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13:13:07

구군복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82647 3%, #31b675 3%, #31b675 6%, #89236a 6%, #89236a 9%, #f9d537 9%, #f9d537 12%, #db4e9c 12%, #db4e9c 15%, #026892 15%, #026892 18%, #e7e6d2 18%, #e7e6d2 21%, #b82647 21%, #b82647 24%, #f8e77f 24%, #f8e77f 76%, #b82647 76%, #b82647 79%, #e7e6d2 79%, #e7e6d2 82%, #026892 82%, #026892 85%, #db4e9c 85%, #db4e9c 88%, #f9d537 88%, #f9d537 91%, #89236a 91%, #89236a 94%, #31b675 94%, #31b675 97%, #b82647 97%)"
한복의 종류{{{#!wiki style="margin-top: 7px; padding-top: 5px; border-top: solid 1px; border-color: #683235; color:#683235; min-height: calc(1.5em +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남녀공용
상의 저고리 · 덧저고리 · 배냇저고리 · 색동저고리 · · 적삼 · 마고자
하의 바지
겉옷 반비 · 배자 · 장옷
신발 목화 · 꽃신 · 갖신 · 짚신 · 미투리 · 나막신
기타 무복 · 버선 · 상복
남성용
평복 상의 사규삼
하의 잠방이
겉옷 · 백저포 · 도포 · 두루마기 · 창의 · 대창의 · 학창의 · 소창의 · 심의 · 중치막 · 쾌자 · 답호
예복 및 관복 단령 · 곤룡포 · 곤복 · 조복
융복 구군복 · 철릭
모자 갈모 · 감투 · (흑립 · 주립 · 백립 · 초립 · 전립) · 금관 · 망건 · 면류관 · 문라건 · 복건 · 사모 · 삿갓 · 원유관 · 익선관 · 정자관 · 조우관 · 탕건 · 패랭이 · 휘항
전통장식 동곳 · 흉배
여성용
평복 하의 치마
겉옷 쓰개치마 · 머리처네
속옷 가슴가리개
예복 상의 당의 · 견마기
하의 스란치마 · 대란치마
겉옷 노의 · 원삼 · 활옷
모자 틀:전통여성모자
전통장식 가체 · 노리개 · 떨잠 · 비녀 }}}}}}}}}}}}

파일:조선군 좌독기_White.svg
조선의 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백병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도검 사인검, 월도, 왜검, 장검, 창포검, 환도, 협도, 쌍수도
당파, 장창, 낭선, 기창, 죽장창, 요구창, 겸창, 이두표, 표창
둔기 도끼(부월), 쇠좆매, 육모방망이, 철퇴, 철편, 편곤
발사
무기
궁(弓)시(矢) 국궁, 각궁, 목궁(교자궁), 죽궁, 쇠뇌 장전, 편전(애기살)
화기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화포
탄약지뢰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별대완구,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 총통기, 호준포, 불랑기포, 홍이포, 운현궁 화포(소포, 중포, 대포), 목모포, 파진포, 지뢰포, 수뢰포
쇄마탄, 목통
진천뢰, 질려포통, 비격진천뢰, 죽장군, 대장군전
개인화기 조총, 천보총, 대조총, 승자총통, 삼안총, 세총통, 수포, 쌍자총통, Gew71, 레밍턴 롤링블럭, 스나이더-엔필드
화전・로켓 신기전, 화차
방어구 갑(甲)군복 두정갑, 유엽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면제배갑, 엄심갑, 지갑, 어린갑(두석린갑) 납의, 철릭, 구군복, 포졸복
주(冑)군모 간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원주형 투구 전립, 주립
방패 원방패, 장방패, 등패, 장태
군장 띠돈, 동개, 활집, 광다회, 전대
전차・육상병기 화차, 비거 마름쇠
전선(戰船) 판옥선, 방패선, 거북선, 해골선, 맹선, 과선, 협선, 사후선, 누전선 }}}}}}}}}
파일:CN8nC - 복사본.jpg
파일:cp0213819012_001_460 - 복사본.jpg
파일:나무위키에 올릴 구군복 사진 - 복사본.jpg
파일:구군복2.jpg
1. 개요2. 특징3. 조선시대 임금의 구군복4. 현대의 미디어에서
4.1. 천하제일상 거상에서4.2. 그외 회화, 영상매체
5. 오해

