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7 17:01:42

천왕봉급 상륙함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현대 대한민국 해군 함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1B69><colcolor=white> 잠수함 <colbgcolor=#001B69><colcolor=#fff> SS 장보고급, 손원일급, 도산안창호급, {이봉창급}
SSM 비둘기/갈매기급, 돌고래급, 참고래나포, 상어급나포, 가자미급나포, 범고래급
SSN 362사업
항공모함 한국형 경항모 계획, CVX, {무인전력지휘통제함}
아스널쉽 합동화력함
구축함 DDG 세종대왕급, 정조대왕급, {KDDX}
DDH 광개토대왕급, 충무공이순신급
DD 충무급, 충북급, 대구·인천
호위구축함(DE)
고속수송함(APD)
경기·강원, 충남급, 경남·아산, 경북·전남
호위함 FFG 인천급, 대구급, 충남급, {FFX Batch-IV}
FF 울산급
PF 두만강급
초계함 PCC 동해급, 포항급
OPV {한국형 차세대 연안초계함}
경비함정
(PG, PCS, PC, PCE)
충무공 313·315, 수성급, 백두산급(백두산함), 노량급, 거진, 신성급
유도탄고속함 PKG 윤영하급
PGM 백구/검독수리급
PKMM 기러기 121·122
고속정 PKM 기러기 123, 기러기/참수리급
PKMR 참수리급(신형)
PB
SB
FB
PK
올빼미급
보라매급
독수리급
제비급
PT 갈매기급
상륙함 LPH 독도급
LSD 천왕봉급, {LST-III}
LST 천안/용화급, 안동, 용비급, 운봉급, 고준봉급
LSM
LSMR
대초급
시흥
상륙정 LSF 솔개 611, 거북이 613급, 솔개급(무레나), 솔개급
LCU 물개급
LCI
LSSL
서울/천안급
영흥만급
기뢰부설함 LSML
MLS
풍도·울릉
원산, 남포
소해함 MSC
MHC
MSH
금산급, 남양급
강경급
양양급, {MSH-II}
소해정 YMS
JMS
AMS
금강산/강진급
대전급
금화급
군수지원함 AOE 천지급, 소양급
수상함구조함 ARS
ATS
창원·구미
평택·광양, 통영·광양
잠수함구조함 ASR 청해진, 강화도
훈련함 ATH 한산도
정보함 AGS 신천지, 신세기, 신기원, {AGX-III}
잠수정모함 ASL 남양, 다도해
수리함 ARL 덕수
수송함 AKL 부산·인천/제물포, 원산급, 군산/천수급
유조함 YO
AO
AOR
구룡
천지·부전/부천, 백연/화천, 청평
소양·진양
예인함 ATA 인왕, 용문, 도봉
전투근무지원정 전투정 다목적훈련지원정(MTB), 항만경비정(YUB/HP), 항만수송정(YF), {특수전지원함·특수침투정}
근무지원정 숙영지원정(QB), 냉동정(RCM), 유조정(YO), 고속정지원정(YPK-A), 잠수지원정(DB), 구조지원정(YDT), 항무지휘정(YSB/HCB), 예인정(YTL), 기중기정(YD), 청소정(OS), 청수정(AWT/YWS), 항무지원정(LCM/HUB), 헬기이착함훈련지원정(YHE)
기타 단정, 주정 고속단정(RIB), 인원이송상륙주정(LCP), 상륙주정(LCVP), 고속상륙주정(LCM)
잠수정 심해구조잠수정(DSRV)
무인기 수중무인탐사기(ROV), 무인기뢰처리기-II(MDV), {무인잠수정(UUV)}, {무인수상정(USV)}
타기관 함정 육군, 국과연 육군경비정, 선진, 지심, 미래, 청해
{{{#!wiki style="display:inline" dark-style="display:none"
※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해군 취역·퇴역 함정 일람 |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 중인 상륙함정
군수지원정 고속상륙정
물개급
LCU
솔개급(무레나)
LSF
솔개급
LSF-II
상륙함 대형수송함
고준봉급
LST-I
천왕봉급
LST-II
독도급
LPH


<colbgcolor=#001B69><colcolor=#fff> 파일:천왕봉함.jpg
천왕봉급 상륙함
Cheon Wang Bong-class landing ship

1. 개요2. 동급함3. 사업 배경4. 제원 및 특징5. 평가6. 논란7. 기타
7.1. 매체에서

1. 개요

천왕봉급 상륙함은 길이 127m, 경하 배수량 4,900톤의 상륙선거함(LSD:Landing Ship Dock)이다.

