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0 07:10:23

뉴포트급 전차상륙함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함정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7408b> 잠수함 <colbgcolor=#27408b> SS 돌핀R, 가토급M/R, 발라오급M/R, 텐치급M/R, 2대 바라쿠다급R, 탱급R, 바벨급R, 고틀란드급L
SSG 그레이백급R
SSN 노틸러스R, 시울프R, 스케이트급R, 스킵잭급R, 퍼밋급R, 스터전급R,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SSN(X)}
SSGN 오하이오급*
SSBN 조지 워싱턴급R, 이튼 앨런급R, 라파예트급R, 제임스 매디슨급R, 벤자민 프랭클린급R, 오하이오급, {컬럼비아급}
고속정 애쉬빌급R, 페가수스급R, 사이클론급R
호위함 DE 루더로우급M/R, 존 C. 버틀러급M/R, 딜리급R, 클라우드 존스급R
FF 브론스타인급R, 가르시아급R, 녹스급R
FFG 브룩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R, {컨스텔레이션급}
LCS 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구축함 DD 플레처급M/R, 알렌 M. 섬너급 FRAM IIM/R, 기어링급 FRAM I/IIM/R, 노퍽급R, 미쳐급R, 포레스트 셔먼급R, 스프루언스급R
DDG 패러것급R, 찰스 F. 애덤스급R, 키드급R, 알레이 버크급, 줌왈트급, {DDG(X)}
순양함 CL 클리블랜드급R, 파고급R, 우스터급R
CA 볼티모어급R, 오리건시티급R, 디모인급R
CG 보스턴급M/R, 갤버스턴급R, 프로비던스급R, 알바니급R, 리히급R, 벨크냅급R, 타이콘데로가급, CG(X)
CGN 롱비치급R, 베인브리지급M/R, 트럭스턴급M/R, 캘리포니아급R, 버지니아급R, 타격 순양함
전함 테네시급R, 콜로라도급R, 노스캐롤라이나급R, 사우스다코타급R, 아이오와급M/R, 몬태나급
상륙정 LCU 1610, LCM, LCVP, LCAC
상륙함 LHA 타라와급R, 아메리카급
LPH 이오지마급R
LHD 와스프급
LPD 롤리급R, 오스틴/클리블랜드/트랜톤급R, 샌안토니오급
LSD 캐사그랜디급R, 토마스턴급R, 앵커리지급R, 위드비 아일랜드급, 하퍼스 페리급
LST 뉴포트급R, 데 소토 카운티급R, 테레본 패리시급R
LSV 제너럴 프랭크 S. 베송급 A
EPF 스피어헤드급
소해함 오스프리급R, 어빌리티급R, 어벤저급
군수지원함 새크라멘토급R, 알골급R, 네오쇼급R, 시마론급R, 마르스급R, 헨리 J. 카이저급, 서플라이급, 루이스 & 클라크급, 존 루이스급, 왓슨급, 머시급, 세이프가드급, 나바호급
지휘함 사이판급M/R, 블루 릿지급
원정이동기지선 루이스 B. 풀러급
항공모함 CV 에식스급M/R, 타이콘데로가급M/R, 미드웨이급M/R, 유나이티드 스테이츠급, 포레스탈급R, 키티호크급R
CVN 엔터프라이즈급R, 니미츠급, 제럴드 R. 포드급
잠수함모함 풀턴급R, 에모리 S. 랜드급
구축함모함 딕시급R, 사무엘 곰퍼스급R, 옐로스톤급R
무인함 USV 시 헌터, {LUSV}
UUV 오르카 XLUUV, {후긴 AUV}
대형호위함(범선) 컨스티튜션*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정
※ 윗첨자L: 리스한 함정
※ 윗첨자 A: 육군운용 함정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오하이오급은 SSGN, SSBN형 둘 다 존재한다.
*: 컨스티튜션은 문화재지만 현역으로서, 당시 기준 함급은 44문 대형 호위함이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LST-1179 뉴포트함.jpg
Newport-Class Tank Landing Ship

1. 개요2. 제원3. 상세4. 동형함 목록5. 둘러보기

1. 개요

미 해군이 1969년부터 2002년까지 운용한 전차상륙함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초기부터 운용되었던 전통적 상륙함의 완성판으로, 역대 미 해군이 운용한 전차상륙함들 중 가장 크고 빠른 함선이었다.

