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 관련 둘러보기 틀 | ||||||||||||||||||||||||||||||||||||||||||||||||||||||||||||||||||||||||||||||||||||||||||
|
| |
대표적인 갓인 흑립의 모습 |
1. 개요
공기와 빛이 알맞게 통하고 여러 용도에 따라 제작되는 조선의 모자 패션은 파리 사람들이 꼭 알아둘 필요가 있다.
샤를 바라, 프랑스의 민속학자
한국에서 발생한 전통 머리쓰개를 통틀어 이르는 말. 비싼 금부터 각종 금속, 비단, 천, 대나무, 동물의 털, 가죽, 풀, 종이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든다. 한자로는 관(冠), 입(笠), 모(帽), 건(巾), 회(盔) 등으로 부른다. 샤를 바라, 프랑스의 민속학자
관(冠)은 주로 지위와 벼슬을 나타내기 위해 쓰는 것이며[1] 재질이 다양하고 모양이 화려하다. 입(笠)은 대나무 죽(𥫗) 부수가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듯이 대나무나 갈대 등으로 만든 삿갓이나 패랭이를 뜻한다.[2] 모(帽)는 건과 마찬가지로 천인데,[3] 머리에 두르는 띠에서 기원하여 나중에는 덮는 형태까지 발전한 게 건(巾)이라면, 모는 관에 가깝게 더 변형된 것이다.[4] 건과 관사이가 모라고 보면 되며, 일상과 격식을 아우르는 대중적인 것이기에 현대어 모자(帽子)가 여기서 나왔다. 여성은 머리뿐만 아니라 얼굴까지 가리는 천을 모자아래로 늘어뜨리는 풍습이 세계곳곳에 공통적으로 있는데,[5] 이를 한국에서는 너울이라 부른다. 회(盔)는 본래 쇠그릇을 뜻하는 말로서 머리에 쓰는 투구, 즉 헬멧을 뜻한다.
현대인들에게 갓을 묻는다면 대부분 흑립을 떠올릴 것이다. 때문에 "갓=흑립"이란 개념으로 정리되곤 하는데, 명확히 하자면 갓은 특정 의류를 가리키는 말이 아닌, 의류 양식을 포괄적으로 부르는 명칭이다. 따라서 갓=모자, 다시 말해 모자의 순우리말이 갓이라고 정리하는 것이 알맞다.
2. 역사
|
|
고구려 약수리 고분 벽화 |
|
고구려 감신총 벽화 |
|
둔황 석굴에서 발견된 신라 사람 (맨 왼쪽) # |
|
둔황 석굴 오대산도 고려(발해)왕사 |
갓의 시초라 할수 있는 챙이 달린 모자는 의외로 삼국시대부터 유래하였다. 경주 금령총에서 출토된 신라 입형백화피모 모자나, 고구려 감신총 벽화에 등장하는 패랭이를 쓴 인물들이나, 원성왕이 꿈에 복두를 벗고 소립을 썼다는 삼국유사의 기록 등, 여러 자료들을 통해 갓의 존재시기와 기원을 추정할 수 있다.
이후 원 간섭기 때 말총으로 만든 몽골식 모자인 발립이 변형되어 기존에 있던 笠(갓)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더 보편화된다. 고려시대의 초립은 조선시대 초 선비와 서인들의 모자로 쓰여졌다. 대표적인 예가 김시습 초상화의 검은 죽립이 그것이다. 이후 수백년간 조금씩 형태가 변하다가 조선 중엽부터 우리가 아는 탑햇 형태의 흑립이 양반의 상징으로 굳어지게 된다. 이후 시간이 지날수록 챙이 계속 넓어져 순조시기에는 어깨까지 닿을 정도로 커지게 되는데 이는 흥선대원군 시기 사치 금지 일환으로 챙이 짧아지게 된다.[6]
|
개화기의 말총모자 광고 |
|
19세기 갓(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
개화기에는 서구문화가 본격적으로 유입되면서 말총으로 서양의 실크햇을 모방해 만든 말총모자가 등장하기도 했다. 그러다가 20세기 초반 무렵부턴 중절모가 갓의 자리를 대체하게 된다.