1. 개요

具軍服

조선 시대 후기 때에 무관이나 행정관청의 높은 관리들이 입던 제복이다.

동다리 위에 쾌자를 걸쳐입는 복제로, 이 두 옷이 한 세트이다. 조선군 병사들이 (현대에는 흔히 포졸복이라 불러는) 청색 협수 위에 쾌자를 걸친 차림을 했다면, 장수들은 상술했듯 동다리 위에 쾌자를 걸치고 다녔다. 이 장수들의 복식이 여기서 말하는 '구군복'이다.

軍服(옛날 군복)이 아니다! 具는 갖춘다는 뜻으로, '구군복'을 직역하면 군복을 갖추어 입는다는 뜻이다. 즉 특정한 의복을 일컫는 명사가 아니다. 예로 들면 '신립이 자기 부장으로 하여금 이일에게 갑옷을 벗어주고 부장 자신은 구군복으로 싸우게 했다'는 기록에 나오는 '구군복'은 일반적으로 구군복 하면 생각하는 쾌자+동다리 조합의 군복이 아닌 철릭이다.[1] 즉, 구군복이 아니라 군복이 우리가 흔히 사또옷으로 알고 있는 이 옷의 공식 명칭인 것이다. 하지만 그냥 군복이라고 하면 현대 한국인들은 다들 국방색에 디지털 무늬를 생각하기 때문에 명칭을 정정할 생각은 없는 듯.[2]

일러스트레이터 최민준(필명 금수) 작가가 일러스트로 보는 조선의 무비-군사복식편이라는 책을 통해 조선시대 군복들을 총정리하였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이 책을 참조해도 좋다.

2. 특징

파일:이삼영정.png
파일:최원립_장군_협수.jpg
이삼장군 초상 최원립 장군묘 출토 협수
군복은 병자호란 이후 처음 등장했는데, 이 때의 군복은 우리가 아는 군복과는 형태가 달랐다. 이때의 군복은 위의 이삼장군의 초상처럼 옷의 소매부분이 좁고 길이가 짧은 협수라는 옷 위에 쾌자를 겹쳐 입고 전대나 요대를 두른 형태였는데 18세기 이후에 새로운 군복이 등장하자 기존의 군복은 병사들이나 입는 복장으로 남았으니 흔히 말하는 포졸복이 되시겠다.
파일:2007072411852462120.63719800.jpg
이창운 장군 초상
18세기 이후 군용 복제를 새롭게 정하면서 무반을 상징하던 의복인 장옷과 원래 조선군의 군복이었던 쾌자를 통합한 것이 우리가 아는 군복의 시초이다.

초기 형태는 장옷의 흰색 거들지를 붉은색으로 바꿔서(이것을 '홍수'라고 부른다.[3]) '동다리'라는 의복을 새로 만들어낸 다음 그 위에 쾌자를 걸친 것이었다. 구군복이 처음 등장한 18세기 후반의 무관이었던 이창운[4]의 초상(위 사진)을 보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구군복과 달리 동다리 색이 토홍색이 아닌 녹색이고 홍수 부분도 매우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이 당시의 동다리가 장옷의 형태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았기 때문인데, 조선 전기 장옷 유물의 거들지 길이와 위 초상화의 홍수 길이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은 당연히 동다리라는 복식 자체가 장옷에서 거들지 부분만 팔레트 스왑을 한 의복이기 때문이다.