2. 제원

뉴포트급 전차상륙함
Newport-Class Tank Landing Ship
파일:1024px-USS_Peoria_(LST-1183)_aerial_stbd_bow_view.jpg
<colbgcolor=#eee> 함종 <colbgcolor=#FFF>전차상륙함
이전급 데 소토 카운티급 전차상륙함
다음급 없음
기준배수량 4,870톤
만재배수량 8,476톤
전장 159.2m
전폭 21.2m
흘수선 5.3m
동력 <colbgcolor=#eee> 방식 CODAD
기관 GM 16-645-ES 4행정 16기통 디젤엔진 6기 (LST-1179~1181함)
ALCO 16-251E 4행정 16기통 디젤엔진 6기 (LST-1182~1198함)
(각 2,750HP | 총 16,500HP)
ALCO 8-251C 디젤 발전기 3기
추진 프로펠러 샤프트 2기
함수 추진기 1기
속도 22노트 (41km/h)
항속거리 14노트 순항시 4,600km
승무원 승조원 213명
'''
레이더
'''
'''
대수상
'''
레이시온 AN/SPS-10F 선회식 C밴드 2차원 대수상 레이더
사통 WE AN/SPG-34 X밴드 화기관제 레이더 2기
항법 마르코니 AN/SPS-59 X밴드 단거리 항법 레이더 1기
무장 함포 Mk.33 76mm 50구경장 쌍열 함포 2문
CIWS
레이시온 Mk.15 팰렁스 1문 ('80년대 이후)
항공 시설 중형 헬리콥터용 비행갑판
격납고 없음
탑재 항공기 중형 헬기 1대
MH-60 시호크
탑재 수상정 LCU 2척 또는 LCVP 4척
수송 능력 차량 데크 1,800m²
주력전차급 기갑차량 최대 29대 또는 화물 2,000톤
• 병력 최대 431명 

3. 상세

뉴포트급은 미 상륙군이 20노트 이상의 속력을 낼 수 있는 전차상륙함(LST)을 보유한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기존 LST 함형의 전통적인 선수문 형태는 그러한 속도를 낼 수 없었다. 따라서 설계자들은 선수문을 갑판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일반적인 함선 모양의 선수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상부가 갈라져 두 개의 데릭 암으로 지지되는 선수 위에 매달린 34m급 알루미늄 램프[1]가 앞으로 내밀어지도록 하는 설계를 내놓았다.

이로 인해 뉴포트급은 2차 세계 대전 초기에 개발된 표준 LST 설계에서 벗어난 최초의 함급이 되었다. 이를 통해 22노트라는 속도를 달성하여 전통적인 LST함형들의 17노트에 불과한 최대속도와 낮은 능파성을 해결하는 등 당대 미군 상륙 부대를 위한 완전체에 가까운 전차상륙함이었다.
파일:미국 뉴포트급 1.jpg
데릭 암을 통해 전방 램프를 전개한 뉴포트급

또한 대부분의 LST와 같이 후방 램프 도어를 갖추고 있어 LCU와 같은 상륙정을 곧바로 진수시키거나 부두에 후방으로 바로 계류 하는 것이 가능했다. 총 27척이 계획되었고 20척이 건조되었다.

그러나 넓은 웰덱과 화물 공간, 대형 평갑판을 갖춘 LHA의 등장으로 LST의 존재 이유가 의문시되기 시작했고, 뉴포트급은 상륙함 중 가장 가치가 낮은 함정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원거리에서 발진 할 수 있는 공기부양정(LCAC)을 이용한 초수평선 상륙작전 개념이 등장함에 따라 뉴포트급을 비롯한 LST들은 도태[2]되었다.

