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FCC00> | ||
| | |
말레이시아 육군 TDM | 말레이시아 해군 TLDM | 말레이시아 공군 TUDM |
<colbgcolor=#012B7F><colcolor=#fff> 말레이시아 왕립해군 Tentera Laut Diraja Malaysia تنترا لاوت دراج مليسيا | ||
| | |
깃발 | 휘장 | |
창설 | 1934년 4월 27일 | |
국가 |
| |
소속 | 말레이시아군 | |
군종 | 해군 | |
산하조직 | PASKAL |
1. 개요
말레이시아의 해군.2. 상세
말레이시아 해군은 동남아시아에서 비교적 질이 높은 해군력을 보유하고 있다. 동남아시아 내에서 경제적으로 여유있는 편이라 준수한 군함들을 구매하려 한다. 그래서 해군의 규모가 아주 크지는 않지만 동남아시아에서는 내실이 있는 편이다.H&K XM8을 제식소총으로 운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 해군 특수부대 PASKAL이 있다. 이 부대는 UDT와 해병대를 겸하는 해군 경보병부대로 육상기지가 있는 항만 지역의 해안방어, 수중폭파, 상륙작전을 맡는다.
가상 적국으로는 필리핀군, 태국군, 싱가포르 해군, 중국인민해방군 해군이 있고 대만군과는 협력관계가 강하다. 중국을 전통적으로 싫어해 온 반중 성향의 나라인 만큼 중국과 대치 중인 대만과 친해질 수밖에 없다.
스프래틀리 군도 영유권 문제로 중국을 포함한 주변국들과 마찰이 있기 때문에, 빠르게 해군력을 확충하고 있다.
일본과의 관계가 좋아서 2007년부터 중고 순시선을 공여받았고, 2016년에도 2척을 더 받았다. #
주력 군함들의 함령이 높고, 함정의 다품종 소량 운용으로 인해 군수 지원체계가 복잡한데, 이를 15 to 5 계획으로 개혁하려 하고 있다. 15종이나 되는 함종을 최종적으로 5종[1]으로 줄이는 것. 그러나 마하라자 렐라급 호위함 건조 지연 및 크리스급 연안임무함 결함 발생으로 인해 스텝이 꼬였고, 말레이시아 경제사정이 안좋아지면서 현대화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군함 명칭에 KD가 붙는 걸 볼 수 있는데, 'Kapal Di-Raja(왕립 함선)'의 약자다.
3. 전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말레이시아 해군| 말레이시아 왕립 해군 (1945~현재) ]]'''Tentara Laut Diraja Malaysia | ||
<colbgcolor=#000066> '''[[잠수함| 잠수함 ]]''' | <colbgcolor=#000066> ''' SSK ''' | 툰쿠 압둘 라만급 | 웨상T | |
어뢰정 (PT) | 페르카사급 | ||
'''[[초계정| 초계정 ]]''' | PB | 두용 | 크다급(1961) | 팡리마 | 베독 | 판지 | 무티아라 | 심방 | |
'''[[고속정| 고속정 ]]''' | ''' PCF ''' | 제룽급 | 스리 티가급 | 크리스급(1964) | |
FIC | CB90급 | G2000 Mk.(1/2)급 | MPB급 | 펭가왈급 | ||
''' 미사일 고속정 (FACG) ''' | 페르다나급 | 한달란급 | ||
원양초계함 (OPV) | 크리스급(2020) | 크다급(2006) | 무샤타리급 | ||
'''[[초계함| 초계함 ]]''' | ''' PCG ''' | {LMS 배치2} | 카스투리급 | 락사마나급 | |
'''[[호위함| 호위함 ]]''' | FF | 항 투아(1963) | 항 투아(1977) | 리버급T | |
''' FFG ''' | {마하라자 렐라급} | 레키우급 | 라흐마트 | ||
'''[[상륙함| 상륙함 ]]''' | ''' LPD ''' | {MRSS 사업} | |
''' LST ''' | 스리 인데라푸라급 | LST-542급 | 마크8 LCT | 마크 3 LCT | 스리 프를리스 | ||
기뢰부설함 (MLS) | 싱가푸라 | ||
'''[[소해함| 소해함 ]]''' | ''' MHC ''' | 마하미루급(1985) | |
''' MSC ''' | 스리 조호르급 | 마하미루급(1960) | ||
''' 지원함 ''' | ''' 다목적 ''' | 스리 인데라 삭티급 | |
''' 급유함 ''' | 붕아 마스 리마급 | 툰 아지잔 | ||
'''[[구조함| 잠수함 구조함 ]]''' | 메가 박티 | ||
지원정 | 예인정 툰다 사투급 | 소통급 | 스리 크다급 | ||
연구함 | 페란타우 | 다양 사리 | 아이사흐 | 무티아라 | ||
훈련함 | 가가 사무데라급 | 투나스 사무데라 | 파자르 사무데라 | ||
※ 갈색 글자: 퇴역 함정 ※ 윗첨자T: 훈련함 전환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둘러보기 : | }}}}}}}}} |
||<-7><tablewidth=45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666><bgcolor=#FFF>
||
전투함 전력 | ||||||
호위함 | ||||||
<rowcolor=#FFCC00> 이름/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
마하라자 렐라급 스텔스 방공호위함 | 프랑스 말레이시아 | - | - | 5척 | ||
레키우급 방공호위함 | 영국 | 2척 | - | - | ||
초계함 | ||||||
<rowcolor=#FFCC00> 이름/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
LMS 배치 2 미사일 초계함 | 튀르키예 | - | - | 3척 | [2] | |
카스투리급 미사일 초계함 | 독일 | 2척 | - | - | ||
락사마나급 소형 미사일 초계함 | 이탈리아 | 4척 | - | - | ||
원양초계함 | ||||||
<rowcolor=#FFCC00> 이름/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
크리스급 소형 원양초계함 | 중국 | 4척 | - | - | ||
크다급 중형 원양초계함 | 독일 말레이시아 | 6척 | - | - | ||
미사일 고속정 | ||||||
<rowcolor=#FFCC00> 이름/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
한달란급 미사일 고속정 | 스웨덴 | 3척 | - | - | [3] | |
