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18 11:19:58

띠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국내 뉴에이지 작곡가에 대한 내용은 띠돈(작곡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환도띠돈.png
파일:조선군 좌독기_White.svg
조선의 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백병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도검 사인검, 월도, 왜검, 장검, 창포검, 환도, 협도, 쌍수도
당파, 장창, 낭선, 기창, 죽장창, 요구창, 겸창, 이두표, 표창
둔기 도끼(부월), 쇠좆매, 육모방망이, 철퇴, 철편, 편곤
발사
무기
궁(弓)시(矢) 국궁, 각궁, 목궁(교자궁), 죽궁, 쇠뇌 장전, 편전(애기살)
화기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화포
탄약지뢰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별대완구,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 총통기, 호준포, 불랑기포, 홍이포, 운현궁 화포(소포, 중포, 대포), 목모포, 파진포, 지뢰포, 수뢰포
쇄마탄, 목통
진천뢰, 질려포통, 비격진천뢰, 죽장군, 대장군전
개인화기 조총, 천보총, 대조총, 승자총통, 삼안총, 세총통, 수포, 쌍자총통, Gew71, 스나이더-엔필드
화전・로켓 신기전, 화차
방어구 갑(甲)군복 두정갑, 철찰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면제배갑, 엄심갑, 지갑, 어린갑(두석린갑) 납의, 철릭, 구군복, 포졸복
주(冑)군모 간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원주형 투구 전립, 주립
방패 원방패, 장방패, 등패, 장태
군장 띠돈, 동개, 활집, 광다회, 전대
전차・육상병기 화차, 비거 마름쇠
전선(戰船) 판옥선, 방패선, 거북선, 해골선, 맹선, 과선, 협선, 사후선, 누전선 }}}}}}}}}

1. 개요2. 상세 구조3. 패용법
3.1. 군복을 입었을 때3.2. 평상복일 때
4. 대중 매체에서5. 같이보기

1. 개요

한국의 무기나 노리개 같은 장신구에서 자주 보이는 결속 도구이자 장식품. 활이 주무기였던 조선의 무사들에겐 사실상 필수품이나 다름없었으며 이 띠돈을 결속하기 위해서 광다회도 결과적으로 필수품이 되었다. 흔히 사람들이 환도에만 띠돈이 쓰였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당연하지만 활을 쏠 때 필요한 시복이나 활집도 여기에 결속하였기 때문에 그냥 조선시대판 앨리스 클립이라 보는 게 맞을 듯하다.

참고로 이 문서는 환도 문서와 함께 보는 것이 좋다.

2. 상세 구조

파일:띠돈1.png 파일:띠돈.jpg
위 사진에 나오는 것이 한국식 띠돈의 대략적인 구조이다. 명나라나 청나라, 여진족 등에도 띠돈은 존재하지만 한국의 띠돈과는 구조가 약간 다르다.

중국의 띠돈은 그냥 고리가 완전히 고정되었고 그 고리를 띠에 결속하기 위한 단순한 구조인데 반해, 한국의 띠돈은 실제로 그 고리가 회전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중국의 띠돈에 결속한 칼집은 칼집을 돌려 칼을 뽑고 나서 칼집을 놓으면 칼집을 뒤집기 위해 꼬여있던 허리띠가 다시 돌아가는 당연한 원리로 칼집이 다시 뒤쪽을 향하게 되지만, 한국의 띠돈은 칼집을 앞으로 돌려 칼을 뽑고 나서 칼집을 놓으면 띠돈이 고정된 게 아니라 빙글빙글 돌아가도록 유연성이 있으므로, 그냥 뽑을 때 앞을 보는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조선식 띠돈은 칼을 쓴 뒤 칼집에 칼을 바로 집어넣을 수 있다. 다만 더 섬세한 구조라서 단순한 구조를 가진 타국의 띠돈에 비해 내구성은 약간 떨어졌을 수도 있다.

파일:띠돈3.jpg
위의 사진에 나오듯 좌우 수평회전만 가능한 구조와 상하 수직회전까지 가능해서 3차원적인 움직임이 가능한 덜렁덜렁 구조도 있었다.