4. 동형함 목록

||<-5><tablebordercolor=#CCC><tablealign=left><bgcolor=#27408B>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LST-1179 USS 뉴포트
USS Newport
기공: 1966년 11월 1일
진수: 1968년 2월 3일
취역: 1969년 6월 7일
퇴역: 1992년 10월 1일
PNS[3] 매각[MX]
LST-1180 USS 매니토웍
USS Manitowoc
기공: 1967년 2월 1일
진수: 1969년 6월 4일
취역: 1970년 1월 24일
퇴역: 1993년 6월 30일
PNS 매각[TW]
LST-1181 USS 섬터
USS Sumter
기공: 1967년 11월 14일
진수: 1969년 12월 13일
취역: 1970년 6월 20일
퇴역: 1993년 9월 30일
PNS 매각[TW]
LST-1182 USS 프레즈노
USS Fresno
기공: 1967년 12월 16일
진수: 1968년 9월 28일
취역: 1969년 11월 22일
퇴역: 1993년 4월 8일
NASSCO 폐기[7]
LST-1183 USS 피오리아
USS Peoria
기공: 1968년 2월 24일
진수: 1968년 11월 23일
취역: 1970년 2월 21일
퇴역: 1994년 1월 28일
NASSCO 폐기[8]
LST-1184 USS 프레데릭
USS Frederick
기공: 1968년 4월 13일
진수: 1969년 3월 8일
취역: 1970년 4월 11일
퇴역: 2002년 10월 5일
NASSCO 매각[MX]
LST-1185 USS 스키넥터디
USS Schenectady
기공: 1968년 8월 2일
진수: 1969년 5월 24일
취역: 1970년 6월 13일
퇴역: 1993년 12월 15일
NASSCO 폐기[10]
LST-1186 USS 카유가
USS Cayuga
기공: 1968년 9월 28일
진수: 1969년 7월 12일
취역: 1970년 8월 8일
퇴역: 1994년 8월 26일
NASSCO 매각[BR]
LST-1187 USS 터스컬루사
USS Tuscaloosa
기공: 1968년 11월 23일
진수: 1969년 9월 6일
취역: 1970년 10월 24일
퇴역: 1994년 2월 18일
NASSCO 표적함[12]
LST-1188 USS 새기노
USS Saginaw
기공: 1969년 5월 24일
진수: 1970년 2월 7일
취역: 1971년 1월 23일
퇴역: 1994년 6월 28일
NASSCO 매각[AU]
LST-1189 USS 샌버너디노
USS San Bernardino
기공: 1969년 7월 12일
진수: 1970년 3월 28일
취역: 1971년 3월 27일
퇴역: 1995년 9월 30일
NASSCO 매각[CL]
LST-1190 USS 볼더
USS Boulder
기공: 1969년 9월 6일
진수: 1970년 5월 22일
취역: 1971년 6월 4일
퇴역: 1994년 2월 28일
NASSCO 스크랩[15]
LST-1191 USS 라신
USS Racine
기공: 1969년 12월 13일
진수: 1970년 8월 15일
취역: 1971년 7월 9일
퇴역: 1993년 10월 2일
NASSCO 표적함[16]
LST-1192 USS 스파턴버그 카운티
USS Spartanburg County
기공: 1970년 2월 7일
진수: 1970년 11월 7일
취역: 1971년 9월 1일
퇴역: 1994년 12월 16일
NASSCO 매각[MY]
LST-1193 USS 페어팩스 카운티
USS Fairfax County
기공: 1970년 3월 28일
진수: 1971년 10월 16일
취역: 1971년 10월 16일
퇴역: 1994년 8월 17일
NASSCO 매각[AU]
LST-1194 USS 라무르 카운티
USS La Moure County
기공: 1970년 5월 22일
진수: 1971년 12월 18일
취역: 1971년 12월 18일
퇴역: 2000년 11월 17일
NASSCO 표적함[19]
LST-1195 USS 바버 카운티
USS Barbour County
기공: 1970년 11월 7일
진수: 1971년 5월 15일
취역: 1972년 2월 12일
퇴역: 1992년 3월 30일
NASSCO 표적함[20]
LST-1196 USS 할런 카운티
USS Harlan County
기공: 1970년 11월 7일
진수: 1971년 7월 24일
취역: 1972년 4월 8일
퇴역: 1995년 4월 14일
NASSCO 매각[ES]
LST-1197 USS 반스터블 카운티
USS Barnstable County
기공: 1970년 12월 19일
진수: 1971년 10월 2일
취역: 1972년 5월 27일
퇴역: 1994년 6월 29일
NASSCO 매각[ES]
LST-1198 USS 브리스톨 카운티
USS Bristol County
기공: 1971년 2월 13일
진수: 1971년 12월 4일
취역: 1972년 8월 5일
퇴역: 1994년 7월 29일
NASSCO 매각[MA]
스페인 해군
Armada Española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L41 에르난 코르테스[24]
ESPS Hernán Cortés
획득: 1994년 6월 29일
취역: 1994년 8월 26일
퇴역: 2009년 11월 13일
NASSCO 스크랩
L42 피사로[25]
ESPS Pizarro
획득: 1995년 4월 14일
취역: 1995년
퇴역: 2012년 12월 14일
NASSCO 스크랩
대만 해군
中華民國海軍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LST-232 중허 (中和 [중화])[26]
ROCS Chung Ho
획득: 1997년 5월 8일
취역: 1997년
퇴역: —
PNS 현역
LST-233 중핑 (中平 [중평])[27]
ROCS Chung Ping
획득: 1997년 5월 8일
취역: 1997년
퇴역: —
PNS 현역
말레이시아 왕립 해군
Tentera Laut Diraja Malaysia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1505 KD 스리 인데라푸라[28]
KD Sri Inderapura
획득: 1994년 12월 16일
취역: 1995년
퇴역: 2010년 1월 21일
NASSCO 전소[29]
호주 왕립 해군
Royal Australian Navy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L 51 HMAS 카님블라[30]
HMAS Kanimbla
획득: 1994년
취역: 1994년 8월 29일
퇴역: 2011년 11월 25일
NASSCO 스크랩
L 52 HMAS 마누라[31]
HMAS Manoora
획득: 1994년 9월 27일
취역: 1994년 11월 25일
퇴역: 2011년 5월 27일
NASSCO 스크랩
멕시코 해군
Armada de México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A-411 ARM 파파로아판[32]
ARM Papaloapan
획득: 2001년 1월 18일
취역: 2001년 5월 23일
퇴역: —
PNS 현역
A-412 ARM 우수마신타[33]
ARM Usumacinta
획득: 2002년 12월 9일
취역: 2002년 12월 9일
퇴역: —
NASSCO 현역
브라질 해군
Marinha do Brasil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G-28 마토주 마이아[34]
Mattoso Maia
획득: 1994년 11월 3일
취역: 1995년
퇴역: 2023년 10월 31일
NASSCO 퇴역
<nopad>
칠레 해군
Armada de Chile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LST-93 발디비아[35]
Valdivia
획득: 1995년 9월 30일
취역: 1995년 9월 30일
퇴역: 2011년 1월 14일
NASSCO 스크랩
모로코 왕립 해군
القوات البحرية الملكية المغربية
함번 함명 함생 건조사 비고
407 시디 모하메드 벤 압델라[36]
Sidi Mohammed Ben Abdellah
획득: 1994년 8월 16일
취역: 불명
퇴역: 2010년
NASSCO 표적함[37]

