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백병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도검 | 사인검, 월도, 왜검, 장검, 창포검, 환도, 협도, 쌍수도 | ||
창 | 당파, 장창, 낭선, 기창, 죽장창, 요구창, 겸창, 이두표, 표창 | ||||
둔기 | 도끼(부월), 쇠좆매, 육모방망이, 철퇴, 철편, 편곤 | ||||
발사 무기 | 궁(弓)・시(矢) | 국궁, 각궁, 목궁(교자궁), 죽궁, 쇠뇌 | 장전, 편전(애기살) | ||
화기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화포 탄약・지뢰 |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별대완구,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 총통기, 호준포, 불랑기포, 홍이포, 운현궁 화포(소포, 중포, 대포), 목모포, 파진포, 지뢰포, 수뢰포 쇄마탄, 목통 | 진천뢰, 질려포통, 비격진천뢰, 죽장군, 대장군전 | ||
개인화기 | 조총, 천보총, 대조총, 승자총통, 삼안총, 세총통, 수포, 쌍자총통, Gew71, 레밍턴 롤링블럭, 스나이더-엔필드 | ||||
화전・로켓 | 신기전, 화차 | ||||
방어구 | 갑(甲)・군복 | 두정갑, 유엽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면제배갑, 엄심갑, 지갑, 어린갑(두석린갑) | 납의, 철릭, 구군복, 포졸복 | ||
주(冑)・군모 | 간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원주형 투구 | 전립, 주립 | |||
방패 | 원방패, 장방패, 등패, 장태 | ||||
군장 | 띠돈, 동개, 활집, 광다회, 전대 | ||||
전차・육상병기 | 화차, 비거 | 마름쇠 | |||
전선(戰船) | 판옥선, 방패선, 거북선, 해골선, 맹선, 과선, 협선, 사후선, 누전선 | }}}}}}}}} |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중인 간주형 투구1 |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중인 간주형 투구2 |
1. 개요
간주형(幹柱形) 투구. 조선 중후기에 걸쳐 널리 사용된 투구.간주형 투구는 세모꼴의 판 네 개를 세로 방향으로 결합해 만들고, 결합 부위에 간주(幹柱)라고 하는 기둥을 세워서 간주형 투구라고 한다. 측면과 후면에는 대개 드림[1]을 달았기 때문에, 첨주형 투구와는 달리 차양[2]은 전면에만 달려있다.
투구의 부위로는 각각, 투구의 본체인 투구감투와 간주를 감싸는 부분은 개철, 투구 감투를 세로로 가로지르는 막대는 근철, 이마를 가리고 차양 아래에 달린 이마 가리개와 옆드림[3]과 뒷드림[4]이 있다. 그리고 끈은 대개 투구 감투와 바로 연결된 것과 옆드림에 달린 것이 있다, 옆드림에 달린 끈은 드림을 여미기 위한 것이고, 투구 감투에 바로 연결된 것은 투구가 흔들리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2. 매체에서
사극에서 조선군이 투구를 쓴다하면 대부분은 이 투구인데, 그 까닭은 간주형 투구가 다른 투구에 비해 유물이 매우 많고, 가장 최근까지 사용됐었기 때문이다.대중매체에서는 배우와 캐릭터의 얼굴이 가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난전 도중에도 드림을 풀고 다니지만, 실제로는 전투 상황에서 만큼은 끈으로 드림을 확실히 여며 목과 얼굴을 보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