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8:34:03

팔각모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군대 관련 정보
, 전투모
,
,
,
,

🎩 모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ee,#000>각모 · 갈모 · 감투 · · 개리슨 모 · 군모 · 굴레
나이트캡 · 남바위 · 너울 · 뉴스보이 캡
도깨비 감투 · 두건 · 듀렉
로가티프카
마녀 모자 · 맥주 모자 · 문라건 · 미니햇 · 밀짚모자
바이저 마스크 · 바이콘 · 버킷햇 · 베레모(군용) · 보닛 · 보터햇 · 볼러 · 부니햇 · 비니 · 비레타 · 빵모자 · 버즈비 · 복건 · 베어스킨 햇
사모 · 삿갓 · 샤워캡 · 샤코 · 샴푸캡 · 선 바이저 · 솜브레로 · 스냅백 · 상모
아얌 · 야구 모자 · 오스트리아식 야전모 · 와룡관 · 우샨카 · 움직이는 토끼모자 · 은박 모자
전모 · 전역모 · 전투모 · 정모 · 정자관 · 제모 · 조우관 · 족두리 · 전립
초립 · 초선관
칸무리 · 키파 · 케피 · 케피예 · 코이프 · 캠페인 햇 · 카우보이 모자
탕건 · 터번 · 트리코른 · 탑햇 · 트릴비 햇
팔각모 · 패랭이 · 패트롤캡 · 페도라 · 페즈 · 프리기아 캡 · 플랫 캡 · 포크 파이 햇
학사모 · 학생모 · 헤어밴드 · 화관 · 휘항 · 흑립 · 홈버그 햇
왕관교황 삼층관 · 금관 · 네메스 · 러시아 제국 황제관 · 롬바르디아 철관 · 면류관 · 성 에드워드 왕관 · 성 이슈트반 왕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영국 제국관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 월계관 · 익선관 · 원유관(통천관) · 티아라
헬멧M1 철모 · 6B47 헬멧 · 90식 철모 · PASGT 헬멧 · SSh-68 · 검투사 헬멧 · 공사장 헬멧 · 그레이트 헬름 · 면갑 · 방석모 · 방탄모 · 슈탈헬름 · 야구 헬멧 · 오토바이 헬멧 · 자전거/헬멧 · 조종사 헬멧 · 철모 · 투구 · 풋볼 헬멧 · 프로텍 헬멧 · 피스 헬멧 · 피켈하우베 · 핫부리 · 헤드기어 · 아밍 캡 · 쿠스토디안 헬멧 · 간주형 투구 · 첨주형 투구 · 원주형 투구}}}}}}}}}

1. 개요2. 역사3. 대한민국 국군의 팔각모
3.1. 대한민국 해병대의 팔각모 의미
4. 팔각모를 채택한 외국 군사 조직5. 군대 이외의 팔각모6. 관련 이야기

1. 개요

파일:해병대팔각모.jpg

八角帽, Eight-pointed Cover[1]

말 그대로, 8개의 꼭지점을 가진 형태의 모자.

팔각 모양을 만들기 위해 일반 전투모나 근무모 등에 비해 제작 과정에서 손이 많이 가므로, 비교적 단가가 비싼 편이다.

2. 역사

갑주 등 순수하게 전투 목적으로 제작된 부분에서 남은 흔적들을 제외하면, 군의 피복류는 대개 민간의 피복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으므로 팔각모도 그렇다.

파일:뉴스보이 캡.jpg
팔각모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뉴스보이 캡(Newsboy cap).

팔각모와 유사한 형태의 모자는 19세기 후반기에 등장한, 주로 신문배달 소년들이 많이 썼다 하여 "뉴스보이 캡"이라 불린 것으로, 일반 노동자 계층이 애용하던 남성용 모자이다. 이 모자가 민간에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냥모와 베레모 등과 결합해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민간용 팬시가 되었다. 그리고, 군에서 이 모자가 등장한 곳은 1940년대의 미군이 최초였다.