3. 패용법

3.1. 군복을 입었을 때

대부분 광다회에 꿰어 놓고 그 광다회를 허리에 둘렀다. 대부분의 동개일습에 환도로 중무장한 무사들은 한 광다회에 동개의 띠돈 두 개, 활집의 띠돈 하나, 환도의 띠돈 하나로 총 4개의 띠돈이 꿰메어져 있었다.

3.2. 평상복일 때

파일:거북등걸이배자.jpg
또한 군용 띠를 갖추지 않고 일반 평복처럼 단순하게 차려입을 때는 겉옷 속에 위 사진과 같이 굵은 베로 만든, 거의 현대식 조끼에 가까운 형태에다가 왼쪽 겨드랑이 부분엔 굵은 베를 겹쳐 만든 고리가 달린 '거북등걸이 배자'를 받쳐 입고 그 위에 입은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겨드랑이 부분에 구멍을 낸 뒤 상술한 배자가 그 구멍에 빠져나오게 한 다음 고리에 그 검의 끈을 빠져나온 고리에 걸어 칼자루가 뒤로 가게 찬다. 다만 이것이 띠돈에 거는 것인지 그냥 띠돈 없이 바로 환도에 달린 끈에 거는 것인지는 확실친 않다.

파일:동래부사접왜도.jpg
동래부사접왜도(東萊副使接倭圖,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일부에 묘사된, 초량 왜관에 온 일본 사신들을 맞이하여 의례를 지내는 조선인들의 모습이다. 일본도를 그냥 칼날 부분이 위를 보고 손잡이가 앞으로 오게 허리띠에 꽂아 결속한 일본 사신들과는 달리 환도를 띠돈[1]에 걸어 칼날이 아래를 보고 손잡이가 뒤로 오게 하여 결속한 조선인들의 패용 방법이 상당히 대조된다.

4. 대중 매체에서

드라마든 영화든 대다수의 매체들이 띠돈을 거의 고증하지 않아서 사람들이 왼손으로 칼을 들고 다니다가 사용할 때 오른손으로 뽑아쓰는 근본없는 패용법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지상파에서 만든다는 명품 사극이라는 작품들도 마찬가지. 패용법 고증에서 일본 사극은 물론 중국 사극에서도 거의 예외 없이 띠돈 패용을 한다는 점에서 이와 대비된다. 그래도 최근 사극들은 이런 비판들을 듣기는 한건지 뿌리깊은 나무나 넷플릭스의 킹덤같이 띠돈을 고증하는 작품도 조금씩 늘고 있다.

다만 띠돈의 구조를 재현하는 것이 크게 어렵지도 않고 여러 사료에도 기록되어있는 만큼 제작진들이 전통문화에 무지해서라기 보다는, 사극 촬영에 있어 띠돈이 거추장스럽다는 이유가 꽤 큰 듯하다. 특히나 띠돈식으로 패용하고 칼을 뽑은 후 격렬히 액션신을 촬영하는 경우 1점식 패용[2]이라는 점 때문에 차고 있는 칼집이 배우에게도 성가시고 앞뒤로 돌릴 수 있게끔 만든 구조 때문에 화면에서는 보기 거슬릴 정도로 격렬하게 흔들린다. 즉, 액션 동선의 용이함과 보기 좋은 동적 장면을 연출하기 위해 띠돈을 포기하는 것. 실제로 그런 뉘앙스의 사극 제작진의 답변도 있다. 그나마 띠돈을 잘 재현한 작품인 뿌리깊은 나무에서조차 정적인 장면에서만 띠돈을 재현하고 액션신에서는 칼집을 던져버리고 싸우는 연출을 택했다.

5. 같이보기


[1] 아니면, 자세히 보면 광다회를 묶지 않고 그냥 세조대 같은 것(딱 봐도 칼 무게를 감당하긴 힘들다.)으로 허리를 묶은 것으로 추정하건데 상술한 배자에 달린 고리에 결속했을 가능성이 높다.[2] 고리 하나에 검을 매달은 방식. 2점식은 고리 두개에 검을 패용하는 방식으로 환도 패용법 중에 고리메기 방식이 이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