또한 장옷은 토홍색뿐만 아니라 담황색, 녹색 등등 여러 가지 색상이 있었는데[5] 위 사진의 녹색 동다리 또한 녹색 장옷의 후신격이자 흔적인 셈이다. 하지만 이미 조선 전기의 장옷 또한 토홍색이 가장 흔했고, 결국 동다리의 색상 또한 조선 말기로 갈수록 토홍색으로 일원화되어 버린다. 또한 조선 말기로 갈수록 홍수의 길이 또한 매우 길어지는데, 말기로 가면 아예 동다리의 토홍색 부분이 어깨끈으로 보일 정도로 좁아진다. 붉은색 부분이 많을수록 간지나긴 하니까...
파일:나무위키에 올릴 철릭 사진1.jpg
구군복과 철릭 차림의 관리들을 보다보면 허리춤에 작은 주머니를 길게 늘어트린 모습들을 간혹가다 볼수 있는데 이것은 병부 주머니이다. 병부는 조선시대 때에 임금님의 어명이 새겨진 나무원판이나 조각을 반으로 쪼갠 것인데 하나는 임금님의 명령으로 직책을 임명받아 구군복이나 철릭을 입게 된 관리가, 나머지 반쪽은 임금님이 보유하고 있으며 맞추어 보아 하나가 되면 임금님이 구군복과 철릭을 입은 관리에게 그의 벼슬에 해당하는 자격을 위임했다는 증명으로써 구군복 또는 철릭을 입은 관리에게 임금님이 내린 직책의 한도 내에서 그가 행사할수 있는 권한을 상징했다.
파일:나무위키에 올릴 구군복 사진2 - 복사본.jpg파일:나무위키에 올릴 철릭 사진2 - 복사본 - 복사본2.jpg
흔히 구군복을 입은 관리들이 자주 손에 들고나오는 등채는 우리가 아는 콩과의 (藤)이 아니라 종려과의 등(籐)이다. 대부분의 백과사전을 비롯한 문헌에서도 잘못 쓰니 헷갈리지 않게 주의. 왼쪽 일러스트에서 이순신 장군이 들고있는 모습처럼 원래는 말채찍으로 쓰던 나무로 만든 평범한 목봉이었는데, 나중에 지휘용으로 용도가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 오른쪽에 구군복을 입은 관리의 일러스트를 보면 알겠듯이 조선시대 후기의 등채는 관리의 지휘를 나타내기 위해 화려한 비단 등으로 장식하여 말채찍으로는 쓰기 힘든 물건이 되었다.
파일:20000923_160034 (복사본).jpg
파일:20000923_185449 - 복사본 - 복사본(2).jpg

3. 조선시대 임금의 구군복

조선시대때 임금이 입던 임금용 구군복도 존재하는데 임금용 구군복 역시 임금의 제복인 곤룡포와 마찬가지로 오직 임금만이 입을수 있었다. 조선 25대 임금인 철종어진(임금의초상화)에 그려진 경우처럼 임금이 입는 구군복은 말 그대로 하나의 예술품으로서 위 사진에 있는 수수한 멋스러움의 일반 구군복들보다 훨씬 더 화려하다. 임금용 구군복은 위쪽 사진의 사또나 포도대장같은 관리들이 입고있는 일반적인 구군복과는 비교도 안되는 화려한 디자인을 내기 위해서 곤룡포와 마찬가지로 양쪽 어깨와 가슴과 등에 용을 수놓은 자수를 부착하였다.[6]
파일:철종 (복원).jpg
파일:철종 구군복 어진2.jpg
조선 25대 임금 철종의 구군복 어진
사실 어느 나라이든 군주라 함은 예나 지금이나 문관과 무관의 일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며[7] 이 때문에 동서고금 어느 왕국 또는 제국에서든 군주, 즉 왕, 황제 등의 최상위 신분을 가진 사람은 그 사람만을 위한 군복이 따로 존재했다. 임금 전용 구군복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존재하던 의복인 셈이다.[8] 위에서 등장한 지방 수령이나 무관들의 구군복과는 달리 병부 주머니가 없는 것도 눈여겨 볼 점. 병부라는 것은 군권을 나누어 받았음을 증명하는 것인데, 모든 군권 그 자체를 스스로 통수하는 왕이 누군가로부터 권한을 나누어 받았을리도, 이를 보일 필요도 없기 때문이다.