차기상륙함(LST-II) 사업을 통해 전력화된 천왕봉급 상륙함은, 전차상륙함(LST, Landing Ship Tank)과는 달리 직접 해안에 접안해 전차 등을 양륙하지 않고, 함수 갑판에 있는 상륙주정(LCM)을 크레인으로 바다에 내려 함미의 웰 도크(Well Dock)[1]로 보내 장비나 병력을 태워 상륙시킨다.

고준봉급 상륙함(LST) 대비 장거리 수송지원 능력, 기동속력, 탑재능력 등이 향상됐다. 천왕봉급 상륙함은 더 향상된 상륙작전 임무수행 뿐만 아니라 국지도발 시 신속대응전력으로 활용되며, 필요시 기지·도서 물자수송 및 국제협력활동 지원 임무 등을 수행한다.

2014년 11월 첫 번째 차기 상륙함인 천왕봉함(LST-686)의 인도를 시작으로 천자봉함(LST-687), 일출봉함(LST-688), 그리고 2018년 11월에 마지막 네 번째 함정인 노적봉함(LST-689)이 해군에 인도됐다.

2. 동급함

||<tablebgcolor=#FFF,#333><tablebordercolor=#ccc><tablewidth=100%> 함종
선체번호
|| 함명 || 진수 || 인수 || 취역 || 건조사 || 비고 ||
LST-686 천왕봉 2013년 9월 11일 2014년 11월 28일 2014년 12월 1일 한진중공업[2] 운용 중
LST-687 천자봉 2015년 12월 15일 2017년 8월 1일 2017년 8월 4일 현대중공업[3] 운용 중
LST-688 일출봉 2016년 10월 25일 2018년 4월 2일 2018년 4월 11일 현대중공업 운용 중
LST-689 노적봉 2017년 11월 2일 2018년 11월 21일 2018년 12월 3일 현대중공업 운용 중

  • 2025년 코브라골드 훈련에는 4번 노적봉함이 KAAV를 싣고 참가했다.

3. 사업 배경

  • 차기상륙함(LST-II) 사업 추진경과
    - 2006년 4월: 장기신규 소요 결정
    - 2006년 10월: 사업타당성 분석
    - 2007년 7월: 중기 소요전환 및 작전운용성능 확정
    - 2007년 11월: 사업추진기본전략 확정
    - 2008년 4월: 함정건조기본계획 심의·확정
    - 2008년 12월: 기본설계 계약(한진중공업, 기간: 2008년 12월 ~ 2010년 11월)
    - 2011년 10월: 상세설계 및 함건조 계약(한진중공업, 기간: 2011년 10월 ~ 2014년 11월)
    - 2013년 6월: 차기상륙함 후속함 건조계획 승인
    - 2013년 9월 11일: 선도함(천왕봉함) 대한민국 해군 인도
    - 2013년 12월: 후속함(2번함)건조 계약(현대중공업)
    - 2014년 11월: 후속함(3번함)건조 계약(현대중공업)
    - 2014년 11월 28일: 선도함 해군 인도
    - 2015년 11월: 후속함(4번함)건조 계약(현대중공업)
    - 2017년 8월: 2번함 해군 인도
    - 2018년 4월: 3번함 해군 인도
    - 2018년 11월: 4번함 해군 인도
해안감시 레이더 탐지권 확대 및 지대함 미사일과 해안포의 사거리 증가 등 무기체계의 발달로, 상륙함이 목표지역에 직접 접안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이 같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상륙작전 수행 개념이 진화하면서, 상륙함은 초수평선 외곽에서 발진할 수 있는 이동수단을 탑재한 상륙수송함으로 발전했다. 또한 다목적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입체적 상륙 작전을 효과적으로 통제할수 있는 지휘통제 체계도 필요해졌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해군은 2000년대 초반 차기 상륙함(LST-II) 소요를 제기했으며, 2007년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건조사업(4척)이 확정됐다.#

LST-II의 함형은 운용자와 사용자인 대한민국 해군과 해병대의 논의를 통해 결정됐다. 해군은 상륙 능력을 보강하기 위해 고준봉급 상륙함(LST) 보다 많은 병력을 수송할 수 있고 원거리에서 이동수단을 발진시킬 수 있는 상륙수송선거함(LPD, Landing Platform Dock) 형태의 함형을 제안하였다. 해군은 2006년 3월 소요 제기 때 공기부양정을 탑재할 수 있는 6,500톤급 상륙함을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에 건의했으나 예산문제를 이유로 4,500톤급으로 축소됐다.#