광의의 갓(립)은 모자 부분과 챙(양태)으로 이루어진 쓰개를 이르는 말로 삿갓, 패랭이 등도 포함하는 개념. 초기의 갓은 방립이라 하여 모자 부분과 챙의 구별이 희미하였으나, 챙이 생기면서 패랭이가 되었고, 짚으로 만들던 패랭이를 말총으로 만들면서 우리가 흔히 아는 갓, 흑립이 탄생하였다. 실제로 갓은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갓" 하면 "흑립"만을 의미한다. 우리가 가장 잘 아는 "조선시대 양반용 갓"에 대한 정보를 보려면 해당문서 참고.[7]
3. 구조
| |
조선시대 갓 변천사 (아카이브) |
형태, 구조, 제작 방법이 단편적이지 않고 매우 다양한데, 이러한 원인은 자생적인 전통과 깊게 연관되어 있다.
재료로는 대나무, 짚, 말총 등을 주로 쓰며 가느다란 실들로 만든 뒤 하나하나 섬세하게 꿰어서 만든다. 조선시대에 중인 이상 계급이 대표적으로 썼던 흑립을 보면 그 형태를 잡기 위해선 꽤나 부지런해야만 다룰 수 있는 물건임을 알 수 있다. 여담으로 같은 방식으로 만드는 방립, 정자관 등 "모자"보단 "관"을 겸하는 경우는 계급과 위엄을 나타내려는 성격을 가지고있다.
삼국시대까지 주로 대나무나 가죽으로 만들던 모자들은 고려부터 몽골제국으로 인해 목장들이 늘어나 말총(말의 꼬리털)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흑립을 비롯한 다양한 모자들이 말총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말총은 매우 가볍고 의외로 질기고 오래가기 때문에 "가볍게 쓰고다니는 물건"으로서는 매우 편했다. 몇몇 갓들 처럼 사람보다 넓은 경우에도, 현대에 사용하는 어떤 모자보다도 가벼운 느낌이 든다.
갓은 수제작임과 동시에 예술품으로도 속하다 보니 꽤나 비싼 물건이었다. 거기다 말총으로 만들어서 자칫하면 모자가 꺾이거나 물에 젖어 풀어질 수도 있었기에 관리하기 까다로운 물건이다. 그렇기에 갓집, 혹은 갓통이라 부르는 갓 보관용 수납장에 따로 넣어서 보관하거나 갓의 제작, 유지보수를 전문으로 하는 직업이 생기기도 했다.
흑립 뿐만 아니라 초립이나 주립, 패랭이가 나온 모습도 보면 알 수 있지만 "가장 한국적인 모자"로서 받아들여진 복식이다. 엄밀히 따지면 전모와 너울도 이러한 갓(립)의 구조에서 파생되었다. 심지어 조선시대 중기 이후 관모들도 대부분 한국 전통 구조인 갓에서 파생되었다. 그야말로 전통모자의 대표격인 셈.
장식같은 경우 모자 위에 장식을 달기도 했으나 턱 밑에서 갓을 고정하는 갓끈이야말로 갓의 장식성을 풍부하게 하는 중요한 부분이었다. 디자인의 단조로움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재료의 구슬을 연결했는데 계급별로 옥, 마노, 호박, 산호, 수정 등을 사용했고 중앙 구슬을 중심으로 좌우로 균형감 있게 장식했다.
