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3 06:33:54

중치막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82647 3%, #31b675 3%, #31b675 6%, #89236a 6%, #89236a 9%, #f9d537 9%, #f9d537 12%, #db4e9c 12%, #db4e9c 15%, #026892 15%, #026892 18%, #e7e6d2 18%, #e7e6d2 21%, #b82647 21%, #b82647 24%, #f8e77f 24%, #f8e77f 76%, #b82647 76%, #b82647 79%, #e7e6d2 79%, #e7e6d2 82%, #026892 82%, #026892 85%, #db4e9c 85%, #db4e9c 88%, #f9d537 88%, #f9d537 91%, #89236a 91%, #89236a 94%, #31b675 94%, #31b675 97%, #b82647 97%)"
{{{#!wiki style="color:#683235;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남녀공용
상의 저고리 · 덧저고리 · 배냇저고리 · 색동저고리 · 삼 · 적삼 · 마고자
하의 바지
겉옷 반비 · 배자 · 장옷
기타 무복 · 상복
남성용
평복 상의 사규삼
하의 잠방이
겉옷 · 백저포 · 도포 · 두루마기 · 창의 · 대창의 · 학창의 · 소창의 · 심의 · 중치막 · 쾌자 · 답호
예복 및 관복 단령 · 곤룡포 · 곤복 · 조복
융복 구군복 · 철릭
모자 갈모 · 감투 · (흑립 · 전립) · 금관 · 망건 · 면류관 · 문라건 · 복건 · 사모 · 삿갓 · 원유관 · 익선관 · 정자관 · 조우관 · 초립 · 탕건 · 패랭이 · 휘항
전통장식 동곳 · 흉배
여성용
평복 하의 치마
겉옷 쓰개치마 · 머리처네
속옷 가슴가리개
예복 상의 당의 · 견마기
하의 스란치마 · 대란치마
겉옷 노의 · 원삼 · 활옷
모자 틀:전통여성모자
전통장식 가체 · 노리개 · 비녀 }}}}}}}}}}}}

파일:중치막.jpg

1. 개요

"中致莫"
조선시대 도포창의, 두루마기와 더불어서 조선시대 중인과 양반들이 외출할때 입었던 옷이다.

2. 내용 및 형태

조선 초기에 명나라에서 들여온 중단(中單)에서 변이된 옷으로, 비슷한 한복인 창의와 같은 중의(中衣)의 일종이었다. 그러나 이후로는 한국 전통 복식으로 자리잡아 양반과 중인들 사이에서도 입는 외출복이 되었다.

중치막은 창의처럼 겨드랑이 아래쪽이 터져 있는 형태로 아랫부분이 앞에 두 자락 뒤에 한 자락 하여 세 자락으로 되어 있는데, 소창의의 경우에는 중치막보다 착수에 길이가 조금 짧았고, 중치막은 소창의보다 길이가 더욱 길게 되어있다. 많은 사람들이 중치막과 대창의를 구분하지 못하고, 중치막을 보고서 대창의라고 하기도 한다. 대창의 역시 중치막과 마찬가지로 광수로 되어있으면서도 길이가 길다는 점이 동일하나, 양쪽 겨드랑이 밑의 트임은 조금 더 짧고, 뒷쪽 솔기에도 터져있는 형태로 되어져 있어서 대창의처럼 세 자락이 아닌, 앞쪽과 양옆 두 자락, 뒤쪽까지 네 자락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중치막은 양반가에서 도포나 대창의처럼 세조대를 매고서 외출할때 착용하였으며, 소창의를 중치막의 아래에 입기도 하였다. 중치막을 안에입고 대창의 혹은 도포를 겉에입는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