4. 현대의 미디어에서

한복 중에서도 관복 하면 곤룡포와 함께 가장 유명한 의복으로, 조선시대를 무대로 한 사극, 만화, 애니메이션, 뮤지컬 등의 조선시대 배경 창작물들에서는 민중들과 관계가 깊었던 마을을 다스리는 수령사또[9]나 포도청[10]의 우두머리인 포도대장의 옷으로 자주 등장하며 한국 사람들이 흔히 조선시대 때 전형적인 사또의 옷차림으로 생각하는 옷.[11] KBS 사극에서는 조선 후기 사극에 구군복이 많이 나온다. 흔히 조선시대 배경 사극을 볼때 높은 장수들이 전쟁터에서 입고 있는 두석린 갑이나 두정갑과 같은 조선시대의 유명한 갑옷들도 조선시대 무관들의 대표 제복들인 구군복이나 철릭의 위에 껴입는 것이다.

곤룡포금관조복처럼 지나치게 화려하지 않고, 깔끔하게 드러나는 디자인에 인기가 많아서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게임들에서는 약방의 감초처럼 자주 등장한다.[12]

4.1. 천하제일상 거상에서

파일:나무위키용으로 올릴 거상 구군복 사진1 - 복사본.jpg
파일:나무위키용으로 올릴 거상 구군복 사진2 - 복사본.jpg
파일:나무위키용으로 올릴 거상 구군복 사진3 - 복사본.jpg
파일:나무위키용으로 올릴 거상 구군복 사진4 - 복사본.jpg
파일:나무위키용으로 올릴 거상 구군복 사진5 - 복사본 - 복사본.jpg
파일:나무위키용으로 올릴 거상 구군복 사진6 - 복사본 - 복사본.jpg
파일:나무위키용으로 올릴 거상 구군복 사진7 - 복사본 - 복사본.jpg
특유의 미려하고 간지나는 모습 덕분에 조선 문화를 좋아하는 역사덕후들에게 매우 인기가 많아서 한국의 역사관련 온라인 게임과 조선시대 배경게임중 가장 유명하고 오래된 작품중 하나인 천하제일상 거상에서는 2002년~2006년의 초창기 동안 구군복이 플레이어들에게 의복중에서 굉장히 많은 인기를 끌었었다.[13]
파일:나무위키에 거상 예시로 올릴 구군복 사진6.jpg
파일:나무위키에 거상 예시로 올릴 구군복 사진7.jpg
파일:나무위키에 거상 예시로 올릴 구군복 사진8.jpg
2017년에 충무공 이순신 탄신일인 4월 28일날에는 그날부터 충무공탄신일 행사로 한달정도 간격으로 한정을 정해 화려한 고급 구군복을 입고있는 해당 NPC인 통제사 이운룡에게 재료를 받아 고급 구군복[14]을 제작해서 행사한정판 복장으로 획득할 수 있는 이벤트를 하였다.[15]

