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옷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9370db> 팬티 | T팬티 · C스트링 · 줄무늬 팬티 · 브리프(속옷) · 드로어즈(남성용 드로어즈) · T프런트 · 작스트랩 · 하이레그 · 로레그 · 브레이브맨 · 트렁크 · 갈라팬티 |
란제리 | 가터벨트 · 가터 · 뷔스티에 · 코르셋 · 브래지어 · 파니에 | |
브래지어 | 누드 브래지어 · 스포츠 브라 · 브라탑 · 가슴가리개 · 가슴붕대 | |
기타 | 내복 · 네글리제 · 양말 · 훈도시 · 러닝셔츠 · 반팔러닝 · 캐미솔 · 슬립 · 마에바리 · 튜브 탑 · 텔냐쉬카 · 미세판 · 승부속옷 · 패드 · 기저귀 · 니플밴드 | |
브랜드 | 캘빈 클라인 | |
패션 | 속옷 모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82647 3%, #31b675 3%, #31b675 6%, #89236a 6%, #89236a 9%, #f9d537 9%, #f9d537 12%, #db4e9c 12%, #db4e9c 15%, #026892 15%, #026892 18%, #e7e6d2 18%, #e7e6d2 21%, #b82647 21%, #b82647 24%, #f8e77f 24%, #f8e77f 76%, #b82647 76%, #b82647 79%, #e7e6d2 79%, #e7e6d2 82%, #026892 82%, #026892 85%, #db4e9c 85%, #db4e9c 88%, #f9d537 88%, #f9d537 91%, #89236a 91%, #89236a 94%, #31b675 94%, #31b675 97%, #b82647 97%)" 한복의 종류{{{#!wiki style="margin-top: 7px; padding-top: 5px; border-top: solid 1px; border-color: #683235; color:#683235; min-height: calc(1.5em +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 남녀공용 | |||||||
상의 | 저고리 · 덧저고리 · 배냇저고리 · 색동저고리 · 삼 · 적삼 · 마고자 | |||||||
하의 | 바지 | |||||||
겉옷 | 반비 · 배자 · 장옷 | |||||||
신발 | 목화 · 꽃신 · 갖신 · 짚신 · 미투리 · 나막신 | |||||||
기타 | 무복 · 버선 · 상복 | |||||||
남성용 | ||||||||
평복 | 상의 | 사규삼 | ||||||
하의 | 잠방이 | |||||||
겉옷 | 포 · 백저포 · 도포 · 두루마기 · 창의 · 대창의 · 학창의 · 소창의 · 심의 · 중치막 · 쾌자 · 답호 | |||||||
예복 및 관복 | 단령 · 곤룡포 · 곤복 · 조복 | |||||||
융복 | 구군복 · 철릭 | |||||||
모자 | 갈모 · 감투 · 갓(흑립 · 주립 · 백립 · 초립 · 전립) · 금관 · 망건 · 면류관 · 문라건 · 복건 · 사모 · 삿갓 · 원유관 · 이엄 · 익선관 · 정자관 · 조우관 · 탕건 · 패랭이 · 휘항 | |||||||
전통장식 | 동곳 · 흉배 | |||||||
여성용 | ||||||||
평복 | 하의 | 치마 | ||||||
겉옷 | 쓰개치마 · 머리처네 | |||||||
속옷 | 가슴가리개 | |||||||
예복 | 상의 | 당의 · 견마기 | ||||||
하의 | 스란치마 · 대란치마 | |||||||
겉옷 | 노의 · 원삼 · 활옷 | |||||||
모자 | 틀:전통여성모자 | |||||||
전통장식 | 가체 · 노리개 · 떨잠 · 비녀 | }}}}}}}}}}}} |
출처에 따르면 잘 보존된 실제 물건이라고 한다.[1]
사진은 가장 일반적인 형태. 현대 복식의 용도와 비슷한 것을 따지면 대체로 보급형 흰색 뷔스티에에 가까운 개념이다. 가슴가리개를 감는 부분은 거들이나 코르셋과 흡사한데, 가슴뿐만 아니라 배-허리도 전체적으로 감싸기 때문. 그리고 "말기"항목에도 나와 있지만, "치맛말기"라고 사이시옷을 쓸데없이 아무데나 넣지 않는다. 그냥 표기법이 치마말기다.