4. 번외: 명나라 대모(大帽)와는 구분된 역사기록
昭君北嫁呼韓國巫山更有昭君村黄金鏤鞍玊驄馬分明載得巫山雲凉風吹動釵頭雁一曲琵琶寫幽怨沙草遙連雞塞庭野花不種鴛鸞殿内家日日選娉婷淚㾗滿袖空多情漢廷自此恩信重美人身比鴻毛輕蘇伯脩徃上京王君實以高麗笠贈之且有詩伯脩徵和章 往年飲馬灤河秋灤水斜抱石城流青城丈人來水上揭謝蘇王皆與遊顧余濫倚橋門席斜陽半落鼇峰石夜涼共飲明月樽醉眠更聴高樓笛灤河九曲流濺濺自我不見今三年蘇郎又扈屬車去佇望弗及心茫然龍門峽中雲氣濕山雨定灑高麗笠别意遙憐栁色深歸心莫為鵑聲急不才未許收詞垣賦成何日奏甘泉人言凡骨難變化為我致意青城仙 |
왕소군이 북쪽 흉노로 시집가니 무산에는 다시 소군촌이 있다. 금으로 새긴 안장과 옥빛의 총마가 분명히 무산의 구름을 싣고 간 듯하다. 서늘한 바람이 불어 비녀 끝의 기러기를 흔들고 한 곡의 비파 소리가 그윽한 원망을 적는다. 사초는 멀리 계새 들판에 이어지고 들꽃은 원앙궁 안에는 심지 않는다. 궁중에서는 날마다 미녀를 뽑았으나 눈물 자국만 가득한 소매는 헛되이 다정하다. 한나라 조정은 이로부터 신의와 은혜를 중히 여겼으나 미인의 몸은 기러기 깃털처럼 가벼웠다. 소백수가 상경했을 때 왕군실이 고려립을 선물하며 시를 지었다. 지난해 가을 난하에서 말을 먹이던 때 난하의 물은 비스듬히 성곽을 안고 흘렀다. 청성의 장로가 물가에 왔고 해사와 소·왕 두 사람도 함께 놀았다. 돌아보니 나는 다만 다리 언덕의 자리에서 남에게 얹혀 있었고 석양은 반쯤 내려와 오봉의 바위에 걸렸다. 밤이 서늘할 때 함께 밝은 달 술잔을 기울였고 취해 잠들어도 다시 높은 누대의 피리 소리를 들었다. 난하 아홉 굽이 물결은 졸졸 흘렀는데 내가 떠난 지 벌써 삼 년이 되었다. 소랑은 또 수레를 따르고 떠나니 기다려도 만나지 못해 마음은 아득하였다. 용문협 안에 구름 기운은 눅눅하고 산비가 그치면 고려립 위에 흩뿌린다. 이별의 뜻 멀리서도 느껴지고 버들 빛 짙어 아련히 불쌍하다. 돌아가려는 마음은 두견새 소리에 너무 급히 재촉하지 말지어다. 재주 없음을 허락받아 사부에 들어가지 못하니 부를 완성해 어느 날 감천궁에 아뢸 수 있으랴. 사람들은 범골은 변하기 어렵다 하나 제 마음 대신 전해주오 청성의 신선에게. |
宋元詩會에 나온 내용으로 송원시대 고려갓(高麗笠)을 선물로 주었다는 내용이며 시의 내용상 비와 관련된 雨笠의 형태로 추정된다.
여유당 전서에는 이 시에 나온 고려립이 雨笠이라고 밝히고 東國(고려)의 물품이라고 밝히고있다.
〈陳旅詩云:「山雨寒灑高麗笠。」彼又以雨笠爲東物也〉 |
이후 이 비와 관련된 高麗笠의 정체가 명말 천개년간에 쓰여진 酌中志에 등장한다. 명나라 궁중 환관 유약우(劉若愚)의 글로 이후 明宮史에도 등장한다. 당시 조선시대 중기에 해당하는 명나라 궁중환관은 비내릴때 쓰던 모자의 형태를 조선모자라 하지않고 고려모(高麗帽)라고 설명하고, 그 형태를 묘사하고 자신들의 것과 구분하여 언급한다.
다음 원문은 당시 명나라때 비옷과 비모자에 대한 대목에서 일부를 발췌하였다.
亦有用蠶繭紙為者,今亡矣。有斗缽式者,有道袍式 加掛者。御前內臣值穿紅之日,有紅雨衣、彩畫《蟒衣 方補》為貼裡式者。雨帽則如方巾,周圍加簷三寸許 耳。亦有竹胎絹糊、黑油漆如高麗帽式者,亦惟大內 臣戴之。《酌中志》 |
雨衣雨帽 玉色深藍官綠杭紬或好油絹為之亦有蠶繭紙為者有斗體式有道袍式加掛者御前大内臣值穿紅之日有紅雨衣彩畫蟒衣方補為貼裏式者雨帽則如方巾周圍加簷三寸許耳亦有竹胎絹糊黒油漆如髙麗帽式者惟御前大内臣戴之《明宮史》 |
“누에고치로 만든 종이를 사용한 것도 있었으나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바리때 모양으로 된 것도 있고, 도포 모양에 덧붙인 형식도 있었다. 임금 앞에서 내신이 붉은 옷을 입는 날에는 붉은 비옷과, 채색으로 그린 이무기 무늬 옷과 네모난 보(補子)를 덧댄 ‘첩리식’의 옷이 있었다. 비 모자는 모양이 네모난 건巾과 같고, 둘레에 약 세 치 정도의 챙을 두른 것이었다. 또 대나무를 뼈대로 하고 비단을 바른 뒤 검은 칠을 하여 고려 모자와 비슷한 형식도 있었는데, 이것은 오직 궁중의 높은 내신만이 착용하였다 |
현대 중국인들이 그토록 大帽가 갓의 원류라고 했지만, 이를 미루어 볼때 명나라 초기 유행했던 궁중의 大帽역시도 酌中志를 미루어 흑칠을 한 챙달린 모자는 고려형식이고 고려양인 것을 알 수 있고, 이 고려양의 모자는 궁중 고관대작만 썼다는 점에서 강력히 고려양인 것을 확인하는 대목이다. 그리고 조선과 같이 일상적인 관모가 아니라 오직 궁중 대신들만 비올때 모자로 썼다는 용도가 확인된다.