4.2. 그외 회화, 영상매체

조선 16대 임금 인조대 1627년. 병자호란의 전초전에 일어난 후금과의 1차 전쟁인 정묘호란때에 벌어진 안주성 전투의 민족기록화[16]에서 보면 포졸복을 입고 싸우는 가장 낮은 병졸들 사이에 구군복을 입고 싸우는 사람들이 보인다. 이는 반영 오류에 해당한다.
파일:안주성 전투.jpg
파일:안주성 전투 기록화 일부분1.jpg
위의 개요에서 나오듯 높은 장군들은 전쟁터에 나갈 때에 구군복과 철릭같은 무관들의 제복에 갑옷을 껴입는다. 오늘날의 사령관, 부사령관, 군단장, 사단장급의 제일 높은 대장들은 말할 것도 없고 최소한 대대장, 중대장, 연대장급의 중간급 대장들이면 왼쪽 그림의 장수처럼[17] 전쟁터에서 갑주(갑옷과 투구)를 착용할 것이다. 구군복이 갑옷처럼 전쟁에서 적의 창칼을 최대한 막아 낼 수 있는 방어력은 없지만 말단졸병들이나 입는 포졸복보다는 훨씬 격이 높고 멋진 옷이니 전쟁터에선 소대장, 분대장급의 제일 낮은 대장들은 구군복 차림으로 전쟁터에 나갔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 다만 분대장급의 경우 분류상 병사이기 때문에 당시 기준으로 보면 포교급이고 그 때문에 속에 받쳐입는 옷이 녹색인 구군복이지 저 복장일 가능성은 없다.[18]
파일:파일img075.jpg(2).jpg
파일:안주성 전투 기록화 일부분2.jpg
임금님의 용포나 당상관[19]들의 관복처럼 지나치게 화려한 옷들에 비해서는 수수하면서도 포졸복처럼 말단관원들이 입던 초라해보이는 옷이나 저고리나 두루마기처럼 평범해보이는 옷들에 비교하면 눈에 띄게 폼나는 상당히 멋드러진 디자인을 자랑한다. 그래서 심플한 멋을 좋아하는 한국인들 사이에서는 인기가 많은 전통옷이라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사극들에서는 사또나 포도대장같이 행정을 다스리는 관청에 속한 매우 높은 관리들이 자신들의 자리를 표현하고 상징하듯이 줄기차게 입고 등장한다.[20]
파일:나무위키에 올릴 사극에서 구군복1.jpg
파일:나무위키에 올릴 사극에서 구군복2.jpg
주로 조선시대 때 전쟁을 배경으로 한 작품들에서는 포졸복을 입은 낮은 졸병들보다는 위이며 갑주(갑옷과 투구)를 입은 총대장에 해당하는 가장 높은 장군들보다는 아래인 부장들이 자주 입고 등장한다.[21]
파일:20000928_153408 - 복사본.jpg
파일:20000928_091943 - 복사본.jpg
파일:20000928_092336 - 복사본.jpg
파일:20000928_092829 - 복사본.jpg
파일:두정갑 착용 재현001.jpg
그런데 정말 자세히 보면 장군들도 갑옷 속에 이 구군복을 받쳐 입었다. 한마디로 총대장급 장군들은 부장보다 갑옷을 더 입었을 뿐이지 부장과 다른 옷을 입은 건 아니다. 이 사진의 12인치 피규어는 김세랑 작가의 작품인데, 조선후기~말기 두정갑에 조선말기 구군복을 갖췄으므로 역시 반영 오류다. 게다가 허리에 챔피언벨트 같은 중국식 광대를 두르고 있는데 전대만 두르거나 포백대같은 광대를 둘렀어야...

여담으로 오버워치의 영웅 맥크리의 스킨 중 포도대장 맥크리라는 스킨이 이 구군복을 입고있다.

5. 오해

간혹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미 상단에서 적었지만 具軍服[22]('군복을 갖추다, 갖추어 입다'라는 뜻)이다. 실제로 실록에서조차 '군복'이라는 말은 어느 정도 등장하지만 구군복(具軍服)이라는 말은 '군복을 갖추고, 군복을 착용하고'라는 뜻으로 2건[23] 밖에 없다. 그런데 이를 舊軍服[24]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간혹 있다. 아마도 '옛 군복(舊軍服)'이라는 뜻으로 착각한 데서 연유한 듯하다.