보통 가슴가리개를 "가슴에 둘둘 둘러매는 붕대" 정도로 단순히 생각하지만, 사진자료로 확인했을 때 그저 "가슴을 가리는 넓직한 천"으로 더 자주 쓰였던 것으로 보인다.
1. 설명
여성용 한복 속옷 중 하나. 다른 명칭으로는 가슴두르개, 가슴조이개, 허리띠, 가슴싸개, 대자(帶子:말 그대로 허리띠 대(帶)자를 써서 허리띠라는 뜻이다), 가슴을 미친듯이 졸라 매는 용도로 썼다고 해서 졸잇말이라고도 한다. 이름과는 달리 가슴부터 허리까지 상반신을 고루 가리고 조여준다.
위 풍속화에서는 아무래도 그림으로 표현하다보니 애매하게 뭉뚱그러있지만 예전 한복 치마는 치마에 달린 말기 부분도 가슴가리개와 거의 같은 재질[2]을 사용했다. 때문에 가슴가리개 위에 치마나 속옷의 말기를 덧둘러 매면, 복식을 모르는 사람들은 잘 구분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풍속화에서는 그냥 흰색 그대로 치마말기와 가슴가리개를 냅뒀기 때문에 그림만 가지고 엄격히 구분하기는 힘들다.
고려시대까지는 존재하지 않던 속옷(이라지만 가슴을 보정하기 위한 천은 그 전부터 있었을 것이라고 여겨지고 있다)이나, 조선 시대가 되어 저고리가 점차 짧아지면서 만들어졌다. 원래 속옷을 비롯한 하의류는 허리에 입는 것이라 저고리가 짧아지면 허리와 가슴 부분이 노출되기 때문. 가슴가리개라는 명칭과는 달리 가슴부터 허리까지 몸통 전반을 꽁꽁 조이고 감싸준다. 옛날에는 가슴이 큰 것을 영 좋지 않게 보았기 때문에 가슴을 보다 작게 보이기 위해 꽁꽁 동여매기도 했다. 한복은 가슴이 작은 사람이 입어야 맵시가 사는 옷이다.가슴이 크면 상체 전반이 떡대가 있어 보이는 데다 저고리가 들떠서 보기 흉해지기 때문이다.
착장할 때는 이것을 먼저 입은 위에 하의 속옷과 치마를 입고(치마나 하의 속옷들에 달려 있는 말기와 말기끈을 이 가슴가리개 위에 동여맨다.) 속적삼, 속저고리 등을 입으며, 들뜨는 아랫부분은 겹겹이 껴입는 하의 속옷들에 의해 눌리고 가려진다. 저고리가 어지간히 짧지 않은 이상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가슴 위는 저고리로, 허리부터는 치마나 바지로 가려진다.
2. 속옷과 장식옷의 중간적 특징
착용감은 뷔스티에 내지 코르셋+브래지어의 중간적인 느낌이라고 한다. 위의 첨부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배와 가슴을 둘둘 말아서 생각보다 많이 압박한다. 여러모로, 속옷과 의복에 걸친 특성을 지닌 의상이다. 참고로 치마와도 허리 부분이 겹치는데, 입을 때는 가슴가리개를 먼저 두른 뒤 다른 상하의 속옷을 입는다. 그렇기 때문에 윗부분이 속적삼과 속저고리에 가려지고, 아랫부분은 바지 말기, 치마 말기에 의해 가려지고 눌린다.다른 한복이랑 비교해서 가장 큰 특징은 저고리가 짧아지면서 속옷인 동시에 바깥으로 보여주기 위한 장신구의 기능도 했다는 점이다. 즉, 당대 기생들의 패션 브래지어이기도 했던 물건이다(...).[3] 흔히 화려한 장식을 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화려한 장식을 지닌 가슴가리개는 현대에 들어 나온 디자인이고, 실제 출토 발견되거나 남아 있는 유물 중에서는 그런 디자인이 없다. 애초 가슴가리개를 장식으로 썼다고 해도 흰빛으로 산뜻하게 드러나는 색감을 즐기거나 장식한다고 해도 누비를 해서 보온과 멋을 살리는 정도로만 그쳤다. 당장 맨 위 나와 있는 유물은 솜을 두고 잔누비질을 해서 만든 물건이다.
