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0 20:06:06

가사


1. 歌詞2. 歌辭
2.1. 목록
3. 家事4. 假死5. 袈裟6. 假使

1. 歌詞

📖 문학의 갈래
<rowcolor=#fff> 서정 서사 교술
가사 소설 희곡 각본 수필 평론

노래 제작의 3요소
작사 작곡 편곡
가사 선율 반주


가사(lyrics)는 가곡, 가요, 오페라 따위로 불릴 것을 전제로 하여 쓰인 글을 의미한다.

중국 당송대의 문학 장르인 사(詞)에서 비롯된 단어다. 이것을 짓는 것을 작사(作詞), 바꾸는 것은 개사(改詞)라고 한다.

보통 운문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운문과 산문의 중간이라고 보면 된다.

1.1. 저작권

나무위키 같은 위키와 검색엔진 등 인터넷상에 노래 가사가 게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가사 게재에 관한 문화체육관광부의 답변은 이렇다.
Q: (음악·가사)노래가사를 웹사이트(예를 들어 가수 팬클럽 웹사이트)에 올리는 것도 불법인가?
A: 노래가사는 작사자가 따로 있는 것이고, 그의 허락 없이는 복제나 전송을 할 수 없다. 가수 팬클럽 웹사이트에 노래가사를 올렸다면 가수의 허락이 필요한 것이 아니고 저작자(작곡가, 작사가)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가수는 자신의 노래가 이용되는 경우에 한해 권리를 주장할 수 있기 때문에 가수가 인정한 팬클럽이라 하더라도 다른 사람의 것(노래 가사)을 이용할 수는 없다.
그런고로 비영리 목적이라고 하더라도 작사자의 허락을 받은 경우가 아닌 한 공유하는 건 원칙적으로 불법이다. 물론 수많은 가사 사이트가 있고 이걸 작사자가 고소했다는 사례는 없지만 나무위키처럼 공개된 사이트에 가사를 통째로 올리는 건 저작권법상 불법이다. 하지만 소속사 측에서는 가사의 게재가 주력상품인 음반의 판매, 홍보에 도움이 되는 탓에 별다른 압력을 가하지 않는다. 사실 소속사 측에서도 이것이 불법이라는 것을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예전처럼 음악을 CD 사야 들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유튜브에 버젓이 올라와 있는 데다 저작권 등록만 제대로 해 두면 수익도 다 소속사에 들어오고 가사 역시 음원 사이트에 죄다 올라오기 때문에 막고자 해도 막을 수 없다.

일본의 경우는 JASRAC 문서를 참조. 일본에서도 비영리 목적으로 가사 자체를 적어 놓는 것은 딱히 문제삼지 않는다.

2. 歌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시대
~ 삼국
통일신라
고려
조선
구한말
가사
향가 시조
#s-2 개화 가사
악장 창가
한시
민요 · 무가
서사
-
- 가전체
설화(신화 · 민담 · 전설) · 민속극
현대문학 · 장르문학 }}}}}}}}}

조선 초기에 나타난 시조와 산문 중간형태의 문학. 형식은 주로 4음보의 율문(律文)으로, 3ㆍ4조 또는 4ㆍ4조를 기조로 하며 행수(行數)에는 제한이 없다. 마지막 행이 시조의 종장과 같은 형식[1]인 것을 정격(正格), 그렇지 않은 것을 변격(變格)이라고 한다. 백광홍의 관서별곡, 정철관동별곡이나 정극인상춘곡 같은 것이 이에 해당한다.

여기서 음률을 붙인 정가(국악)라는 한국 특유의 성악 문화가 있다.

무등산 광주·담양 일대도 귀양오거나 낙향한 선비과 아름다운 풍광 덕에 가사문학 본산으로 불리고 그에 맞게 가사문학면이란 행정구역 명칭이 있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세계기록유산
아시아 · 태평양 지역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국의 편액

만인의 청원, 만인소

조선왕조 궁중 현판

삼국유사

내방가사

태안 유류피해 극복 기록물
}}}}}}}}} ||

한편 영남 일대 양반 여성 사이에서 성행한 장르로 내방가사(=규방가사)[2]가 있다. 자료도 많이 남았고 안동시·한국국학진흥원 추진해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목록으로 2022년 11월 26일[3] 347건이 등재됐다. 총회에서 '당시 여성들의 사회적 인식을 담았고 한글이 사회의 공식 문자로 발전하는 과정을 보여준다'고 평했다.#공식 아카이브

그외 대표적으로 기행문인 기행가사, 개화기에 쓰인 계몽 목적의 개화가사 등이 꼽힌다.

2.1. 목록

분류:가사 참조.

3. 家事

한집 안의 사사로운 일이나 살림살이, 즉 집안일을 뜻한다. 가정에 관련된 법률 용어로 쓰인다. 가사노동 문서 참조.

과거 중학교고등학교에서 여학생 전용 교과로 개설되기도 했다.

의외로 설거지에 쓰는 물을 뜻하는 '개수'와 동원어이다.

4. 假死

'가짜 죽음'이라는 뜻으로, 생리적 기능이 약화되어 죽은 것처럼 보이는 상태를 이르는 의학 용어. 정신을 잃고 호흡과 맥박이 거의 멎은 상태이나, 동공 반사만은 유지되므로 아직 죽은 상태가 아니라서 심폐소생술로 살려 낼 수 있다.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의 대부분은 이 상태인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 상태를 유발하는 가사약이 일부 매체에서 언급된다. 메탈기어 솔리드 3에서 네이키드 스네이크코브라 부대의 더 소로우(The sorrow)를 만날 때, 가사약과 소생약을 같이 사용하여 줄거리를 진행해야 한다. 이어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줄리엣이 가사약을 먹는데, 로미오는 줄리엣이 진짜 죽었다고 생각하여 자살하고 만다.

5. 袈裟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사(의복)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가사(의복)#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가사(의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假使

가정(假定)하여 말하여. '가령'으로 순화하면 된다. 판결문에 등장하는 대한민국 법원의 판례 한자 표현 중 하나이다.
[1] 3.5.4.4 혹은 3.5.4.3자가 많다.[2] 내방(규방)은 여성이 살던 안채를 말하는데, 여성이 향유한 문화를 말할 때 접두사로 자주 쓰였다.[3] 제9차 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위원회 총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