구군복(군복)을 입기 시작한 것은 병자호란이 지나고 나서 효종 6년에 협수를 입혔다는 기록에서 처음보이고 또한 철릭의 소매넒음에 비효율성에 대한 지적의 기록도 있기때문에 효종 즉위후에 등장한것으로 보이며 그이전 시기에 구군복이 등장하는 사극이나 미디어매체는 재현 오류이다.

구군복은 시대를 거듭하며 변화해와서 사람들이 흔히 아는 구한말 구군복(홍색 소매가 긴 구군복) 모습이 된 것이다.

사실 미디어에서 사또, 즉 지방 관청의 수령들이 전부 구군복을 입는 것은 재현 오류다. 실제 구군복을 입는 것은 변방, 군사요충지의 무관직 수령들 뿐이었고, 문관 출신 수령들은 그냥 양반의 정장인 흑립도포를 착용했다. 특히 아래에서 보듯 여러 그림 자료에 나온다.
파일:조선사또 이승렬.jpg
파일:야스다요시카타 조선표류일기.jpg
1816년 조선을 방문한 영국 해군이 그린[25] 조선 비인현감 이승렬과 부하들의 모습 1817년 조선을 방문한 일본인 야스다 요시카타가 그린 충청관찰사의 모습
물론 사또들은 기본적으로 군사업무도 같이 봤지만, 평시에는 저렇게 입었다.

다만 사극에서 사또에게 무조건 구군복을 착용시키는 것은 시청자들로 하여금 '저 사람이 사또구나'라고 하는 것을 알려주는 일종의 각색일 뿐이다.

http://youtu.be/-iswQv-ihSI

국군 퍼레이드에서 구군복을 입고 행진하는 대한민국 국군 의장대의 영상이다.

