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20:45:04

태국 해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d2a4a> 파일:태국 국방부 휘장.svg 타이 왕립군
กองทัพไทย
}}}
파일:태국 육군기.svg
파일:태국 해군기.svg
파일:태국 공군기.svg
왕립 육군 왕립 해군
[[태국 해병대|
왕립 해병대
]]
왕립 공군

세계의 해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navy>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 파일:조선인민군해군기New.png 북한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 파일:대만 해군 깃발.png 대만 |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준군사조직)
동남아시아 파일:인도네시아 해군기.png 인도네시아 | 파일:태국 해군기.svg 태국 | 파일:베트남 인민해군기.svg 베트남 | 파일:1280px-Naval_Ensign_of_Malaysia.png 말레이시아 | 파일:필리핀 해군기.svg 필리핀 | 파일:싱가포르 해군기.svg 싱가포르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기(신형).svg 인도 |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 파일:방글라데시 해군기.svg 방글라데시 |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해군기.svg 이스라엘 | 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해군기.svg 이란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중앙아시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해군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유럽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 파일:영국 해군기.svg 영국 | 파일:이탈리아 해군기.svg 이탈리아 |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 파일:그리스해군기.png 그리스 | 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 파일:네덜란드 선수기.svg 네덜란드 |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 파일:핀란드군기.svg 핀란드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 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 파일:폴란드 해군기.svg 폴란드 | 파일:루마니아 해군기.svg 루마니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 파일:리투아니아 함미기.svg 리투아니아 |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 파일:벨기에 해상구성군기.svg 벨기에 | 슬로베니아 | 파일:몬테네그로 해군기.png 몬테네그로
아메리카 파일:미국 해군기.png 미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Jack_of_Argentina.svg.png 아르헨티나 | 파일:페루 국기.svg페루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Ensign_of_Bolivia.svg.png 볼리비아 |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해군기.svg 이집트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동아프리카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서아프리카 파일:나이지리아 해군기.svg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 파일:faa3.png 앙골라
오세아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 파일:뉴질랜드 해군기.svg 뉴질랜드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국가의 해군만 링크. 그 외 각국 해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태국 왕립 해군
กองทัพเรือ
Royal Thai Navy
<nopad> 파일:태국 해군 엠블럼.svg
태국 해군 문장
창설일 1906년 11월 20일
국가 파일:태국 국기.svg태국
소속 태국군
군종 해군
병력 약 69,000명
파일:태국 해군기.svg
해군기
파일:태국 해군 함수기.svg
함수기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함선기 겸 함미기

1. 개요2. 상세3. 장비4. 관련 문서

1. 개요


태국해군.

2. 상세

태국 해군은 동남아시아에서 상위급의 해군 전력을 보유하고 있다.

1997년, 스페인으로부터 경항공모함을 도입하여 동남아시아 최초로 항공모함급 함선을 운용하고 있다. 스페인으로부터 구매한 차크리 나루에벳[1]은 만재배수량 11,500톤의 경항공모함이다. 이정도 만재배수량은 대한민국 해군이지스 구축함정조대왕급 구축함보다 약간 작은 정도로 항공모함 치고는 작은 편이다.[2]아무튼 차크리 나루에벳은 2006년, 기존에 운용하던 함재기였던 AV-8 해리어가 노후화되어 전부 퇴역하면서 이후 헬리콥터 모함으로의 개량이 진행되었고, 현재는 헬리콥터 모함으로 운용 중이다.

태국 해군은 2013년, 대한민국 해군대구급 호위함을 기반으로 하는 푸미폰 아둔야뎃급 방공호위함[3]을 5,200억원의 예산을 들여서 도입하기도 했다.

태국은 과거부터 중국에서 호위함을 도입했고, 현재도 071형 상륙함과 같은 여러 군함들을 지속적으로 구매하고 있다.

태국해군은 여태까지 잠수함이 없었으나, 2017년까지 중국제 잠수함 3척을 약 1조 1,790억원의 예산을 들여 구매하기로 결정했다. 태국군은 최근 몇 년간 해군력 증강을 위해 줄곧 잠수함 구매를 모색해왔으며, 한국, 독일, 러시아, 스웨덴, 프랑스 등이 태국 잠수함 시장 진출을 타진했다. #

