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82647 3%, #31b675 3%, #31b675 6%, #89236a 6%, #89236a 9%, #f9d537 9%, #f9d537 12%, #db4e9c 12%, #db4e9c 15%, #026892 15%, #026892 18%, #e7e6d2 18%, #e7e6d2 21%, #b82647 21%, #b82647 24%, #f8e77f 24%, #f8e77f 76%, #b82647 76%, #b82647 79%, #e7e6d2 79%, #e7e6d2 82%, #026892 82%, #026892 85%, #db4e9c 85%, #db4e9c 88%, #f9d537 88%, #f9d537 91%, #89236a 91%, #89236a 94%, #31b675 94%, #31b675 97%, #b82647 97%)" 한복{{{#!wiki style="margin-top: 7px; padding-top: 5px; border-top: solid 1px; border-color: #683235; color:#683235; min-height: calc(1.5em +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colbgcolor=#f5f5f5,#2d2f34> 남녀공용 | |||||||
상의 | 저고리 · 덧저고리 · 배냇저고리 · 색동저고리 · 삼 · 적삼 · 마고자 | |||||||
하의 | 바지 | |||||||
겉옷 | 반비 · 배자 | |||||||
신발 | 목화 · 진신 · 태사혜 · 당혜 · 운혜 · 수혜(꽃신) · 갖신 · 짚신 · 미투리 · 나막신 · 설피 | |||||||
기타 | 무복 · 버선 · 상복 | |||||||
남성용 | ||||||||
평복 | <colbgcolor=#f5f5f5,#2d2f34> 상의 | 사규삼 | ||||||
하의 | 잠방이 | |||||||
겉옷 | 포(도포 · 두루마기) 창옷(소창의 · 중치막 · 대창의 · 학창의) · 심의 · 쾌자 · 답호 | |||||||
예복 및 관복 | 단령 · 곤룡포 · 곤복 · 조복 | |||||||
융복 | 포졸복 · 구군복 · 철릭 | |||||||
모자 | 갓(흑립 · 주립 · 백립 · 초립 · 전립) · 삿갓(방갓 · 지삿갓 · 갈모) · 감투 · 망건 · 탕건 · 패랭이 · 면류관 · 문라건 · 복건 · 사모 · 원유관 · 이엄 · 익선관 · 정자관 · 사방관 · 조우관 · 휘항 · 금관 | |||||||
전통장식 | 동곳 · 흉배 | |||||||
여성용 | ||||||||
평복 | 하의 | 치마 | ||||||
겉옷 | 장옷 · 쓰개치마 · 머리처네 | |||||||
속옷 | 가슴가리개 | |||||||
예복 | 상의 | 당의 · 견마기 | ||||||
하의 | 스란치마 · 대란치마 · 갈래치마 | |||||||
겉옷 | 노의 · 원삼 · 활옷 | |||||||
모자 | 틀:전통여성모자 · 건귁 | |||||||
전통장식 | 가체 · 노리개 · 떨잠 · 비녀 | }}}}}}}}}}}} |
Baenaet(Benet) Jeogori
1. 개요
한복의 한 종류이며, 갓난아기가 처음 태어나서 입는 옷이다.배 안에 있을 때부터 가지고 있던 저고리라는 뜻으로 배내옷, 깃저고리라고도 한다.
2. 상세
|
대전 유성구 금고동에서 출토한 조선시대 배냇저고리 |
현대에는 주로 순면으로 만들며 전통적으로는 면을 포함한 명주, 무명, 융으로도 만들었고 여름에는 풀기를 제거한 부드러운 베나 모시로 만들기도 했다.
혼례 때 신랑이 신부에게 보내는 함에 배냇저고리를 준비하여 함께 넣었다고 하는데, 신랑이 태어날 때 입었던 배냇저고리를 보관해 두었다가 물려주거나 집안의 장수한 어른이나 어머니의 옷으로 만들어 입히기도 했다고 한다.
남자아기의 배냇저고리는 재수가 있다 하여 시험이나 송사에서 몸에 지니면 길하다고 여겼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