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군 Fuerzas Armadas del Perú | ||
| | |
페루 육군 | 페루 해군 | 페루 공군 |
<colbgcolor=#fff> 페루 해군 La Marina de Guerra del Perú (MGP) Peruvian Navy | ||
| | |
깃발 | 엠블럼 | |
창설일 | 1821년 10월 8일 | |
소속 | 페루군 | |
병력 | 25,988명 | |
본부 | 카야오 해군기지 | |
참전 | 그란콜롬비아-페루 전쟁 연방전쟁 태평양 전쟁 에콰도르-페루 전쟁 | |
사령관 | 알베르토 알칼라 루나 |
1. 개요
페루의 해군.2. 상세
페루 해군은 남아메리카에서 상당히 강한 전력을 보유하고 있다.[1]독일에서 209급 잠수함을 6척 수입해 사용 중이며 주력 전투함으로는 루포급 호위함을 운용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포항급 초계함 2척을 공여받기도 하였다. 여기에 2024년 차기 호위함, 원양초계함, 상륙함 사업에 HD현대중공업이 선정됨에 따라 # 대한민국제 군함이 향후 페루 해군 전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무려 2017년까지 알미란테 그라우급이라는 만재 12,165톤 규모의 구형 순양함을 운용했었다. 특이하하게 사관 생도용 훈련함으로 유니언함(BAP Union, 3,200톤급)이라는 범선을 운용하고있다.
3. 전력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d91023> 잠수함 | 페레급R, R급R, 아브타오급R, 안가모스급 | |||
고속정 | 가디언 리오스R, 두에나스R, 우니온R, 로레토급, 마라뇬급, 클라베로급 | ||||
초계함 | 벨라르데급, 페레급 | ||||
원양초계함 | 리오 파티빌카급 | ||||
호위함 | 테니엔테 갈베즈급R, 카르바할급 | ||||
호위구축함 | 아귀레급R | ||||
구축함 | 빌라급R, 팔라시오스급R, 가르시아 이 가르시아R, 콜로넬 볼로그네시급R | ||||
순양함 | 콜로넬 볼로그네시급R, 알미란테 그라우급R | ||||
상륙함 | <colbgcolor=#d91023> LPD | 피스코급 | |||
LST | 파이타급, 칼라오급 | ||||
군수지원함 | 바요바르R, 조리토스R, 탈라라R, 로비토스R, 칼로예라스급, 노구에라급, 타크나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페루 해군의 상륙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피스코급 | LPD | 대한민국 / 페루 | 1척 | - | 1척 | |
칼라오급 | LST | 미국 | 2척 | - | - | |
페루 해군의 호위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카르바할급 | 호위함 | 이탈리아 / 페루 | 7척 | - | - | |
페루 해군의 초계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벨라르데급 | 초계함 | 프랑스 | 6척 | - | - | |
페레급 | 초계함 | 대한민국 | 2척 | - | - | |
페루 해군의 잠수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앙가모스급 | SSK | 독일 | 6척 | - | - | 2척 개량 진행 중 |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d91023> 상징 | 국가 · 국기 · 국장 |
역사 | 역사 전반 · 쿠스코 왕국 · 잉카 제국 · 신잉카국 · 페루 부왕령 · 페루-볼리비아 연합 · 페루 내전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페루 대통령 | |
외교 | 외교 전반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TIAR · 페루 여권 | |
경제 | 경제 전반 · 페루 솔 | |
국방 | 페루군 · 육군 · 해군 · 공군 | |
문화 | 문화 전반 · 관광 · 요리 · 엘 콘도르 파사 · 케추아어 | |
스포츠 |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 · 페루 야구 국가대표팀 | |
인물 | 잉카 가르실레소 데라베가 · 투팍 아마루 2세 · 미겔 그라우 · 알베르토 후지모리 | |
지리 | 안데스산맥 · 나스카 · 쿠스코 · 리마 | |
민족 | 페루인 · 이탈리아계 페루인 | }}}}}}}}} |
세계의 해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navy> 동아시아 | |
동남아시아 | ||
남아시아 | ||
서아시아 | ||
중앙아시아 | ||
유럽 | ||
북아메리카 | ||
남아메리카 | ||
북아프리카 | ||
동아프리카 | ||
서아프리카 | ||
남아프리카 | ||
오세아니아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현존하는 국가의 해군만 링크 문서가 없는 각국 해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1] 사실 남미에서는 해군력을 포함하여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콜롬비아가 강한 국력과 군사력을 보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