3. 장비

파일:태국 해군 함수기.svg 현대 태국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타이 왕립 해군 (1945~현재)
กองทัพเรือ | Royal Thai Navy
'''[[잠수함|
잠수함
]]'''
'''
SSK
'''
{마차누급(2대)} | 마차누급(초대/1937)
강상 경비정 (PBR) R.51급 | R.41급 | R.31급 | R.21급 | R.3130급 | R.121급 | Mk.II급
구잠정 (PC) PC-461급
어뢰정 (PT) 촌보리급 | 클롱야이급
'''[[초계정|
초계정
]]'''
PB T.997급 | T.994급 | T.991급 | M58급 | M36급 | M21급 | 후아 힌급 | 촌부리급 | 사타힙급 | BMB-230급 | FPB-45급 | 사라싱급
원양초계함(OPV) 크라비급 | 파타니급
<colbgcolor=#2D2A4A> '''[[초계함|
초계함
]]'''
<colbgcolor=#2D2A4A> '''
슬루프
'''
메클롱급 | 차오 프라야급(초대/1922)
'''
PCE
'''
캄론신급 | 따삐급 | 방빠꽁급
'''
PCG
'''
라따나꼬신급(2대/1986)
해방함 톤부리급 | 라따나꼬신급(초대/1929)
'''[[호위함|
호위함
]]'''
PF 타친급(2대/1951)
FF 차오 프라야급(2대/1995) | 풋타엿파쭐라록급
'''
FFG
'''
푸미폰 아둔야뎃급 | 나레수안급
'''[[구축함|
구축함
]]'''
DD 프라 루앙급
경항공모함 차크리 나루에벳
'''[[소해함|
소해함
]]'''
'''
MCS
'''
탈랑급
'''
MSC
'''
MSC-294급 | YMS-1급
'''
MHC
'''
랏 야급 | 방 라짠급(2대/1987) | 포쌈톤급 | 방 라짠급(초대/19938)
'''[[상륙함|
상륙함
]]'''
'''[[상륙수송선거함|
LPD
]]'''
창급(2대/2023) | 앙통급(3대/2012)
'''[[전차상륙함|
LST
]]'''
시창급(2대/1987) | 앙통급(2대/1947)
'''[[중형상륙함|
LSM
]]'''
LSM-1급
'''[[상륙정|
상륙정
]]'''
'''
LCU
'''
마녹급 | 통까에오급
'''
LCT
'''
LCT Mk.6
'''
LSSL
'''
LCS(L)(3)-1급
'''
LCI
'''
LCI-351급
'''
지원함
'''
'''
수송함 (AP)
'''
끌렛까에오급 | 출라급(초대/1941) | 시창급(초대/1938) | 앙통급(초대/1918) | 창급(초대/1902)
'''
급유함 (AOR)
'''
시밀란급
'''
해저 조사선 (AGOR)
'''
파루하사보디급 | 짠급 | 쏙급
지원정
YO (급유 바지)
마뜨라급 | 쁘릇급 | 출라급(2대/1980) | YOG-5급 | 쁘롱급 |
YTM/YTL (예인정)
빤이급 | 린급 | 사메산급 | 끌룽 바단급
훈련함 마꿋 라차쿠만 | 삔 끌라오급
황색 글자: 퇴역 함정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태국 왕립 해군의 항공모함
<rowcolor=#fff>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차크리 나루에벳 헬리콥터 모함 스페인 1척 - -
태국 왕립 해군의 상륙함
<rowcolor=#fff>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창급 LPD 중국 1척 - -
앙통급 LPD 싱가포르 1척 - -
태국 왕립 해군의 호위함
<rowcolor=#fff>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푸미폰 아둔야뎃급 호위함 대한민국 1척 - 1척
나레수안급 호위함 중국 2척 - -
차오 프라야급 호위함 중국 4척 - -
태국 왕립 해군의 초계함
<rowcolor=#fff>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파타니급 원양초계함 중국 2척 - -
크라비급 원양초계함 영국 / 태국 2척 - -
라따나꼬신급 초계함 미국 1척 - -
캄론신급 초계함 태국 3척 - -
따삐급 초계함 미국 1척 - -
촌부리급 초계정 이탈리아 3척 - -
램싱급 초계정 태국 1척 - -
후아힌급 초계정 태국 3척 - -
사따힙급 초계정 태국 6척 - -
토르 991급 초계정 태국 3척 - -
토르 994급 초계정 태국 3척 - -
토르 997급 초계정 태국 2척 - -
태국 왕립 해군의 잠수함
<rowcolor=#fff>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S26T급 SSK 중국 - - 1척 2척 추가 도입 옵션 존재

4. 관련 문서


[1] 현재 태국 해군에서 가장 큰 군함이다.[2] 자세한 수치로 비교해보자면 정조대왕급의 만재배수량은 12,000톤이다. 즉 정조대왕급은 구축함인 주제에 차크리 나루에벳보다 500톤 더 큰 셈이다.[3] 태국 해군에서는 구축함으로 분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