3. 말기와의 혼동
"치맛말기"나 "바짓말기"라는 표기는 사이시옷 표준어 규정에도 어긋나며, 정통 복식용어상 "치맛말기" "바짓말기"라고 표기하는 것도 없다. 작성시 주의를 요한다.한복에서 치마나 바지의 허리 부분인 말기와 굉장한 혼동이 일어난다. 말기는 바지나 치마의 맨 위에 둘러서 댄 부분을 칭하는 말이다.바지허리나 치마허리의 명칭이 바로 말기이다. 그러므로 말기 자체로는 별개의 의복이 아니다. 즉, 치마말기는 치마허리로, 한복 치마의 맨 위 허리에 둘러서 댄 부분을 칭하는 명칭이다. 서양의복으로 치면 스커트나 바지 부분에 붙어서 허리에 고정시킬 수 있는 벨트 부분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저고리를 구성하는 부분의 명칭이 동정[4] , 고름, 길, 섶 등이 있듯 말기 역시 한복의 치마나 바지를 구성하는 일부분을 지칭하는 말이다.
그리고 말기끈은 별개의 특별한 끈이 아니다. 고름도 아니고 그냥 끈이다. 말기끈을 고름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는데, "고름"은 오직 상의류(저고리/도포/두루마기/원삼/당의 등 상의류)를 여미기 위한 목적으로 달려 있는 여밈끈을 말한다. 하의류나 따로 두르는 대(帶: 띠)의 경우 절대 고름이라는 말을 쓰지 않는다. 치마면 치맛고름, 바지면 바짓고름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는데 용어는 틀린 말도 아니고 아예 없는 용어이다. 치마 말기 끈은 그냥 "치마끈"이나 "말기끈"으로 부르면 되고, 바지(말기에 끈을 달아 입는 바지의 경우) 역시 (바지의)말기끈으로 부른다.
특히 남자 사폭바지는 말기 자체에 끈이 붙어 있지 않으며 바지 본체와 분리되어 따로 만들어져 있는 허리띠를 가지고 여미는 물건이니 더더욱 고름으로 부를 수 없다. "고름"이라고 혼선을 일으키게 된 이유는, 한복에서 매듭을 맬 때는 대부분 외매듭, 즉 고름 매는 방식과 똑같이 매기 때문이다 저고리나 상의의 고름도 외매듭, 바지 허리띠도 외매듭, 치마 말기끈도 외매듭으로 매니 죄다 "고름"같아 보이는 것 뿐이다. 또 예전에는 말기끈들이 상의에 달린 옷고름보다 넓거나 옷고름과 같은 너비와 길이였기 때문에 모르는 사람들은 죄다 "고름"의 한 종류인가보다고 했던 것이 지금의 혼선을 불러온 것.
그런데, 복잡하게도 일반인들이 보기에 굉장히 헷갈리는 일이 일어나게 되는데, 앞서 말했듯이 조선시대에 저고리가 짧아지면서 가슴가리개라는 새로운 한복 부품이 등장했지만, 아무리 드러난다 한들 일단 속옷인지라 대놓고 겉에 입을 수 없어서, 혹은 조끼허리식 말기가 달린 풀치마라 말기 부분이 잘 노출되지 않거나 말기 부분에는 말기끈을 둘러서 매기 때문에 화려하게 꾸미기 힘들고, 가슴가리개 자체가 다소 불편하기 때문에 현대에 들어 제작되는 퓨전한복 중 가슴가리개를 한 듯한 실루엣을 연출하기 위해 치마 말기의 너비를 늘려서 말기가 가슴가리개 역할을 겸하는 말기치마가 만들어진다.(참조[5]) 거기에 현대에 한복 동호인이 늘어나면서 치마 위에 두르는 말기대가 생기게 된다.(참조)[6] 그러다보니 혼란이 생기는 것.
가슴가리개는 일단 속옷이기 때문에 위로는 저고리, 아래로는 치마의 밑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착장한 모습을 보면 치마 말기 부분과 구분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그러나 조선 시대 유물이나 풍속화를 보면, 치마말기나 가슴가리개나 비슷한 원단을 사용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복식을 잘 모르는 일반인들은 둘을 잘 구분하지 못한다. 조선 후기의 극단적으로 짧은 저고리가 아닌 이상 대놓고 겉으로 드러나질 않는다고 했지만, 구한말의 착장법은 말기나 가슴가리개가 드러나는 방식을 부끄러워 하지 않았다.