LST-II 사업에는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총 8,715억 원이 투입됐다. 설계 및 건조는 한진중공업이 진행했으며, STX메탈은 추진체제 담당 우선 협상자로 선택됐다. 이후 건조가 순조롭게 진행되어 2013년 9월 11일에 초도함인 천왕봉함(LST-686)의 진수식이 거행됐다. 인천 상륙 작전 63주년을 앞둔 시점에서 차기 상륙함의 진수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해군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천왕봉함은 인수 평가 기간을 거친 뒤 2014년에 해군에게 인도 이후 전력화 과정을 거쳐 2015년에 실전 배치 됐고, 2번함 천자봉함(LST-687)은 2015년 12월 15일, 3번함 일출봉함(LST-688)은 2016년 10월 25일, 4번함 노적봉함(LST-689)은 2017년 11월 2일 진수하였다.

4. 제원 및 특징

천왕봉급 상륙함
Cheon Wang Bong-class landing ship
함종 상륙선거함
건조 업체 한진중공업, 현대중공업
이전 함급 고준봉급 상륙함(LST-I)
배수량 경하 4,900톤
만재 6,940톤
길이 126.9m
19.4m
높이 36m
흘수 5.4m
추진체계 추진방식 CODAD
엔진 MAN 12V28/33D STC 디젤 엔진 4기(총 12,800마력)
최대 속력 23knots(42.6km/h)
순항 속력 18knots(33.3km/h)
항속 거리 10,000NM(18,520km)
승조원 120여 명
레이더 대수상 STX엔진 SPS-300K 탐지 레이더
대공 LIG넥스원 SPS-540K 3D 탐색레이더​
사격통제 SAQ-540K 전자광학추적장비(EOTS)
기만 장비 채프/플레어 대유도탄기만체계(MASS)
ECM SLQ-200(V)K SONATA 전자전 체계
기타 전자장비 해군전술자료처리체계(KNTDS) Link-11 전술데이터링크,
해상작전위성통신체계(MOSCOS) 등
무장 주포 한화디펜스 노봉 40mm 쌍열 함포 x1
미사일(VLS) K-VLS 4셀
해궁 함대공 미사일 16발 탑재[5]
수송 능력 상륙군 300여 명
전차 2량, 상륙돌격장갑차 8량 포함 총 8종 26대 동시 탑재 가능#
상륙정 고속상륙주정(LCM) 3척(함수 갑판에 2척, 웰 도크(Well Dock)에 1척)
헬기 상륙기동헬기 2기 이·착함 가능
기타 고속단정(RIB) 2척
파일:external/image.edaily.co.kr/PS16070300046.jpg
  • 해상과 공중으로 동시에 전력을 투사하는 초수평선 상륙 작전 수행능력을 보유한 천왕봉급 상륙함은, 함내에 국산 전투체계와 지휘통제체계를 갖춘 상륙작전지휘소를 보유해 상륙작전 지휘관의 효과적인 작전지휘가 가능하다.
  • 비행갑판에는 UH-60급 헬기 2대가 순차적으로 이·착함할 수 있다# 헬기 격납고는 없다.
  • 동급은 그동안 K-VLS 4셀에 쿼드팩을 통해 해궁 함대공 미사일 16발을 탑재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현재(2023년 9월 기준) 초도함인 천왕봉함(LST-686)에만 K-VLS 1셀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이 K-VLS는 건조 당시 무장 테스트용으로 장착한 것으로, 현재는 미사일이 탑재되어 있진 않다고. 관계자에 따르면 추후 개장을 통해 K-VLS 수량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2~4번함 역시 순차적으로 K-VLS를 탑재할 것으로 보인다.

4.1. 고속상륙주정

파일:FJoqAe1.jpg
함수 갑판에 탑재된 2척의 상륙주정
함수 갑판에 2척, 웰 도크에 1척 탑재된 경하 배수량 60톤급의 신형 기계화상륙주정(LCM-H)은 스페인 해군의 LCM-1E와 유사한데, 기본적인 제원은 만재 배수량 110톤, 워터제트 추진에 최대속력은 경하 시 20노트 이상, 만재 시 12노트다. 고속상륙주정은 K-1 전차 한 대 또는 완전무장한 상륙군 100명을 양륙할 수 있다. 함수 갑판에 거치된 상륙주정은 함교 앞 65톤 크레인으로 바다에 내려져 함미 램프를 통해 웰 도크로 들어가 전차 등을 탑재한다.

