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장인물 | 개변된 역사 | 무기 |
민국인 | 제너럴 셔먼호 사건 · 오페르트 도굴사건 톈진 사건 · {{{-2 군산포 해전 제2차 한산도 해전 · 영종도 해전 · 안산 전투}}} | 갑식 보총 · 강선 조총 1백근 야포 · {{{-2 천갑탄 소포 · 뇌창 · 소이신기전}}} |
1. 개요
한제국 건국사에 등장하는 민국인들이 처음으로 공을 세운 사건. 또한 훗날 신미양요[1]가 일어나게 된 원인이 된다.1866년 7월 8일부터 7월 15일(음력) 까지 벌어진 사건.
2. 발생 원인
원래 역사에서는 영국인 목사 토마스가 셔먼 호 선주 프레스턴을 꼬드긴 것이 시작이나 소설에서는 선주 프레스턴이 중국 내 미국 회사와 계약을 맺고 조선과 통상을 하려는 중에 발생하게 된다.[2]3. 작중 전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술함. 시간 표기에서 년도는 양력. 월일은 음력임.3.1. 셔먼호의 등장과 대동강 정박
- 1866년 7월 8일. 황해도 황주 송산리에 셔먼호 출몰. 황주목사 정대식이 처음으로 문정함. 이 때 이들은 통상을 요구하며 물자를 내어달라 함. 황주목사는 이들을 막을 무력이 없으므로 문정 후 이들에 대한 특별한 제재를 가하지 않고 조정에 보고를 올림.
- 7월 9일. 용강현령이 셔먼호 측과 회담을 하였는데 여기서 셔먼호 측이 처음으로 통상에 응하지 않을시 일전을 불사한다는 협박을 가함.
- 7월 12일. 평양 대동강에 출몰.
3.2. 셔먼호측과 조선 간의 회담 및 교전
- 7월 12일. 평양부 서윤 신태정과 평안감영 중군 이현익이 셔먼호 측과 대화시도. 셔먼호 측의 통상요구는 받아들이지 않았으나 물자보급에는 동의. 셔먼측은 물자보급 후 강을 거슬러 올라감. 서울에서는 권철상 등 5명의 장교들이 평양으로 출발.
- 7월 13일. 권철상 일행이 평양에 도착. 중군 이현익과 셔먼호에서 협상. 별 성과 없이 끝남.
- 7월 13일 밤. 순화강 근처로 내려온 셔먼호에서 소형함이 나와 조선군이 보이는 곳에서 성냥을 그었다. 그걸 총격시작으로 오판한 조선군이 소형함에 일제 사격을 가했고 셔먼호가 대포로 응사하면서 쌍방 교전 발생.
이 교전으로 셔먼호쪽 말레이시아 선원이 부상. 조선군은 12명의 사상자[3]가 발생함.
- 7월 14일. 권철상 일행[4]이 셔먼호측과 2차 협상. 고성과 막말이 오가다가 결국 배 안에서 총격전 발생[5]. 중군 이현익이 부상을 입고 잡혔고 민국인 장교들은 김현수 중위가 부상[6] 을 입은 것 말고는 무사히 도망침[7].
이후 평양부 서윤 신태정이 다시 협상에 들어가려 했으나 청나라인 통역과 서로 고성만 주고 받은 채 협상은 시작도 못하고 끝났다. 이로써 평안감사 박규수는 셔먼호에 대한 무력응징을 결정.
- 7월 14일 밤. 중군 이현익이 잡힌 것에 책임감을 느낀 권철상 일행이 前 군관 출신 박춘권과 함께 셔먼호에 잠입. 다행히 셔먼호 선원들이 술에 취해 잠이든 상태라 들키지는 않았다[8]. 선창에 내려가는 중간에 목사 토마스를 붙잡아 이현익의 행방을 알게 되었고 이현익을 무사히 구출한 일행은 셔먼호를 빠져나감.
3.3. 셔먼호의 최후
- 7월 15일 아침. 인질이 사라진 걸 알게 된 셔먼호는 대동강을 빠져 나가려 했으나 철산부사 백낙청의 휘하 포수들과 평안감영 군사들에게 공격을 받아 양각도 인근 모래톱에 좌초. 배를 빠져나온 토마스 목사는 주민들에게 맞아죽고 다른 선원들은 불에 타 죽었다. 이 때 토마스 목사는 개인 심리 묘사를 보면 '이 배에 탄 것 만으로도 나는 죄인이다'라는 자책감 때문에 도망치지 않고 주민들에게 순순히 죽임을 당하는 모습으로 나온다.[9]
4. 사건의 영향
[1] 작중의 다른 이름으로는 징벌전쟁[2] 이러한 묘사는 작가 윤민혁의 착오에서 기인한다. 윤민혁은 토마스 목사에 대해 우호적으로 서술한 국내 자료만을 접하고 토마스 목사를 선량한 인물로 설정한 것. 이 점은 윤민혁 본인도 이후에 인정하였다.[3] 7명 사망. 5명 중상[4] 중군 이현익. 민국인 장교 권철상, 우형식, 오진우, 김현수, 양일헌[5] 셔먼호 측은 애초에 권철상일행을 선장실에서 인질로 잡으려 했는데 권철상측이 위압적인 자세로 선원들을 밀어내고 나옴. 갑판에서 선주가 최후의 발악으로 선원들에게 발포명령을 내림.[6] 총격에 한쪽 귀가 날아가고 다리에 총상을 입음. 한쪽귀에 입은 부상은 후에 소설에서 가끔씩 언급됨.[7] 실제로 중군 이현익이 포로가 되었다[8] 이 장면에서 웃긴 게, 인질이 어디있을까 하니, 일행 중의 한 명이 '선창에 있을 겁니다.'...라고 말했다. 권철상이 '어떻게 아냐?'고 묻자 하는 말이... '드라마에 그리 나왔습니다.'(...)[9] 다만 원 역사에서 토마스 목사는 셔먼호의 선장을 꼬드긴 장본인인지라 독자들 사이에서 비판이 나왔고 작가도 이를 인정했다.[10] 미국측이 이 사건에 대해 알게 된 시기는 1868년[11] 권철상대위의 밀명을 받은 후배 양일헌 중위가 프랑스 측에 슬쩍 흘린기도 했고, 조선 조정에서 은근히 청국상인들에게 이 사실을 유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