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으로 쓴 직접 쓴 글 또는 그 글씨를 가리키는 수필\(手筆\)에 대한 내용은 손글씨 문서 참고하십시오.
관련 문서: 문예 관련 정보
문학의 갈래 | ||||||
<rowcolor=#fff> 서정 | 서사 | 극 | 교술 | |||
시 | 가사 | 소설 | 희곡 | 각본 | 수필 | 비평 |
1. 개요
수필(隨筆) 또는 경수필(輕隨筆, miscellany)은 일정한 형식을 따르지 않고 가볍게는 일상적인 느낌이나 체험[1]을 생각나는 대로, 자유롭게 쓰는 산문 형식의 문학을 가리킨다. 가벼운 잡기를 자유롭게 서술하는 경수필에 대비하여 사회적 주제 또는 철학적 사색 등을 무거운 논조를 통해 논리적, 객관적으로 서술하는 글은 중수필(重隨筆)이라고 한다.2. 정의
본래 영어 어휘 '미셀러니(miscellany)'는 '기타', '모음집', '선집',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여러가지 잡다한 것을 모아놓은 것'이라는 뜻으로, 이를 경수필에 대응시킨 것은 가장 큰 특징인 무형식의 형식성을 살린 번역이라 할 수 있다.반면, 중수필과 '에세이(essay, 수상록)'는 완전히 겹치는 분류가 아니다. 에세이에는 중수필, 학술적 논설문 및 소논문(小論文), 대학 과제물, 자기소개서가 포함되기 때문이다. 논설문과 소논문은 논문에 가까운 형태로 작성해야 하며 문학적 창작물이 아니다. 서술자의 주관이 드러나더라도 학술적 논증과정을 거쳐 작성해야 한다. 영어로는 대학에서의 과제물(assignment)로 요구되는 글 형식의 리포트도 '에세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보다 전문적인 글쓰기 수업을 강의할 때는 수필과 서구식 에세이 개념을 따로 나눠 설명하는 편이다.
3. 특징
소설처럼 산문 문학글이라 인간의 삶으로 교훈, 깨달음을 주지만, 주인공과 사건의 사실여부가 허구적인 소설과는 달리 이쪽은 주인공이 글쓴이 본인이고, 사건은 글쓴이의 삶이 전체적으로 반영되어있는 사실이라는 차이가 있다. 한마디로 현실성을 넘어 실제로 있었던 일을 기반으로 자신의 사감을 섞어 자유롭게 작성한 글이다.원래는 문학의 장르에 주로 쓰이지만 웹툰에 일상물이 많이 등장하게 되면서 마음의소리가 단행본 발행 당시 서점에서 "수필"로 분류된 걸 보고 작가가 당황한 적이 있다. 이론 상으론 맞지만...
panpanya의 작품들은 표현 형식이 만화이다 뿐이지, 소재, 정서, 서술방식, 분량 등 모든 측면에서 정통 수필 문학의 특징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인터넷에 번역 소개된 에피소드들은 다소 허무개그 스러운 것들 위주로 선별 되어서 개그만화인가 싶지만, 책으로 읽어보면 확실히 수필집스럽다. 환상적 설정이 대부분 빠지고 기행문의 형태를 띄고 있는 구야바노 홀리데이에서 극명히 드러난다.
4. 분류
5. 수필가
가나다순.- 계용묵
- 고동주
- 김병권
- 당송팔대가 - 한유, 유종원, 구양수, 소순, 소식, 소철, 증공, 왕안석
- 랠프 월도 에머슨
- 로맹 롤랑
- 모리스 마테를링크
- 무라카미 류
- 법정
- 살만 루슈디
- 세이 쇼나곤
- 에밀 시오랑
- 윤경수
- 윤오영
- 이규태
- 이상
- 이어령
- 장영희
- 전혜린
- 정채봉
- 조지프 콘래드
- 최원현
- 최재천
- 피천득
- 홍사임
- 훌리오 코르타사르
- 윤서람
5.1. 목록
자세한 내용은 분류:수필 문서 참고하십시오.가나다순.
- 1리터의 눈물
- 4001
- 548일 남장 체험
- 가능한 꿈의 공간들
- 겸손한 제안
- 고전 수필
- 규중칠우쟁론기: 소설 같겠지만 고전 수필이다.
- 마쿠라노소시
- 이옥설
- 토실을 허물어 버린 설
- 골든아워
- 구두
- 그러라 그래
- 나는 나로 살기로 했다
-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
- 나무야 미안해
- 나쁜 페미니스트
- 뉴스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딸꾹!
- 도시락 편지
- 독고다이
- 동명일기
- 라면을 끓이며
- 루씨씨는 영국에 있어요
백성귀족(?): 작가의 이야기를 만화로 만든 실화다- 무소유
- 방망이 깎던 노인
- 빛의 아버지
- 사이언스?
- 수상록
- 수용소군도
- 수용소의 노래
- 아버지의 깃발
- 아프니까 청춘이다
- 안내를 부탁합니다
- 안녕, 소중한 사람
- 어느 수학자가 본 기이한 세상
- 어린이라는 세계
- 유혹하는 글쓰기
- 은전 한 닢
-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
- 인연
- 일본은 없다
- 일본의 검은 안개
- 잘먹고 잘사는 법
-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 천 번을 흔들려야 어른이 된다
- 카탈로니아 찬가
- 피딴 문답
- 피피루는 일본에 있어요
- 흥하는 말투 망하는 말씨
6. 어록
수필(隨筆)은 청자 연적(靑瓷硯滴)이다. 수필은 난(蘭)이요, 학(鶴)이요, 청초(淸楚)하고 몸맵시 날렵한 여인(女人)이다. 수필은 그 여인이 걸어가는, 숲 속으로 난 평탄(平坦)하고 고요한 길이다. 수필은 가로수 늘어진 포도(鋪道)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길은 깨끗하고, 사람이 적게 다니는 주택가(住宅街)에 있다. 수필은 청춘(靑春)의 글은 아니요, 서른여섯 살 중년(中年) 고개를 넘어선 사람의 글이며, 정열(情熱)이나 심오한 지성(知性)을 내포한 문학이 아니요, 그저 수필가(隨筆家)가 쓴 단순한 글이다.
피천득, 수필
피천득, 수필
이렇다 할 일도 없이 지루하고 심심하여, 하루 종일 벼루를 붙잡고, 마음 속에 오가는 부질없는 생각들을 두서없이 쓰노라니, 이상하게도 기운이 복받쳐 나도 모르게 미칠 것만 같구나.
요시다 겐코(吉田兼好. 1283?-1352?), 《쓰레즈레구사(徒然草)》
요시다 겐코(吉田兼好. 1283?-1352?), 《쓰레즈레구사(徒然草)》
[1] 물론 체험이라 해서 작가가 직접 체험한 실제 사례만을 소재로 삼지는 않는다. 작가가 창작한 가상의 체험도 소재로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