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수학자가 본 기이한 세상 | |
장르 | 철학에세이, 종교학/신화학 |
작가 | 강병균 |
출판사 | 살림출판사 |
발매일 | 2016년 07월 20일 (1권) 2017년 05월 30일 (2권) |
권수 | 2권 |
[clearfix]
1. 개요
포항공대 교수이자 불교 연구가인 강병균이 집필한 불교 연구 서적.총 2권이 발매되었으며 1권은 큰스님, 왜 이러십니까? 환망공상[1]의 수상록, 2권은 원제를 부제로 돌린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어느 수학자가 본 기이한 세상 2-란 제목으로 발매하였다.
2. 소개
저자 본인에 대한 내용은 강병균 항목을 참조.
불교, 부처님 이래 최초로, 수학자에 의해 해부당하다! 고대 중국 선불교 조사들이 보지 못한 걸 바로잡는 대(大)불교개혁운동 부처님 이래, 처음으로 윤회론·참나론 등의 불교교리를 보통사람의 언어로 통렬히 비판한 책. 그동안 비불교도는 불교를 몰라서, 불교도는 겁이 나서, 승려들은 신비주의에 빠져, 세심히 살펴보면 금방 알 수 있는 교리상의 모순을 발견하지 못해왔다. 동·서양의 역사·철학·종교·과학을 섭렵한, 40년 불교수행의 수학자인 강병균 교수가 날카로운 논리와 지성으로 종교와 불교를 비판했다. 과학적 발견을 받아들인다고 해서 결코 부처님의 가르침이 훼손되지 않는다며, 종교계의 미신을 파헤쳤다. 진리를 논함에 있어서는 계급장이 없다. ‘남녀노소’와 ‘지위고하’가 없다. 맞는 말과 옳은 말이 통할 뿐이다. 큰스님들이나 성직자들이 해가 서쪽에서 떠오른다고 주장한다고 해가 서쪽에서 떠오르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 종교가 해만 끼친다는 뜻은 아니다. 종교에는 인류가 35억 년 동안 삶과 죽음의 투쟁 속에서 축적한 ‘지혜’가 들어있다. 종교에 들어있는 환망공상만 제거하면 금빛으로 빛나는 지혜를 대면할 수 있다. |
저자 강병균은 초등학교 1학년때 교회에 다닌적이 있었는데, 어느날 새벽기도에서 많은 사람들이 오열하며 기도하는 모습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이후 성철 스님을 통해 불교에 입문한 이후에도 어릴적에 겪은 이 일로 인해 인생은 고(苦)란것을 주장하는 불교라지만 정작 자신의 고통을 호소하면서 이걸 당하는게 억울하다는 이중잣대와 다른 동물들을 수백억 마리나 부려먹고 잡아먹는데도 과연 그 동물들의 고통을 이해하기는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들으며 현재의 불교에는 큰 모순점이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이후 포항공대의 교수로서 활동하면서 법보신문을 통해 불교를 비판하는 내용의 칼럼인 환망공상 시리즈를 연재하였으며, 이후 이 내용들을 책으로 엮어서 어느 수학자가 본 기이한 세상을 내게 된 것이다.
3. 비판
본 서적이 불교개혁을 주장한다는 점에서 석가모니의 제자인 데바닷타같은 근본주의자로 비슷하게 보는 경우도 있다.[2]예를 들어 불교의 육식 문제에 대해 만약 고기를 먹을 생각이라면 동물에 대해 불성이 있고 평등하다고 주장하지 말라며 스님들을 위선자 취급을 하는데, 대한민국 불교, 특히 조계종이 육식을 금지하는것은 사실이고 그 종파에 소속된 스님이 육식을 하는 부분은 문제가 있는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지금에 있어서 이런 규칙이 정착되어 있고 사람들에게도 이런식으로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사실 불교가 아주 고기를 금한것은 아니었다. 자신이 죽이지 않는 한 삼정육, 오정육, 구정육에 해당되는 육식은 허용하였으며, 오래전의 석가모니 시대에는 주는대로 식사하는 걸식의 특징상, 고기가 들어있다고 먹지 않는 행위는 전혀 하지 않았다. 다시 말해서 강병균의 논리 대로라면 삼정육, 오정육, 구정육에 해당되는 고기를 섭취하거나 석가모니 시대의 승려들은 죄다 위선자가 되는것. 오히려 석가모니도 위선자주제에 중생 구제하려는 사람이 되어 버린다.
멀리 갈거 없이 시주 문화가 남아있는 동남아 불교에서는 지금도 육식을 하고 있고[3], 절에 따라서는 어린이날이나 어린이 탬플 스테이 등을 맞아 영양 보충이 필요한 어린이들에게 치킨 등을 사주는 경우도 있는데, 이 논리대로라면 이들도 잘못된 불교가 되는것이다. 애초에 스님들중에서도 채식은 선업을 행하는 좋은 행위지만 그렇다고 해서 고기를 먹지 말라고 강요하지 않는다라며 조언만 할뿐, 강병균처럼 강요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