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3 19:54:52

전차상륙함

군함의 함종별 분류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수상전투함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 전함(드레드노트급) ·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 · 순양전함 · 고속전함
순양함 · 경순양함 · 중순양함 · 방호순양함 · 장갑순양함 · 대형순양함 · 중뇌장순양함 · 타격순양함 · 방공순양함
구축함 · 호위함 · 호위구축함 · 선도구축함 · 유도탄구축함 · DDH
초계함 · 원양초계함 · 초계정
경비함 · 경비정
고속정 · 어뢰정 · 미사일 고속정
항공모함 및 상륙함
항공모함 · 호위항공모함 · 경항공모함 · 중형항공모함 · 헬리콥터 모함 · 수상기 모함 · 강습상륙함
강습상륙함(LHA · LHD · LPH) · 상륙수송선거함 · 상륙선거함 · 전차상륙함 · 중형상륙함
공기부양정 · LCU · LCM
잠수함
탄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 순항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 공격 원자력 잠수함
잠수함 · 잠수정 · 잠수순양함
지원함
군수지원함 · 공작함
기뢰전함
기뢰부설함 · 소해함
구축함모함 · 잠수함모함
기타 정보수집함 · 훈련함 · 방공함 · 항공전함 · 항공순양함 · 잠수 항공모함 · 상륙 잠수함 · 해방함 · 모니터함 · 협선 · 판옥선 · 거북선 · 해골선 · 안택선 · 세키부네 · 화공선 · 갤리선 · 드로몬 · 갤리온 · 전열함 · 건보트 · 철갑선 · 무장상선 · SDV }}}}}}}}}}}}}}}


파일:mVRrALB.jpg
대한민국 해군고준봉급 상륙함
파일:1171_SARATOV_141214_04.jpg
러시아 해군앨리게이터급 상륙함
1. 개요2. 역사3. 특징
3.1. 장점3.2. 단점
4. 해당되는 함급
4.1. 변종
5. 기타
5.1. 각종 매체에서의 등장
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戰車上陸艦, Landing Ship Tank(LST)

해군상륙작전 지원을 위한 함종 중 하나. 단순히 전차 등의 차량과 병력, 화물을 나르기만 하는 것 뿐 아니라, 직접 항만 시설이 없는 해안에 직접 접안해 이들을 자력으로 내릴 수 있도록 설계된 함종이다.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해군미합중국 해군에 의해 개발되었다. 태평양 전선의 전투는 해전상륙작전이 거의 전부였다고 할 정도로 상륙작전이 빈번했고, 자연히 기존의 대형 수송선에 상륙 병력과 물자 등을 싣고 가다 해안 근처에서 작은 보트나 상륙정 등에 옮겨 타고 해안으로 돌진하는 방식의 한계를 실감케 했다.

또한, 신병기를 넘어 거의 전장의 필수 요소로 위치가 격상된 전차장갑차 등은 이런 방식으론 바로 해안에 투입할 수 없고, 상륙한 보병들이 해안이나 항만 시설을 점령한 뒤 기존 항만 시설을 이용하거나 새로 지어서 한 대씩 기중기 등으로 내리는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 이는 하역 작업 자체의 번거로움 뿐 아니라, 영국과 미국 전차의 무게 상한선을 만들어버렸다. 상륙작전 중 가장 강력한 화력이 투입되어야 할 해안에서 정작 전차가 지원을 못 해준다는 한심한 상황을 낳았다. 때문에 미 해군은, 이런 악재들을 극복할 새로운 함종을 해병대와 해군 자체로부터 요구받아 개발을 시작했다.

2차대전 종전 후, 미국은 잉여 물자가 된 대량의 LST를 고철로 처분하거나 우방국에 대거 원조했다. 공여받은 국가에선 해군이 쓰기도 했지만, 많은 경우 민간에 넘겨져 화물선으로 전용, 상선단을 육성하는 데 쓰였다.

한물 간 함종 취급 받지만 인도네시아에서는 2015년에 텔룩 빈투니급 LST를 초도함 진수시키는 등 여전히 만들어 쓸 곳은 쓰는 함종이다.