파일:external/olive-drab.com/cap_field_hbt_shells_375.jpg
미 육군의 M1941 작업모(Field Cap)

미 육군은 민간에서 쓰이던 작업모와 유사한 팔각 작업모를 1941년에 도입했다. 그러나, 면 재질이 너무 얇아서 금세 구겨지는 등 모양이 볼품없었기 때문에 미 육군은 더 두꺼운 천으로 개선된 팔각모를 1943년에 도입했다. 미 해군도 이 모자를 채택하여 미 해군 육상부대와 미 해병대에 지급했다. 미 해병대는 이 모자의 정면 중앙에 해병대의 문양을 찍어서 사용했는데, 이 육군용 팔각모는 뾰족한 부분이 정면을 향하고 있어서, 해병대의 문양을 찍기가 불편했다. 그래서 미 해군은 1944년 팔각모의 평평한 부분이 정면을 향하도록 디자인을 개선하여 M1944 전투모로 제식화 했고, 1945년부터 일선 부대에 이 전투모를 지급했다.

파일:external/cdn09.usni.org/US%20Navy%20Seabee-.jpg
작업모를 착용한 미 해군 공병대대원.

파일:external/www.atthefront.com/USHCP44-2.jpg
미 해병대용 M1944 작업모.

1951년 윗부분이 원통형인 M1951 작업모로 갈아탄 육군 및 공군과 달리 미 해군과 해병대는 M1944 작업모를 계속 사용했다.

즉, 팔각모는 본래 미 육군에서 시작하여 나중에는 전군 공통 통합모로 사용하던 모자이고, 미 공군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창설됐다. 1951년 미 육군에선 팔각모를 폐지했지만 미 해군과 해병대, 해안경비대는 지금까지 계속 팔각모를 써오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미국의 영향은 받는 나라의 해군, 해병대, 해안경비대는 모두 팔각모를 쓰고 있는데, 미국 문화권에서는 대한민국 해군만 유일하게 팔각모를 쓰지 않아서 여러 나라가 모이는 연합훈련 때면 상당히 어색한 장면을 연출하게 된다.

파일:external/i209.photobucket.com/030109_navy_cammies2_800.jpg
현재의 미 해군 팔각모. 사진의 파란색 위장 무늬는 함정에서 페인트와 기름때에 의한 오염으로 눈에 띄는걸 최소화 하기 위해 만들어진 신형 NWU이고, 육상전투용과 사막전투용 해군 팔각모도 존재한다.

3. 대한민국 국군의 팔각모

대한민국에서 팔각모를 쓰는 것으로 유명한 곳은 해병대이며, UDT/SEALSSU, UDU 등의 해군계 특수부대원들도 착용한다. 이들의 팔각모는 미군과의 지속적인 접촉과 교류를 통해 채택되었다.[2] 그 외엔 육군 일부 조교들이 피교육생들과의 외관적 차별화로 인한 권위와 폼을 잡으려고 위해 착용하는 경우가 있다.

파일:external/4.bp.blogspot.com/BSH_8188+copy.jpg
대한민국 해병대의 팔각모를 쓰고 있는 김태평 해병.

파일:external/728c4d1cd61e81ccd0eb9eb661c8b61b1738c23a1e1a0dee7397d518c5c0f267.jpg
해군 특수전전단 대령의 팔각모.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3010700088_0.jpg
해군 해난구조전대 부사관의 팔각모.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htm_201309288305530103011.jpg
UDU 요원들의 팔각모.

파일:external/mpmedia89.cyworld.nate.com/B_20070616130553504800890016.jpg
육군의 유격 조교들이 쓰는 팔각모. 저 붉은 팔각모는 육군, 공군 일부 부대에서 조교용으로 자체적으로 쓴다.

그리고 해병대엔 위장무늬를 입힌 팔각전투모 외에 간부들에게 지급되는 민무늬의 팔각근무모도 있었다. 정식 명칭은 '해병대 근무모'였는데, 2015년에 해군과 똑같이 근무모를 개리슨 모로 바꾸는 방침에 따라 폐지되었다. 여담으로 이 근무모가 폐지되던 시기에 전투모를 포함한 팔각모 전체가 사라질 것이라는 잘못된 보도가 많이 나왔다. 실상은 전투모로써의 팔각모는 그대로 냅두고 근무모로써의 팔각모만 사라졌는데 정정보도는 없었다.