5. 평가

파일:천왕봉함과 KAAV.jpg
낮은 배수량에 맞춰서 온갖 조건과 필요한 요소를 넣다보니 지금의 형태가 됐다. 기계화상륙주정(LCM)을 함수에 거치하는 대신, 함교 뒤편에 몰아넣고 크레인의 효율성을 높이는 게 낫지 않았나 하는 의견도 있지만, 배수량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7] 기동헬기의 이착륙을 위한 비행갑판은 있지만 격납고는 없고, 공기부양정(LCAC)과 같은 고속기동용 상륙정의 탑재도 곤란하기 때문에 상륙수송선거함(LPD)은 아닌 것이고 상륙선거함(LSD, Landing Ship Dock)인 것이다.

이전 고준봉급 상륙함의 2배에 이르는 수송능력을 가지고 있고 대함 유도탄 방어 체계를 장착하는 등 상륙함의 부족으로 고생하고 있는 해병대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상륙선거함(LSD) 함형은 전차상륙함(LST) 함형에 비해 원양항해에 유리하기 때문에, 비용문제로 해외 파병에 소극적인 독도급 대형수송함이나 느린 속력으로 신속한 파견이 어려운 고준봉급 상륙함 대신 해외파병 및 평화유지 작전에 있어서도 큰 도움이 될것으로 예상된다.

6. 논란

  • 2번함 천자봉함(LST-687)은 공정 지연으로# 2017년 8월 1일 인도됐다.# 이밖에 손원일급 잠수함남포급 기뢰부설함의 전력화 지연 책임을 지게 된 현대중공업은 약 1000억 원 규모의 지체상금을 부과받을 예정이다.

7. 기타

  • 2016년 코브라골드 훈련 참가를 위해 이동하던 중 악천후로 인해 천왕봉함(LST-686) 함수 갑판의 상륙주정 거치대에 손상이 발생한 것을 발견하였고, 해당 부분에 대한 설계를 수정하여 구조적 보강을 실시, 문제를 해결하고 구조공학에 대한 귀중한 경험을 얻었다.#
  • 2018년 대한민국 해군 국제관함식에서 3번함 일출봉함(LST-688)이 좌승함을 맡았다. 제주도에서 개최됐기 때문에 성산일출봉의 이름을 딴 일출봉함을 좌승함으로 선정한 것으로 보인다.
  • 노봉 40mm 함포 등 일정 수준의 무장도 갖추고 있으므로, 해적과 같은 소규모 무장세력을 상대로 한 저강도 분쟁에 투입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소말리아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청해부대)를 파견하고 있는 해군 입장에서도 해성 대함 미사일, SM-2 함대공 미사일 등으로 중무장하는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의 주력함을 보내 정작 중요한 북한, 주변국에의 해양 방어에 공백을 야기하는 것보다는 천왕봉급 상륙함 수준의 경무장 다목적함을 보내는 편이 바람직할 것. 다만 청해부대는 임무특성상 헬리콥터가 꼭 필요[8] 한지라 헬기 격납고가 없는 천왕봉급 상륙함은 부적합하다. 천왕봉급 상륙함의 외양작전은 대부분 해외파병 시 병력과 장비, 물자의 수송이나 재해구호물자의 수송일 것이다.
  • 2025년 2월 인도네시아 국제관함식과 태국 코브라골드 훈련에 4번함 노적봉함이 파견됐다.#

7.1. 매체에서


==# 관련 영상 #==
2013년 9월 11일 선도함 천왕봉함(LST-686) 진수식
2015년 12월 15일 2번함 천자봉함(LST-687) 진수식
천왕봉함(LST-686)의 웰 도크에서 발진하는 LCM상륙돌격장갑차(KAAV)




[1] 상륙정상륙함을 출입할 수 있도록 물이 들어왔다 빠졌다 하는 공간이다.[2] 현재 HJ중공업[3]HD현대중공업[4] 해군기초군사교육단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천자봉으로, 해병대교육훈련단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천자봉으로 올라간다.[5] 쿼드팩 탑재[6] 고준봉급 상륙함의 최대속력은 16노트[7] 일반적인 상륙수송선거함(LPD)과 상륙선거함(LSD)은 만재 배수량이 1만톤을 넘는다.[8] 상선단 호위 중 수상한 소형선박이 호송하는 상선에 접근하면 고속단정(RHIB)만으로는 너무 시간이 걸리고 상황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아 슈퍼 링스헬기를 띄워 상황을 감시하고 필요하면 위협사격까지 한다.[9] 해당 회차에서는 손원일 제독과 백두산함, 아덴만 여명 작전을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