흔히 가슴가리개를 화려하게 수 놓아 만들어서 입는다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것도 잘못된 상식인 것이, 발견되는 실제 유물에는 가슴가리개에 수를 놓거나 장식을 한 물건이 없다. 엄밀히 말해 수 장식이 놓인 가슴가리개나 치마말기는 "이영희"[7] 디자이너가 스승 석주선 복식학자가 세운 박물관에서 전시되어 있던 기녀 복식을 보고 허전함을 느껴 고안한 것이다(이영희 디자이너의 자서전 발췌). 이영희 이후에 많은 디자이너들이 그녀의 아이디어를 따라가 하나의 한복 스타일이 되어버린 것이다. 즉 절대 조선시대부터 있었던 전통이 아니며 현대의 한복 디자이너가 고안하여 현대에 와서 유행한 디자인이다. 그러니까 일종의 만들어진 전통이라고 할 수 있다.
가슴가리개는 말기에 흡수된 적 자체가 없다. 구한말에 조끼허리식[8] 풀치마가 보급되기 전까지 굉장히 중요하게 착용되었다.[9] 치마를 묶는 위치가 허리에서 그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필사적으로 동여매야 했기 때문.
몇 번이고 강조하지만 가슴가리개와 말기는 전혀 다른 것이다. 현대 복식에 빗대자면 가슴가리개는 브래지어나 뷔스티에, 말기는 치마나 바지에서 벨트를 차거나 단추를 여미는 허리 부분이다. 둘의 기능 자체가 다르다.
4. 기타
현대인들은 익히 알려진 '가슴가리개'라는 명칭만 보고, 가슴가리개를 가슴을 가리는 붕대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것이 1980년대 한국 무협만화. 여성 검객이나 처자들이 가슴에 붕대를 두른 모습이 자주 등장한다. 실제로 가난한 노비나 애를 키우는 집에선 그냥 대충 잘라서 만든 천만 감거나 아예 생략하기도 했다.기모노의 오비(おび, 帯)와 비슷하다는 인식도 더러 있다. 가슴가리개와 오비 모두 여성 전통의상의 허리에 있는 넓은 천이며 위에 한번 더 두르는 방식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열혈강호의 담화린은 초기에 가슴가리개를 지니고 다녔고, 한비광이 이를 획득한다.
[1] 해당 링크의 e뮤지엄에서는 말기라고 칭하고 있지만, 가슴가리개가 정확한 명칭이다.[2] 염색하지 않은 면이나 마 재질을 사용했다. 보통 비단 치마에는 면(무명)으로, 모시나 삼베 같은 마섬유 치마에는 마 천으로 말기를 해서 달았다. 가슴가리개는 더구나 맨살에 닿는 속옷이기 때문에 면이나 마 등 흡수성이 좋고 세탁하기 좋은, 위생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했다.[3] 현대에도 이렇게 속옷인듯 속옷아닌 패션들이 종종 유행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뷔스티에 패션.[4] 화장이라는 것은 "치수"개념이다. 복식의 구성 요소와 치수 개념은 다르다. 치수를 말하는 "가슴둘레"랑 옷의 부분을 말하는 "몸판" 혹은 "길"이라는 말이 개념이 아예 다른 것처럼![5] 해당 답변에서 가슴가리개를 치마 위에 착용했다는 오류를 범했는데, 실제로는 상의 속옷 중 맨 먼저 착장했다. 치마 위에 착용하는 것은 현대에 파생된 "말기대"라는 악세사리이다.[6] 실제로 보면 가슴가리개가 비교도 안되게 넓다. 또한 치마끈이나 바지끈이 달린 위치도 다르며, 한 자락은 좁고 짧기까지 하다. 하지만 거의 입지 않으므로 이 사실을 아는 이가 극히 적다.[7] 배우 전지현의 시할머니이자, 저고리 없이 치마만을 입는 '바람의 옷'이라는 스타일을 창시한 디자이너.[8] 이것도 말기의 한 종류이다. 모양이 다른 것 뿐이지 이 조끼허리식 말기도 "말기" 즉 옷에 붙은 벨트 기능을 하는 물건이다.....[9] 구한말에 가슴을 드러낸 한국 여인의 사진이 꽤 유명한데, 모유수유를 하던 시기의 산부의 사진이거나 일제에서 의도적으로 조작한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