파일:external/www.rims.kr/2012050321861_2012050399241.jpg

이호연 해병대사령관이 쓰고 있는 구형 근무모.[3]

대한민국 국군의 팔각모는 미군의 쓰고 있는 팔각모와는 형태가 조금 다르다. 미군의 팔각모는 대한민국 국군 팔각모에 비해 챙이 비교적 짧고 챙의 모양도 둥글스레하다. 대한민국 국군의 팔각모는 챙이 길고 챙의 모양이 야구모자의 챙과 비슷하다.

3.1. 대한민국 해병대의 팔각모 의미

대한민국 해병대는 팔각모에 담긴 뜻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대한민국 해병대 공식 홈페이지 핵심가치/상징란의 팔각모 항목에서 발췌했다.
일반적으로 모자(帽子)는 예의를 지키기 위하여 또는 추위나 더위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거나 장식적 또는 사회적 지위의 상징으로서 머리에 쓰는 것을 총칭하여 일컫는다.

이러한 모자는 과거에 주로 개인의 사회적 신분에 따라 여러 형태로 구분짓기도 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사회적 신분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용도와 편리성‚ 선호도 등에 따라 그 형태도 다양하게 변모하였다.

군대에서도 용도에 따라 여러 형태로 구분하고 있다. 특히 평상시 장‚ 사병이 공통적으로 쓰는 전투모는 색깔 및 형태에 따라 해당 군의 정체성을 상징하고 있으며‚ 그중에서 해병대를 상징하는 ‘팔각모’는 다음과 같은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팔각모는 신라시대 전 신라인의정신이기도 하였던 화랑도 정신인 오계(五戒)와 세 가지 금기(禁忌)를 포함하며 팔계(八戒)의 뜻을 가지고 있다.
  • 팔각모는 팔각(八角)의 의미와 "팔극(八極)"의 의미를 함축
  • 팔극(八極)의 의미: 지구상 어디든지 가서 싸우면 승리하는 해병대임을 상징
  • 팔각(八角)의 의미: 화랑도 정신인 오계(五戒)와 세가지 금기(禁忌)를 표현
    • 국가에 충성하라(事君以忠)
    • 뜻 없이 죽이지 말라(殺生有擇)
    • 부모에 효도하라(事親以孝)
    • 욕심을 버려라(禁慾)
    • 벗에게 믿음으로 대하라(交友以信)
    • 유흥을 삼가라(愼遊興)
    • 전투에 후퇴하지 말라(臨戰無退)
    • 허식을 삼가라(愼虛飾)
  • 팔각의 중심점은 지휘관을 중심으로 하여 여덟 가지 해병대의 길을 가리키고 있다.
    • 평화의 독립수호
    • 적에게 용감
    • 엄정한 군기
    • 긍지와 전통
    • 희생정신으로 국가에 헌신
    • 불굴의 투지
    • 가족적인 단결도모
    • 필승의 신념으로 승리 쟁취

물론 팔각모는 미군에서 도입한 것이기 때문에 후에 의미부여를 한 것에 불과하다.

4. 팔각모를 채택한 외국 군사 조직

5. 군대 이외의 팔각모

파일:external/www.corrections.go.kr/jangbi1-(23).jpg
파일:external/www.corrections.go.kr/jangbi1-(41).jpg

교정직 공무원들 중 CRPT 대원들은 팔각모 형태의 기동모를 쓰며, 그 외 직원들은 근무모가 기동모를 겸한다.

파일:external/static3.businessinsider.com/of-course-the-nypd-was-there-to-keep-everybody-safe.jpg
파일:external/www.copblock.org/nypd1.jpg

NYPD 등 일부 경찰 조직의 정모도 팔각모 형태로 된 것이 있다. 물론 미국이라는 나라가 경찰 조직이 한 두개가 아니다 보니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LAPD는 반대로 팔각모가 1970년 이후로 구형이 되어서 둥근 형태의 정모가 자리잡았다.[4]

학교에 따라선 박사졸업시 쓰는 박사모로 너풀너풀한 팔각형 모자를 쓰기도 한다.