당시 궁중의 고려양은 다음과 같았다.
원황후도 역시 고려미인으로 삼아, 대신유권자는 곧 이를 귀하게 여겨, 수도 고관귀인은 반드시 고려여자를 얻은 후에야 명가가 된다. 지정(至正) 년간(1341년- 1370년) 이래, 궁중급사사령 대반이 고려여자이며, 이런 이유로 사방의 의복, 신발과 모자, 기물 모든것을 고려를 모방해, 온 세상이 미친 것 같다. |
後亦多畜高麗美人, 大臣有權者, 輒以此遺之, 京師達官貴人, 必得高麗女, 然後爲名家. 自至正以來, 宮中給事使令, 大半高麗女, 以故四方衣服、靴帽、器物, 皆仿高麗, 擧世若狂. 속자치통감(續資治通鑒) 卷214, 원기(元紀) 32 |
또한 송나라 고려도경에서 이르길
麗人謂笠爲軋,其山形似之,因以得名 |
고려인은 笠을 軋이라고 하였는데 그것은 산과 형태가 비슷하여 그렇게 이름 붙였다고 한다. 軋은 현재 한국에서 '알'이라고 발음되지만 당시 중국 中古(중고)음(音)으로 ʔăt(앗)이라고 발음되었다. 현재는 성문파열후 약화후 보강으로 갓으로 현재 발음된다. 鄭張尚芳에서 軋의 中古音 재구음은 ʔɣɛt 으로 갓과 그 발음이 더욱 가깝다.
그리고 산을 앗이라고 표현한 고려인의 언어습관은 岳(큰산)을 押이라고 말한 고구려어와 일맥상통한다. 현재 押은 압이라고 발음되지만 당시에는 ʔap(압)이라고 발음되었다. 즉 압> 앗> 갓으로 음운변화.[8]
이런 면에서도 한국의 갓은 몽고발립의 영향을 받은 대모(大帽)와는 그 뿌리가 다르다고 하겠다.
현재 당송시대 음운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광동어의 발음으로 軋은 gaat으로 발음되고 있다.
4.1. 笠(갓)과 大帽(대모)에 있어서 중원과 조선의 상이한 전통
청나라 백과사전 格致鏡原에서 帽를 이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通典上古衣毛冒皮則帽之名所由起故釋名曰帽者冒也 통전에,[9] 상고에는 털옷을 입고 가죽으로 덮었으니, 그것으로 모자의 이름이 비롯되었다. 그러므로 《釋名》에 이르기를 “帽(모자)란 덮는다(冒)에서 나온 것이다.” 하였다. |
반면 笠은 이와 같이 정의한다.
事林廣記笠子古者雖出於外國今世俗皆頂之或以牛尾馬尾為之或棕或皁羅皁紗之 사림광기에서[10] 笠은 옛날에는 비록 외국에서 나온 것이고, 지금 세속에서는 모두 머리에 이고(頂) 있다. 혹은 소꼬리·말꼬리로 그것을 만들기도 하고, 혹은 종려(棕)로, 혹은 검은 비단(皁羅)이나 검은 모시(皁紗) 따위로 그것을 만들기도 한다. |
즉 帽는 가죽과 털 직물로 만들어져 머리에 쓰는것(이마까지 덮이는것)으로 현대 중국인이 왜곡하는 자신들의 몽골기원 大帽는 여기에 속한다.
