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작자, 연대 미상의 가전체 작품. 또는 고전소설 또는 국문 수필, 내간체 수필[1] 그래도 교과서나 참고서마다 수필, 소설로 설명하지, 가전체 작품이라고 소개하는 경우는 드물며, 수필이라 설명하는 경우 한중록, 인현왕후전 같은 내간체 수필로 소개한다.소설의 창작연대는 크게 두 가지 설로 나뉘어 있는데, 하나는 조선 영·정조시대에 만들어졌다는 설이고 다른 하나는 철종조 이후의 작품이라는 것이다.
남성에게 글 쓸 때 쓰는 먹, 종이, 붓, 벼루인 문방사우가 있다면 여성에게는 옷을 지을 때 쓰는 규중칠우가 있어 작자가 여성임을 알 수 있는 단서가 된다.
내용은 말 그대로 규중칠우를 모두 의인화하여 서로의 공을 자랑하고, 시련(?)을 불평하는 쟁론을 펼친다. 규중칠우의 특징을 따 의인화할 때 이름을 붙인 것도 이 작품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등장인물이 모두 여성인데, 자신의 공을 당당히 말하는 것으로 보아, 이는 가부장제적 질서 속에 갇혀 있었던 여성들의 세계에서도 자신의 주어진 자신이 할 말은 하고자 하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동화책으로는 "아씨 방 일곱 동무"라고 나왔다. 초등학교 3학년 국어 교과서에서 이 각색작이 실리기도 했다고 한다.
패러디로 품사구우쟁론기가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 지학사 국어 교과서에 나온다.
2. 등장 인물
- 척 부인
- 교두 각시
- 세요 각시
- 청홍 각시
- 감토 할미
- 인화 부인
- 울 낭자
- 규중 부인
아동용 각색판에서는 칠우들의 논쟁에 잠이 깬 아씨가 그들에게 화를 내고 다시 잠에 들고, 서러움에 빠진 규중 칠우들은 방을 뛰쳐나가려 하거나 울음을 터뜨린다. 한편 아씨는 바느질을 하려는데 규중칠우들이 모두 없어진 악몽을 꾸고는 칠우들의 도움으로 잠에서 깬다. 아씨는 자신의 오만함을 사과하고, 규중칠우들이 모두 화해하고 아씨가 규중칠우들로 다시 옷을 짓기 시작하면서 끝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