3. 특징

3.1. 장점

상륙함의 특성상, 덩치에 비해 연안 항해 성능이 우수하다. 이는 밑바닥이 평평한 평저선이기 때문이다.[1]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1016032595.jpg
심지어 이렇게, 썰물 때 그냥 바닥에 앉아있다 물 찰 때까지 기다리면 알아서 뜨는, 다른 군함들은 흉내조차 낼 수 없는 신묘한 재주도 부릴 수 있다. 실전에서는 이럴 수 없으므로 후방에 강력한 윈치를 장착해 해안에 접안하기 직전에 닻(위 사진에서는 고물에 매달린 그것이다)을 깔아두고, 부대를 하역한 뒤[2] 윈치를 되감아 배를 끌어내는 방식으로 바다로 돌아간다. (16분 20초) 상륙전 후에도 보급 등으로 바쁘게 움직여야 했지만, 일부 함정은 해수담수화 기기를 싣고 수만 명의 상륙군에게 식수를 공급하는 등의 용도로도 활용되었다고 한다.

또한, 전차 등 탑재한 차량이나 병력 등이 함수의 램프를 통해 직접 드나들 수도 있고 무엇보다 후방에 의외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Well Deck를 장착한 다른 상륙함(LSD, LPD, LPH)들과 달리 수송 인원이나 장비 적재율이 조금 더 높은 편이 장점이다. 전반적으로 배수량의 10% 정도의 짐을 실을 수 있다고 보면 된다.(다른 상륙함들은 5% 정도) 현 세대에 와서는 작정한 배들은 만재배수량의 20%까지도 싣기도 한다.

흔히 초수평선 상륙작전이 일반화된 미 해군 등의 예를 들며 불필요한 구시대적인 함종이라 폄하하는 이들도 있으나, 대형강습상륙함은 해안에 직접 배를 갖다 대는 건 자살 행위라 상상도 할 수 없고, 이들 사이를 오가는 LCAC헬리콥터들은 속도는 빠르지만 한번에 싣는 탑재량이 적고 내구성이 약하기 때문에 한계가 크다.[3] 대량의 전차 및 병력, 화물을 한번에 해안에 직접 갖다 대야 하는 상황은 전면전시 여전히 부닥칠 수 밖에 없는 상황이고, 초수평선 상륙작전 자체가 일단 해안을 최대한 적은 함정 및 인명 피해로 제압 후 후속 주력 병력이 들어 올 안전한 해안을 확보하는 수준이라 결국 이같이 별도의 접안 시설이 없거나 부실한 해안에 직접 닥돌해야 하는 함정 자체는 필요하다. 특히 축차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한 번에 LCAC를 대량으로 동원할 수 없다면 더욱. 미 육군이나 해군조차 유사한 민간 선박을 빌리거나, 기존 상륙함의 웰덱과 탑재 LCAC만으로는 부족해서 유조선 등을 개량한 LCAC 발진용 해상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엔 LST와 유사한 상륙정이나 상륙함이 상륙 2파용으로 다시 제안되고 있을 정도이다.

3.2. 단점

평저선이므로 원양 항해 성능이 나쁘고, 상륙용 램프가 고속을 내는 것을 방해해 2차대전 때의 LST들은 속도가 15노트 전후밖에 나오지 않았으며, 기동성이나 내파성도 좋지 않아 해상이나 수중, 공중에서의 공격시 회피가 힘들었으며, 달고 있는 소구경 대공화기들에만 의지해야 했다.[4] 이 때문에, LST의 승조원들은 자기들의 배를 "Large Slow Target(크고 느린 과녁)"이라는 자조 섞인 별명으로 부르기도 했다.

처음 등장했을 때는 수송선에서 작은 보트에 갈아타고 해안에 올라타 무거운 짐을 짊어진 채 뱃전을 뛰어넘어 뻘밭이나 모래밭인 해안을 전차 지원도 못받고 보병만으로 돌파한다는 끔찍한 상황을 극복해 준 고마운 장비였지만, 본질적으로 야트막하고 장애물 없는 모래사장이 펼쳐진 해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서 상륙지점이 극히 제한된다.

속도가 느린 것도 겹쳐, 현대에 들어서는 다른 상륙함, 특히 헬리콥터와 공기부양정을 싣고 초수평선 상륙전[5]을 할 수 있는 LSD나 LPH에 비해 시대에 뒤떨어진 함선 취급을 받지만, 여전히 해병대는 무척 좋아한다.