그러나 한국의 갓은 말총 대나무등으로 만들어 笠으로 머리에 쓰는 것이 아니라 이고 얹는 것이다. 이 유습은 이미 고구려 절풍부터 관모를 이고 있는 것으로 그때부터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도 이 笠은 외국에서 들어온 것이라고 명백히 밝히고 있다.
대모(大帽)와 笠은 그 재료와 기원 그리고 쓰는 방식이 전혀다른 모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중국에서 笠은 얼마나 사용되었는지 조선초기 조선사신의 글을 통해 확인해보자. 조선초 사신이 쓴 東還封事에 이르길
中原雖有笠制。而人不能備。其出行之際。文官着忠靜冠。武官着毛帽而有簷。儒用儒巾。或着方巾。吏用吏巾。常人皆着帽子。而東方之人。不論貴賤。通戴笠子 |
“중원에는 비록 笠의 제도가 있으나 사람들이 그것을 완비하지 못하여, 나가서 행차할 때에는 문관은 충정관을 쓰고 무관은 챙이 있는 털모자를 쓰며, 유생은 유건을 쓰거나 혹은 방건을 쓰고, 아전은 이건을 쓰며, 평민들은 모두 모자를 쓰는데, 조선(동방지인)사람들은 귀천을 따지지 않고 두루 갓을 쓴다.” |
즉 당시에도 중국의 笠과 조선의 笠은 판이하게 그 쓰임새가 달랐고 번외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중국은 검게 옷칠한 高麗笠(高麗帽)을 오직 궁의 내신들만 雨笠용도로만 쓴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조선사람은 위아래가 두루 갓을 쓴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볼때 현대 중국의 문화왜곡은 심각한 수준이라고 하겠다.
5. 갓의 어원과 착용 형태
갓의 어원은 고구려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구려의 관모를 骨蘇라고 했으며 그 당시 발음을 재구하면 kwatsa 라고 읽는다. 이후 계림유사의 고려의 관모를 蓋라했으며 음이 渴이라고 했다. 이것 역시 당시 발음을 재구하면 gat이 되며 서긍의 고려도경에서는 笠을 軋이라 했으며 그 당시 발음으로 ʔɣɛt(gwat)이 되며 현재 당송음이 보존된 광동어로도 gaat이라고 읽힌다. 이처럼 우리나라 갓의 어원은 고구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그럼 착용면에서는 어떨까? 상술했듯이 笠과 帽의 착용방법은 판이하게 다르다. 이것을 무시하고 현재 중국인들은 사실을 왜곡하는 데 힘쓰고 있다.
事林廣記笠子古者雖出於外國今世俗皆頂之或以牛尾馬尾為之或棕或皁羅皁紗之 사림광기에서 笠은 옛날에는 비록 외국에서 나온 것이고, 지금 세속에서는 모두 머리에 이고(頂) 있다. 혹은 소꼬리·말꼬리로 그것을 만들기도 하고, 혹은 종려(棕)로, 혹은 검은 비단(皁羅)이나 검은 모시(皁紗) 따위로 그것을 만들기도 한다 |
먼저 상술했듯 笠(갓)의 착용법은 머리에 쓰는 것이 아니라 얹어서 이는(頂) 것이다. 고구려의 절풍 역시 머리에 쓰는 것이 아니라 얹어서 이는 것이었다. 아래 그림과 같다.
이 유습은 그대로 조선의 갓에 계승된다. 이것이 笠의 착용법이기 때문이다.
위 사진과 같이 관모를 머리에 얹어 이마가 노출되거나 뒷머리가 노출되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갓이나 절풍은 고정하기 위해서는 꼭 갓끈이 필요하다.
멋을 내던 입영(패영)인 구슬갓끈도 결국 멋낼때 빼곤 옆으로 매어 턱아래 갓구슬이 붙도록 하여 갓을 고정했다.
반면 몽골의 발립에서 유래한 대모는 笠과 만드는 재료도 다르며 착용방법도 다르다. 대모는 帽에 속하는 것으로 머리를 전체를 감싸는 관모로 冒(감싼다는 의미)에서 유래한다. 착용시 이마와 뒷머리가 노출되지 않는다.