6. 관련 이야기

통합위장무늬가 도입되기 이전의 해병대 위장무늬 팔각모들은 모두 사제품이었다. 1990년대 3군 통합전투복 지급 이전의 해병대 위장복[5]은 개인 보급 피복이 아니라 모두 부대 예비피복으로서 창고에 보관되어 있다가 큰 훈련시에나 행사때에만 필요한 부대가 꺼내서 돌려 입었었고, 해병대원 개인에게 지급되는 보급 군복은 '작업복'이라고 불리던 민무늬 전투복이었다. 따라서 팔각모도 보급 팔각모는 민무늬 전투복에 맞는 민무늬 팔각모만 지급되었던 것. 그런데 해병대원들은 벽돌무늬 위장복을 간지 난다며 좋아했기 때문에 휴가시에나 이빨사진 찍을 땐 '사제' 벽돌무늬 위장복을 구해서 입었고 팔각모도 그에 맞게 사제 벽돌무늬 팔각모를 쓰고 사진을 찍었던 것이다.

각잡힌 팔각모는 소위 '짬'의 상징인데, 짬이 차서 팔각모가 각진게 아니라 팔각모에 풀칠을 해서 각져있는 것. 보통 일병 6호봉 즈음부터 풀칠이 가능하다.

대한민국 국군의 제식 군모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간부
정모 파일:육군정모.png 파일:해군정모.png 파일:해군빵모.jpg 파일:공군정모.png 파일:해병대정모.png
육군 정모 해군 정모 a 공군 정모 해병대 정모
근무모 파일:육군베레모.jpg 파일:navycap2.jpg 파일:navycap3.jpg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32838.jpg 파일:해병대개리슨모.png
베레모 근무모A형 근무모B형 b 개리슨모 개리슨모
전투모 파일:통합전투모.jpg 파일:해병대팔각모.jpg
국군 통합 전투모 c 팔각모
a 사진의 정모는 장교용으로, 부사관용은 장교 정모와 전체적인 형상은 동일하나 다른 모표를 쓴다. 장교용이 교차된 앵카를 배경으로 한 거북선 위로 무궁화가 있는 모표를 쓰며, 부사관용은 앵카 하나를 배경으로 하는 은색 무궁화가 그려진 모표를 쓴다. 근무모에 부착하는 모표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 게다가 부사관용 정모는 육해공군 공통으로 금색 월계수 잎이 없다.
b 표 구획이 나눠져있어 근무모 B형은 마치 병만 쓰는 모자로 오인할 수 있으나, 참모총장부터 이등병까지 같은 형상의 모자를 쓴다. 또 정식명칭은 "근무모 B형"이지만 실무장병들 사이에선 "흑색모" 혹은 "체육모"로 불리며 함정근무 등의 경우를 제외하면[1] 간부의 경우 근무복 착용 시 개리슨모를 착용하고, 병의 경우엔 빵모를 착용한다.
c 2020년 7월까지 육군은 야구모자 형상의 전투모를 쓰지 않고 활동모와 부니햇(일명 정글모)을 사용하였으나, 7월 6일부로 해공군과 같이 국군 통합 전투모를 재도입하고 베레모는 근무모 용도로 변경하였다.

[1] 그나마도 육상에 나갈 때는 100%, 현문당직 등 함 외부에 노출되는 당직의 경우 혹서기 시 함장재량으로 흑색모나 함모를 착용하게 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얄짤없이 개리슨모 또는 빵모 착용이다.


[1] Utility cover라고 부르지만 이 명칭은 시기에 따라 다르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합중국 해병대에서는 팔각모를 'Utility cap'이라고 불렀고, 미 해병들끼리는 'Raider cap'이라고 불렀다.[2] 2017년 3월 해군에서는 SSU, UDT/SEAL, UDU 외의 일반 해군 부대에서도 팔각모를 전투모로 도입하겠다고 계획안을 발표했으나, 예산낭비라는 비난과 해병대의 반발에 밀려 취소했다. 그래서 현재 해군 함상복에 맞춰 착용하는 함상모는 미 해군과 달리 일반적인 야구모 형태다.기사[3] 옆에 있는 중년 남성은 SK그룹최신원 씨다. 해병대 병으로 군복무를 했고, 해병대에 꾸준히 기부활동을 하고 있다.[4] L.A. Noire에도 나온 걸 보면 대충 그 시절부터 사용한 듯 하다.[5] 일명 큰무늬/벽돌무늬/파도무늬 전투복이라고 불리던 것.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