[1] 우리가 아는 쾌자+동다리 조합은 18세기 이후에 나타난 것이고, 그 이전까지의 조선 군복은 철릭이었다.[2] 굳이 현대의 군복과 구별해서 부르자면 '조선군복' 정도.[3] 붉은색을 쓴 이유는 군마가 피를 보고도 놀라지 않게 붉은색에 익숙하게 하려 함이라는 명분이었지만, 사실 말은 색맹이라 전혀 실용적인 효과는 없고 장식이 되어 버린, 스페인 투우사의 붉은 천과 마찬가지 결과가 되었다.[4] 1713 ~ 1791. 본관은 함평이고 자는 성유이다. 1738년 무관으로 천거되어 선전관에 제수되었고 다음해에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주부 겸 사복시내승에 임명되었다. 1747년에 상원군수에 임명, 뒤이어 1752년에는 안동영장에 임명되었고 1754년 종2품 하계 가선대부에 가자됨과 동시에 함춘군으로 봉해졌다. 이어 선천방어사·경상좌도수군절도사·제주목사·파주목사 등을 거쳤다. 1774년 영조가 정3품 상계 이상 종1품 이하의 당상 문·무관을 대상으로 한 등준시에서 을과 4등으로 합격하였다. 1776년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었고 그 후 우포도대장·어영대장·총융사·오위도총부도총관 등을 지냈다. 이창운의 초상은 총 4점이 남았다. 위 사진을 비롯해서 위 초상과 같은 화가가 그린 단령본 초상, 등준시에서 을과 4등으로 합격한 후 영조의 명령으로 등준시에 합격한 18명의 무관의 반신상을 그려서 수록하게 한 등준시무과도상첩,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한, 훼손이 심한 단령본 초상이 존재한다.[5] 이 점은 현재의 (여성들의 쓰개 용도인) 장옷에서 그 잔영을 찾아볼 수 있다.[6] 이 자수를 흉배라고 부르는데 조선이 상국으로 섬기던 중국의 명나라에게서 받아들인 것이며 임금은 을, 문관은 을, 무관을 호랑이를 수놓은 흉배를 용포와 관복에 부착했다. 임금의 흉배는 군주의 흉배답게 신하들의 흉배와 차별화를 두기위해 흉배라 부르지 않고 보(補)라고 불렀다. 임금의 보는 동그라미 형태고 신하들의 흉배는 네모 형태인데 임금의 보가 둥그란 것은 하늘을, 신하들의 흉배가 네모난 것은 땅을 뜻하는 것이라고 한다.[7] 이러한 점은 현재의 대한민국 대통령도 마찬가지이다. 대한민국의 대통령은 문관으로서는 정치인들과 마찬가지의 정책 현안에 대한 업무를 하고 있으며 무관으로서는 군통수권자이다.[8] 현재 유럽 여러 나라의 국왕들도 공식 석상에서는 군 예복을 입고 참석하며, 대한민국 대통령도 군복을 입을 때는 계급장 부분에 대통령 상징인 봉황휘장을 계급장 대신 부착한 군복을 입는다.[9] 단 아래에 나오듯이 이것은 오류이다.[10] 조선시대 때 죄인의 심문과 도적의 포획 및 도적·화재 예방을 위해 순찰 등의 일을 맡았던 곳.[11] 실제로는 무관들이 군복 차림을 갖추는 일을 뜻한다. 전립을 쓰고, 동달이를 입은 장표 위에 광다회전대 띠를 매고, 목화를 신고, 동개활집을 메고, 환도를 차고, 등채를 손에 드는 것.[12] 이 예시사진의 구군복을 입은 캐릭터들은 우리나라의 유명한 16~17세기의 조선, 일본, 중국 명나라, 대만을 배경으로한 국산 온라인 게임인 천하제일상 거상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이다. 맨 왼쪽의 수염을 기르고 등채를 손에 잡고있는 구군복 캐릭터는 충무공이순신탄신일 이벤트때 한정으로 나온 NPC인 통제사 이운룡, 가운데와 맨 오른쪽의 구군복 캐릭터들은 게임내의 구군복 아이템을 입고있는 플레이어 캐릭터들이다.[13] 2002년 거상 오픈후 17년이 다된 지금은 여러 패치를 거쳐 세대마다 막강한 고렙몬스터들이 나타나고 그에 맞설수 있게 강력한 방어력을 가지고 외견도 화려한 고급갑옷들이 많이 등장하다보니 의복이 고렙갑옷에 비해 인기를 잃었지만 초창기에 지금처럼 무지막지하게 강한 몬스터가 없고 그만한 갑옷들도 없을때는 화려하거나 멋진 의복들이 인기를 끌었었다.[14] 다만 아이템명은 고급 구군복이 아닌 수군통제사복장이라는 이름으로 나왔다.[15] 맨 왼쪽의 수염길고 등채를 손에 잡고 화려한 구군복을 입은 캐릭터가 당시 이벤트의 해당NPC인 통제사 이운룡, 가운데의 통제사 이운룡이 입은것과 비슷한 화려한 구군복을 입은 캐릭터는 이벤트에 당첨되어 획득한 고급 구군복(수군통제사복장)을 입은 유저 캐릭터, 맨 오른쪽의 캐릭터들은 고급 구군복과 일반 구군복을 입은 게임내 유저 캐릭터들의 모습이다.