通典上古衣毛冒皮則帽之名所由起故釋名曰帽者冒也 통전에, 상고에는 털옷을 입고 가죽으로 덮었으니, 그것으로 모자의 이름이 비롯되었다. 그러므로 《釋名》에 이르기를 “帽(모자)란 덮는다(冒)에서 나온 것이다.” 하였다. |
이와 같이 명나라 대모 착용의 특징은 얹어 이는 것이 아니고 쓰는 것이기에 벗겨질 염려가 적었다. 갓끈의 경우 턱밑에서 묶어 고정용인 반면에 대모의 끈은 고정용이 아니어서 늘어져 있고 턱밑에 묶어 고정시키지 않는다.
이 대모 역시 한푸와china 와는 관계가 적다. 특히 그 기원이 되는 발립모는 발명자가 역사서에 언급되어 있는데 이 발립모는 원나라 몽고인 察必황후의 발명이라고한다. 발립(鉢笠)이 나오기전 幔笠이 먼저있었고 원성종 이후 찰필황후 이후로 발립이 유행한다.
胡帽旧无前簷,帝因射日色炫目,以语后,后即益前簷。帝大喜,遂命为式。……(又 制比甲)以便弓马,时皆仿之 “옛날의 호모(胡帽)에는 앞챙(簷)이 없었는데, 황제가 활을 쏘던 중 해빛이 눈부셔서 황후에게 말하였다. 황후가 곧 앞챙을 더해주니, 황제가 크게 기뻐하여 이를 규식(제도)으로 삼게 하였다. … (또한 갑옷을 제정하면서) 활과 말을 쓰기에 편리하도록 하니, 당시 사람들이 모두 이를 본떠 만들었다.” |
즉 대모 역시도 originality 즉 기원으로 남의 전통을 주장한다면 chinese traditional 이라고 보기에 어렵다.
여기서 보충설명하자면 원나라때는 笠과 帽를 혼용하여 생겨 발립이 된 것이고 원래는 帽다.
이와 같이 중국의 갓에 대한 역사왜곡은 갓의 어원, 재료, 착용법, 원류를 재고해 본다면 터무니 없는 것들이라고 하겠다. 마치 중국측의 기원 주장은 전혀 뿌리가 다른 관모에 대해 단지 양태, 즉 챙이 달렸다는 이유로 그 기원을 주장하고 있는 셈이다. 그런 논리라면 전세계 모든 챙달린 모자에 대한 기원을 주장하는거나 다름없다.
참고논문 : <<“深簷胡帽”:一种女真帽式盛衰变异背后的族群与文化变迁>>
6. 종류
6.1. 일상용 갓
- 흑립 - 가장 대표적인 양반용 갓.
- 탕건
다소 작은 관. 다른 관 형태의 갓을 쓰기 전에 쓰기도 했다. 흑립보다는 격이 낮게 여겨지기 때문인지, 사극에서는 묘하게 향리나 중인들이 쓰거나 시골 양반들(초시나 진사같은 향반)이 쓰는 물건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 망건
상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말총으로 만든 두건. 구조 자체는 동아시아식 머리두건(망건)이랑 별로 차이가 없다. 흑립을 비롯하여 각종 관을 쓰기 이전에 둘렀다. 대부분이 사용했던 물건이라서 헤진 유물이 많다. 참고로 벗어서 끌러보면 참으로 없어 보이는 모양새가 특징(…). 참고로 이마에 두르는 물건이랑 상투를 묶는 2개의 조각으로 만들어지는데, 위에 올린 상투 고정용 망건은 고급품일수록 코르크마개처럼 생긴 물건이 많다.
6.2. 행사용 갓
- 주립
융복에 쓰는 관리용 갓. 주로 가죽이나 종이, 천으로 만든다. 단어 그대로 붉은 색이 특징. 사진은 조우관처럼 깃장식과 두건까지 딸려 있는 걸로 보아서 예식용으로 장식한 물건. 애초에 예복에 가까운지라 저런 형태가 많다. 드라마에서는 별감들이 쓰는 경우가 많으나 실제로는 그보다 지위가 높은 관직이 착용하였다.
- 전립
펠트로 만든 군인용 갓. 전립(戰笠)이라는 말 그대로, 현대로 따지면 정모(의복)이다.영국의 볼러와 재질과 모양, 용도가 비슷하다는 우연의 일치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상모
풍악이나 사물놀이에서 사용하는 모자. 가죽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동아시아 전통적인 관에 가까운 모습도 보인다. 하지만 직접적으로는 전립을 축소하고 공연용 천과 장식을 추가한 물건이다.