페르다나급 미사일 고속정 | 프랑스 | 4척 | - | - | ||
고속정 | ||||||
<rowcolor=#FFCC00> 이름/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
제룽급 255t급 고속정 | 독일 말레이시아 | 6척 | - | - | ||
스리 티가급 117t급 고속정 | 말레이시아 | 2척 | - | - | ||
잠수함 | ||||||
<rowcolor=#FFCC00> 이름/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
툰쿠 압둘 라만급 재래식 잠수함 | 프랑스 | 2척 | - | - | ||
지원함 전력 | ||||||
상륙함 | ||||||
<rowcolor=#FFCC00> 이름/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
MRSS 상륙수송선거함 | 미정 | - | - | - | [4] | |
스리 인데라 삭티급 다목적 지원함 | 독일 | 2척 | - | - | ||
군수지원함 | ||||||
<rowcolor=#FFCC00> 이름/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
붕아 마스 리마급 상선 개조 군수지원함 | 말레이시아 | 2척 | - | - | ||
툰 아지잔 상선 개조 군수지원함 | 말레이시아 | 1척 | - | - | ||
기뢰전함 | ||||||
<rowcolor=#FFCC00> 이름/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
마하미루급 연안 기뢰탐색함 | 이탈리아 | 4척 | - | - | ||
구난함 | ||||||
<rowcolor=#FFCC00> 이름/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
메가 박티 잠수함 구조함 | 싱가포르 | 1척 | - | - | ||
훈련함 | ||||||
<rowcolor=#FFCC00> 이름/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
가가 사무데라급 소형 훈련함 |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 2척 | - | - | ||
해군항공대 전력 | ||||||
헬리콥터 | ||||||
<rowcolor=#FFCC00> 이름/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
슈퍼 링스 300 대잠 헬리콥터 | 영국 | 6대 | - | - | ||
AS555 SN 페넥 무장 경헬리콥터 | 프랑스 | 4대 | - | - | [5] | |
AW139 HOM 다목적 헬리콥터 | 이탈리아 | 2대 | - | 2대 |
4. 관련 자료
(영어 위키백과)말레이시아 해군World Navies Today: Malaysia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padding: 5px 10px 4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010066 0%, #010066 78%, #cc0000 78%, #cc0000 81%, #fff 81%, #fff 84%, #cc0000 84%, #cc0000 87%, #fff 87%, #fff 90%, #cc0000 90%, #cc0000 93%, #fff 93%, #fff 96%, #cc0000 96%, #cc000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cc0000>상징 | 잘루르 그밀랑 · 국가 · 국호 |
역사 | 역사 전반 · 스리위자야 · 마자파힛 제국 · 믈라카 술탄국 · 영국령 말라야(말레이 연합주 · 말레이 비연합주 · 해협식민지 · 사라왁 왕국 · 북보르네오) · 일본령 말라야 · 말라야 연합 · 말라야 연방 · 말라야 비상사태 · 말레이시아 공산반란 | |
정치 | 정치 전반 · 양 디페르투안 아공 · 말레이시아/이념 · 정당들(희망동맹 · 국민전선 · 사라왁 정당연합 · 국민연합) · 푸트라자야 · 분리주의(동말레이시아) · 인종차별 정책(말레이시아 이민국 · 부미푸트라) · 14번째 주 | |
경제 | 경제 · 말레이시아 링깃 ·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 · 페트로나스 · 페로두아 · 프로톤 · KL118 | |
국방 | 말레이시아군 (말레이시아 육군 · 말레이시아 해군 · 말레이시아 공군 · PASKAL · GGK · 조호르군 · 암드 포스 FC) | |
외교 | 외교 전반 · ASEAN · IPEF · 영연방 · 말레이권 · 이슬람 협력기구 · 비자/말레이시아 | |
교통 | 교통 전반 · 말레이시아 항공 · 에어아시아 · 동남아시아의 철도 환경(말레이 철도 · 쿠알라룸푸르 도시철도) | |
문화 | 문화 전반 · 관광 · 말레이시아 요리 · 말레이시아 영화 · 말레이시아 스포츠(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 말레이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말레이시아 야구 국가대표팀) · | |
언어 | 마인어 (믈라카 말레이어 · 사라왁 말레이어 · 사바 말레이어 · 수도권 말레이어 · 클란탄 말레이어 · 크다 말레이어 · 트렝가누 말레이어) · 라틴 문자 | |
사회 | 사회 전반 · SPM · (말라야 대학교 · 푸트라 대학교 · 사바 대학교 · 헬프 대학교) | |
기타 | 말레이 반도 · 보르네오 섬 · 압둘 라작 · 말라야 ·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
세계의 해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navy> 동아시아 | |
동남아시아 | ||
남아시아 | ||
서아시아 | ||
중앙아시아 | ||
유럽 | ||
북아메리카 | ||
남아메리카 | ||
북아프리카 | ||
동아프리카 | ||
서아프리카 | ||
남아프리카 | ||
오세아니아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국가의 해군만 링크. 그 외 각국 해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