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9-01 07:58:39

소포

1. 2. 3. 小胞4. 조선시대의 화포
4.1. 한제국 건국사에 등장하는 청동제 야포

1.

작은 구경의 포를 뜻하는 말로, 현대 화기 기준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구경명칭이다.

2.

일본어의 小包(こづつみ)에서 온 말로, 일본어에서는 본디 훈독이다. 말 그대로 작은 보따리를 뜻하는데, 지금은 크기와 관계없이 어떤 물건을 포장하여 보내는 우편 서비스를 이르는 말이다. 통상우편물(편지, 서류 등) 이상의 부피를 가지는 배달 규격. 소형포장물(small packet)[1]과는 다르다.[2]

우정사업본부에서는 통상우편물이 아닌 우편물로 가로, 세로, 높이를 합하여 35cm 이상 160cm이하, 무게 30kg 이내의 우편물을 소포로 분류한다. 등기소포는 익일특급을 추가할 경우 우체국 택배 보다 500~1000원 저렴하다.[3]

'소포'(小包)이지만 이에 대응하는 '대포'(大包)와 같은 말은 없다. 단어 형성 단계에서라면 모를까 현대 한국어에서는 더 이상 '소+포'로 인식되지 않기 때문에 '작은 소포'라거나 '큰 소포'라는 식으로 써도 크게 문제는 없다.

3. 小胞

세포 소기관 중 하나

4. 조선시대의 화포

파일:조선군 좌독기_White.svg
조선의 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백병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도검 사인검, 월도, 왜검, 장검, 창포검, 환도, 협도, 쌍수도
당파, 장창, 낭선, 기창, 표창
둔기 편곤, 철편, 철퇴, 육모방망이, 쇠좆매
발사
무기
궁시 국궁, 편전(애기살), 각궁, 쇠뇌
화기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화포
탄약지뢰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별대완구,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 총통기, 호준포, 불랑기포, 홍이포, 소포, 중포, 대포, 파진포, 지뢰포, 수뢰포
쇄마탄, 목통
진천뢰, 질려포통, 비격진천뢰, 죽장군, 대장군전
개인화기 조총, 천보총, 대조총, 승자총통, 삼안총, 세총통, 쌍자총통
화전・로켓 신기전, 화차
방어구 갑주군복 두정갑, 철찰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면제배갑, 엄심갑, 지갑, 어린갑(두석린갑) 납의, 철릭, 구군복, 포졸복
방패 원방패, 장방패, 등패, 장태
군장 띠돈, 동개, 활집, 광다회, 전대
전차・육상병기 화차, 비거 마름쇠
전선(戰船) 판옥선, 방패선, 거북선, 해골선, 맹선, 과선, 협선, 사후선, 누전선 }}}}}}}}}

파일:external/www.dapsa.kr/2014_05_01-P5019514.jpg

1874년 흥선대원군 주도로 운현궁에서 제작된 근대적 화포 중 하나. 보다 대형인 중포도 있었다. 8.4cm 구경의 포로, 길이는 현자총통보다 10cm 가량 더 긴 108cm이고 화약량은 현자총통의 4배인 1근을 사용했다. 굳이 비교하자면 19세기 초 프랑스의 그리보발 4 파운드 포와 비슷하지만 더 짧은 형태다.

기존 총통에 비해 여러 장점이 있는 대포로, 새로운 주조 기법을 적용해 포구에서 포미로 갈수록 점차 굵어지는 18 ~ 19세기 서양식 대포의 형태를 띄고 있어 죽절이 없어도 파열 위험이 적었다. 고각 조절이 가능하고 움직임이 편한 서양식 포가를 가지고 있던 것도 장점. 다만 포탄만은 여전히 철환과 조란환을 사용했다는 한계가 있다.

4.1. 한제국 건국사에 등장하는 청동제 야포

등장인물 개변된 역사 무기
민국인 제너럴 셔먼호 사건 · 오페르트 도굴사건
톈진 사건
· {{{-2 군산포 해전
제2차 한산도 해전
· 영종도 해전 · 안산 전투}}}
갑식 보총 · 강선 조총
1백근 야포
· {{{-2 천갑탄
소포
· 뇌창 · 소이신기전}}}

작중에서의 모습은 위와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그려지는 민국인 개발 무기.

파일:/pds/200905/01/64/e0040264_49faf443d4d16.jpg

파일:/pds/200905/01/64/e0040264_49faf4448b0fc.jpg

특이하게 바퀴가 아닌 삼각대(현대의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에 사용되는 M3 삼각대와 매우 닮았다)를 사용하며, 쉽게 분해해 운반이 가능하도록 했다.

산탄 전용 소구경 속사포로, 분당 최대 8-10발 정도. 흑색화약을 쓰는 산탄 20발이 든 금속약협탄을 사용한다.

19-20세기 경야포/산포와 20세기 초반의 중기관총 개념의 혼합적인 물건.

다만 경량화와 저가 생산에 그 주안점을 둔지라 주퇴복좌기, 완충기가 없어 반동에 취약, 저위력 탄약을 쓸 수 밖에 없어 2-3백 미터 범위만 제압가능해 적의 보병화기에 매우 취약하다고 한다.

소설에서는 행주산성 전투에서 먼치킨 병기인 K3와 함께 연합군 보병들을 때학살 시키는 ㄷㄷㄷ한 위력을 보여줬다.[4] 1차 대전때나 겪어야 할 기관총 쇼크를 당했기 때문에 연합군에서는 그 자리에서 미쳐버린 장교도 나왔다.

작가는 후기에서 이후 이 포가에 산탄 소포 대신 탄띠급탄 경기관총이나 완충장치가 달린 소구경 야포로 개량하고자 한다고 적었다.


[1] 국제우편에만 있는 개념이었으나 국내우편에서도 2007년 부터 소형포장우편물이라는 이름으로 유사한 것이 생겼다. 물론 국제우편처럼 별도로 구분된 것이 아니라 통상우편물에 포함된다. 국내우편의 소형포장우편물은 서신이 아닌 것으로 3변의 합이 35cm미만의 초소형물품이 여기에 해당한다. 단, 등기우편으로 무게가 650g(동일권역은 400g)을 초과한다면 차라리 등기소포가 더 저렴하다.[2] 통상우편물<소형포장물<소포.[3] 정확히는 등기소포에 집배원 방문접수를 추가하여 우체국 택배를 꼽사리로 끼워 넣은 것이다. 민간물류회사에서 고객 방문접수를 무기로 내새우자 우체국에서 대응한 것. 우체국 택배 방문 접수 시 추가 금액은 등기소포 방문 접수 시 면세되는 부가가치세다. 민간 사업자와 경쟁하고 있기 때문이다.[4] K3가 사실상 다 갈아버렸다고 할 수 있다. 사용법을 훈련받고 운용하던 조선 병사조차도 얼래 너무 쉽게 죽일 수 있잖아? 하는 반응을 보였을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