6.3. 여성용
갓(립)에서 파생된 전통 여성용 모자들. 발생학적으로 구조와 개념이 같다는 걸 알 수 있다.6.4. 관류
관에 해당하는 물건이지만, 말총으로 만든 점이나 구조상으로는 갓에 영향을 받은 물건. 역시 전통모자의 대표격들이다.- 사방관
사다리꼴의 막대모양 갓. 참고로 모델은 정약용.
7. 갓일
갓일은 세죽사와 말총으로 갓을 만드는 기술과 과정을 말한다. 현재 우리나라 중요무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어 있다.갓일 |
8. 매체
- 길드워 2: 2022년 2월 28일 발매된 확장팩 '용의 최후(End of dragons)'에 갓이 묘사된다. 이 확장팩에서 추가된 칸타 지방은 한중일을 비롯해 다양한 동양 국가들에서 모티브를 따왔는데, 이번 작에선 갓을 쓴 인물이나 조선시대 왕비 같은 복장을 한 여왕, 한국식 단청을 칠한 한옥 등 한국적인 모습도 많이 나타난다.영상
- 미스터 선샤인: 극중 유진 초이의 미국인 동료인 카일이 '조선인들이 거리에서 모두 하나씩 다니길래 나도 하나 사서 써봤다.'며 갓을 쓰는 모습이 나온다. 유진이 조선에선 그것을 '갓'이라고 부른다고 말하자. '갓? 조선인들은 '신(god)'과 같이 다니는군.'이라며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
- 킹덤: 넷플릭스 드라마로 이 드라마가 이 인기를 끌면서 해외에서도 점차 알려지며 반응이 좋은 편이다. 서양에서는 볼러나 페도라와 비슷한 용도라고 해석하는 반응도 나오는데, 점잖은 남성용 정장 모자라는 이미지가 맞아떨어지기에 비슷하다고 볼 수는 있는 셈이다.#
- 케이팝 데몬 헌터스: 작중 등장하는 남성 아이돌 그룹인 사자 보이즈 멤버들의 본모습인 악령의 복식이 전설의 고향으로 정착된 저승사자의 이미지인 검은 두루마기와 흑립 구성이다.[12] 참고로 해당 그룹의 신곡 Your Idol의 발표를 겸하는 공연 장면에서는 그 악령 복장에 부츠를 신고 나오는 파격적인 패션을 보인다. 이 밖에도 까치호랑이에서 모티브를 따온 캐릭터인 호랑이(더피)와 까치(수지, 서씨) 중 까치는 갓을 쓴 모습인데, 사자 보이즈의 리더인 진우 曰, 원래 호랑이 쓰라고 만든 갓을 까치가 뺏어 쓰고 있는 거라고 한다.
- 패스 오브 엑자일: 한국 출시 기념으로 유저들에게 외형아이템의 형태로 갓이 지급되었다.
9. 기타
- 19세기 서구 문물이 도입될 때에는 탑햇이 유행하고 있었기에, 조선과 서양 양쪽에서는 탑햇과 갓을 서로 동일하게 치환하여 생각했다. 조선을 찾은 여행객이나 선교사들의 기행문에 갓을 탑햇의 느낌으로 묘사하거나 탑 햇을 살짝 벗어 들어(Hat tip) 인사하는 서양인에게 갓끈을 풀려 했다는 등 서로의 모자를 치환해 생각했다는 묘사가 있다.
- 실제로 서구 문물이 들어오면서 중절모가 갓을 대체하는 모자로 유행했기도 하였으니, 갓을 페도라로 생각하는 것은 의외로 이치에 맞는 생각이다. 특히 두루마기+갓은 바바리 코트+중절모 조합과 크게 다르지 않은 느낌을 준다.[13] 한편으로는 갓을 중절모로, 두루마기를 바바리 코트로 개조한 생활한복 디자인도 존재한다. 지금도 한복에 갓 대신 중절모를 쓰고 다니는 사람들을 종종 볼 수 있기도 하다.