속력으로 말할 것 같으면, 최고속력은 대부분 함대 전투함의 최고 속력이 아닌 순항 속력[6]에만 맞춰져 있으며, 고속의 정규항공모함이 동반될 경우에는 반절밖엔 안되는 최고속력으로 인해 뒤따라가질 못한다. 이는 앞쪽의 램프 때문으로, 이 부분은 안그래도 상륙 시 파손 없이 안정적으로 접지하여 안정된 자세로 적재물을 하역하기 위해 유조선처럼 넙적한 형태를 가져 고속항행도 못하거니와, 고속항행 성능을 부여했다 쳐도 대양에서 폭풍우를 직선 관통하는 경우가 많은 해군 특성상 파도를 맞을 경우 단번에 떨어져 나가 침몰하게 되기 때문에 고속항행 자체가 불가능하며, 따라서 저속으로 항행하게 된 것이다. 특히 알류샨 열도 일대처럼 연중 대부분을 폭풍우가 몰아쳐서 우회 자체를 못하는 지역들에 상륙하는 경우, 이 설계는 선택이 아닌 필수이기도 하다.

참고로 러시아는 아직 완전하게 전투함같이 생긴 전차상륙함을 운영하고 있다.

4. 해당되는 함급

4.1. 변종

  • 오오스미급 강습상륙함 - 자위대 분류상으로는 LST지만 실제로는 비행갑판을 가진 상륙수송선거함에 가깝다.
  • 천왕봉급 상륙함 - 함 소요가 운봉급 LST에 대한 대체사업이었기때문에 LST-II로 사업명이 붙었지만 함선은 함수도어가 없어서 해안 돌격 기능이 없기에 실제로는 LSD에 가깝다.
  • 인듀어런스급 상륙함 - 카운티급 LST에 대한 대체사업으로 이역시 LST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함수도어가 없어서 거대 함교를 가진 LSD에 가까운 형태에 가깝다. RoRo기능은 있어서 접안을 한다면 직접 상륙시킬 수는 있다.

5. 기타

5.1. 각종 매체에서의 등장

일본 애니메이션 코쿠리코 언덕에서의 주인공 아버지가 전후 미국으로부터 불하받은 LST의 선원으로 근무하다 한국전쟁기뢰에 피격되어 전사한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배경이 되는 항구 도시에서 LST들이 흔히 보이며, 주민들이 이 단어를 익숙하게 사용하는 등 일종의 시대상을 나타내는 장치로 등장한다.

진진돌이 에볼루션에서도 시즌 2에서 T-90을 상륙시킨다.

중철기에서는 미 해군 소속의 전차상륙함이 미션 1에서 미 육군 소속의 M7 스위프트 보행전차를 상륙시킨다.

6. 관련 문서



[1] 일반적으로 평저선은 배 밑바닥이 V자 모양인 첨저선에 비해 안정성과 연안 항해 성능이 우수하다. 다만 첨저선이 속도가 더 빠르고 무엇보다 평저선의 경우 무게중심이 지나치게 배 위로 올라가 풍랑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대양항해를 염두에 둔 함선들은 대부분 첨저선을 채택했다.[2] 처음 LST를 몰게 된 함장들은 "해안을 향해 7노트로 돌진해 좌초시키십시오."라는 개발자의 지시에 매우 찜찜해했다고 한다. 바다에서 산 평생 상상조차 못해본 일이었을테니.[3] 전시에는 부차적인 요소로 칠 수 있으나, 화물 운송력 대비 연비도 나쁘고 운용유지비가 많이 든다. 평시에는 절대 무시 못 할 단점이다.[4] 첨저선은 바닷물을 가르며 앞으로 나아가고 큰 파도의 경우도 뚫고 나아간다는 느낌이 강한데, 평저선은 박스형태의 선체로 인해 특히 네모난 선수로 인해 저항이 심하고 속도도 느리다. 파도와 충돌할 때에는 가르고 지나간다는 느낌보다는 넘는다는 느낌이 강하다. 그결과 배가 많이 출렁거리고 승선감이 아주 안 좋다. 게다가 원양에 나가서 그냥 타고 넘기에 큰 파도라도 만나면 (마치 암초라도 들이받은 듯한 착각이 들정도로) 쾅!하고 충돌하는 소리와 충격이 전해질 정도로 답파성이 매우 안 좋다.[5] 해안포나 지대함미사일로부터 안전할 뿐 아니라 방어군에게 기동방어를 강요하거나 아예 방어선을 뛰어넘어 전개할 수 있다[6] 순항 속력은 핵추진이 아닌 내/외연기관 이동수단이 '최대 항속거리를 내기 위하여 최대 "연비" 출력을 내는 경우에 나오는 속력으로서 보통 최고속력의 반절 정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