷다[7] 2003. 내가 본 조선, 조선인: 러시아 장교 조선 여행기[8] 1990년대 말 신촌세브란스병원 응급실에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철폐를 치우자고 했을 때, 당시 응급의학과장이 "아직도 연탄 때는 집이 많다"며 화를 냈던 일화가 있다.[9] https://www.youtube.com/watch?v=2xVp7N0Vojk[10] 한국 현대 아파트 온돌의 형성 : 주택공사 아파트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논문[11] 와우시민아파트 붕괴 사고의 원인 중 하나로 시공사에서 골조만 책임지고, 입주자 부담으로 온돌 등 내부공사를 진행하다보니 하중을 크게 초과한 것이 꼽힌다. 설계하중부터 지나치게 낮게 잡은데다, 그마저도 부실시공으로 끝내버린 와우시민아파트는 추가 무게를 견디지 못했다.[12] 좌식공간관습의 건축사적 함의 - 신발의 문제를 중심으로 -, 조재모, 건축역사연구, 2012, vol.21, no.1, 통권 80호 pp. 83-98 (16 pages), 한국건축역사학회[13] 과학동아 2001년 1월호[14] ##[15] 床(바닥)+暖房(난방)[16] 난로를 뜻하는 러시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