- 의외로 비슷한 형태를 가진 근현대적 모자 디자인이 많다. 그러다보니 현대적인 군 제식 정복으로도 어울린다. Europa Universalis IV에서 4티어[14] 보병 스킨으로 별기군 복식이 적용되었는데, 갓을 쓰고 있는 모습이 호주군의 부쉬햇 같은 느낌을 준다.
- 잘 알려져있지는 않은 사실인데, '트집잡기' 라는 단어는 바로 갓 때문에 만들어진 단어다. 정확히는 안성장(安城場)에서 갓 또는 패랭이, 상투, 흑립을 만드는 과정에서 챙을 둥글게 모양을 잡기 위해서 다듬는 끝부분을 '트집' 이라고 불렀는데, 이 작업을 '트집잡기' 라고 하였고, 그것이 오늘날의 "보기에는 멀쩡한데 생트집을 잡는다" 라는 말의 유래가 되었다. 물론, 실제로 기술자들이 멀쩡한 부분을 트집잡아서 수선비를 더 받아내기도 했고, 보기엔 멀쩡해 보여도 기술자 눈에는 수선해야되는 부분이었는데 수선비가 너무 비싸니까 기술자들에게 투덜대는 말이기도 했다.
- 2021년 2월 4일, thatgamecompany의 공동대표 중 한명인 제노바 첸이 SKY - 빛의 아이들에서 출시된 한국 전통 모자인 갓을 중국 것이라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혀 논란을 빚었다. 관련 기사
- 2021년 10월 26일, 영국 주재 신임 대한민국 대사가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 알현 때 갓에 도포를 쓴 차림을 하였다. 기사
10. 같이 보기
[1] 왕관, 조우관, 익선관 등이 있다.[2] 초립은 왕골 등 누런 풀로 만든 것이며, 흑립은 원래 대나무로 만든 뒤 검게 칠을 한 것이다.[3] 모(帽)에는 수건 건(巾) 부수가 있다.[4] 문라건 등이 있다. 복두의 예에 보듯 유교 문화권에서는 기본적으로 지위가 있는 사람이 맨 머리를 내놓고 다니는 것을 괴상하게 여겼는데, 이는 유교 문화권뿐 아니라 사실 세계 공통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서구에서는 불과 몇십 년전만 해도 신사가 수트를 입으면서 중절모를 쓰지 않으면 이상하게 봤다.[5] 일반적으로 상류층 여성에게만 해당되었다.[6] 도포 대신 두루마기, 배자, 마고자 등도 이때부터 유행하게 된다.[7] 엄밀히 말해서 흑립이 양반들의 필수품이던것은 맞지만, 양반들의 전유물이라곤 볼 수 없다. 당시에도 신분을 고사하고 재력만 있다면 누구나 흑립을 쓸 수 있었다.[8] 몽골어·투르크 언어: 어두의 ʔ가 g로 바뀌는 사례 다수. 한국어 방언/고어: 고대 한국어에서도 어두의 성문파열음이 소실되거나 k/g로 나타난 흔적이 있다.[9] 통전: 당나라 서적임[10] 사림광기: 송나라 서적임[11] 상이나 무속에서 쓰는 전통 종이꽃.[12] 이 갓도 흔히 묘사되는 머리 위에 얹는 형식이 아니라 머리에 푹 눌러 쓸 수 있는 초·중기 형태 갓이다. 갓끈도 여타 사극에서 직물로 된 견영과 보석으로 장식된 패영을 함께 착용하는 오류가 흔하게 나오는 것과 달리 오직 패영만 착용한 모습이 묘사되는 등 복식 구현에 있어서 역사성 반영이 철저하다는 분석이 있다.#[13] 드라마 도깨비에서 기존의 두루마기+갓 조합인 저승사자를 코트+중절모 조합으로 재해석하여 디자인했다.[14] 군사 레벨 26 병종에 해당.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갓|갓]]}}}{{{#!if external != "o"
[[갓]]}}}}}}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갓?uuid=fd253904-47e7-4a56-86fd-774f001be996|r13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갓?uuid=fd253904-47e7-4a56-86fd-774f001be996#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갓?from=131|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갓|갓]]}}}{{{#!if external != "o"
[[갓]]}}}}}}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갓?uuid=fd253904-47e7-4a56-86fd-774f001be996|r131]]}}}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갓?uuid=fd253904-47e7-4a56-86fd-774f001be996#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갓?from=131|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