구군복보다 해당 유저들이 데리고 다니는 영수들인 기린청룡이 더 눈에 띄면 기분 탓이다.[16] 참고로 청군이 갑옷을 입지 않고 청 후기식 음양두를 하는 등 반영 오류가 좀 있다.[17] 이 그림은 김용환화백이 1990년 5월 계몽사의 그림한국사에서 그린 조선시대 전쟁장면 삽화이다.[18] 사실 이 부분에 대해선 역사덕후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하다. 포르투갈 출신의 선교사 프로이스가 쓴 일본사 기록을 보면 임진왜란 당시 조선군을 검은 갑옷을 입은 군대로 묘사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것을 보고 과거 창칼이 난무하는 전장에서 아무리 계급이 낮은 병사라도 갑옷을 걸치지 않고 전투에 나갔을 리는 없을것이라 말하는 이들도 많고,파일:조선전역해전도 일부.jpg19세기말~20세기초 일본의 유명화가였던 오오타 텐요오(太田天洋: 1884~1946)가 칠천량 해전을 묘사하여 그린 조선전역해전도의 일부를 보면 조선군에서 포졸모자를 쓰고있는 낮은 병졸도 흉갑(전체적으로 보호하진 못해도 윗몸에 둘러서 상체를 대체적으로 보호할수 있게 만든 갑옷)을 입고 싸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이 조선군 전원이 갑옷을 입었다는 증거는 되지 못한다. 또 포졸복항목에서 볼수있듯 프로이스는 조선원정에 직접 참여한 이도 아니다. 이 때까지도 조선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개인용 병장기와 갑옷은 개인이 구매하는 물품이었다. 예로 들었던 스페인 군대도 말할 것도 없거니와, 스페인 군대는 장창값조차 병사의 급여에서 거둬갔다. 병사들은 어쨌든 자신의 목숨이 걸린 일이라서 최소한 흉갑과 투구만큼은 어떻게든 마련했다고 한다. 그래서 유럽에서는 대규모 갑옷 공방이 발달하게 된다. 조선의 경우는 자세히 알 수는 없으나 갑옷을 구비할만큼의 여유가 없었던 병사들은 맨몸으로 나섰으리라는 정도의 추측은 가능하다. 그러니까 국가 예산과는 별 관계가 없다. 심지어 조선군이 갑옷을 제대로 갖추지 못했을 것이라면서 민족 기록화를 근거라고 들었는데 민족 기록화는 현대에 와서 상상으로 그린 그림들이다. 이걸 어떻게 근거로 든다는 말인가. 그러니까 같은 포졸이어도 좀 유복하면 나름대로 갑옷을 맞춰다 입었을 수도 있었지만 진짜 찢어지게 가난하면 갑옷 맞출 돈이 없어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포졸복마냥 전복만 겨우 구해다 입는 수준이라는 얘기다.[19] 조선시대때 국무총리에 해당하는 정1품, 부총리에 해당하는 종1품, 장관에 해당하는 정2품, 차관에 해당하는 종2품, 대통령 비서실장에 해당하는 정3품까지의 관리들중 가장 높은 고위급 관리들을 뜻하는 말, 종3품부터의 관리들을 당하관이라 했는데 (정3품이 전부 당상관이 아니다. 정3품중 문신은 통정대부가 당상관이며 무신은 절충장군이 당상관이다. 그이하는 정3품이여도 당하관이다.) 최하는 종9품까지 있었으며 종3품~종6품까지의 높은 당하관들은 참상관, 정7품~종9품까지의 낮은 당하관들은 참하관이라고 불렀다.[20] 해당사진의 인물은 2007년에 KBS미니시리즈사극드라마로 방송했던 한성별곡에서 포도대장을 맡은 탤런트배우 박철민씨.[21] 이 작품은 충무공 이순신을 주인공으로 한 대표 사극불멸의 이순신에서 초반부와 명량해전이야기의 원작소설이 된 김훈칼의 노래를 2004년 아이세움 출판사에서 박산하 작가가 아동과 청소년용 만화로 그린 만화판 칼의 노래이다. 파일:20000928_093854 - 복사본.jpg 파일:20000928_093310 - 복사본.jpg 구군복을 입고있는 무관은 칼의 노래에서 이순신의 부관인 김수철. 갑주를 입고 있는 장군은 충무공 이순신.[22] 갖출 구(具)[23] 순조 실록, 고종 실록[24] 옛 구(舊) 자[25] 이 그림을 당시 세인트헬레나에 유배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게 보여준다.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