5. 둘러보기

파일:스페인 국기.svg 현대 스페인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스페인 해군 엠블럼.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스페인 해군 (15세기~현재)
La Armada Española
<colcolor=#373a3c> 잠수함/정 <colbgcolor=#fefefe,#393b42>S-01 G급M/R, S-(10 · 20) D급(개수형)R, S-30 발라오급R,
SA-40 포카급R, SA-50 티뷰론급R, S-60 델핀급S,
S-70 갈레르나급, S-80+ 이삭 페랄급
경비정 카보 프라데라급, 아레사급
어뢰정 LT보트R
초계정 리헬급R, 씨에스급R, 센티넬라급R,
P-00 라자가급R, P-10 바르셀로급R, P-30 코네헤라급R,
P-40 코르모란급R, P-20 아나가급, 토라야급
원양초계함 P-60 칠레우급, 메테오로급
초계함 F-50 데스쿠비에타급 (초대)R, F-60 아트레비다급M/R,
세르비올라급, F-30 데스쿠비에타급 (2대)
호위함 <colcolor=#373a3c> 호위함 F-30 피자로급, F-40 비센테 야네즈 핀손급M/R,
방공호위함 F-70 발레아레스급M/R, F-80 산타 마리아급, F-100 알바로 데 바잔급SPY, F-110 보니파스급SPY
구축함 추루카-(I · II · III)급 (초대)M/R, D-20 레판토급R
D-30 아우다즈급R, D-40 오켄도급R, D-60 추루카급 (2대)M/R
순양함 나바라R, 블라스 데 레조급R, 알미란테 세르베라급R, 카나리아스급R
상륙정 Tipo BDK LCTR, LCM3
상륙함 LHD 후안 카를로스 1세급
LPD 갈리시아급
LSD L-30 캐사그랜디급R
LST L-10 테레본 패리시급R, L-40 뉴포트급R
LSM LSM-1/2/3R
APA TA-10 하스켈급R, TA-20 안드로메다급R, L-20 파울 리브레급R
기뢰전함 기뢰부설함 F-00 마르테급R, F-10 후피테르급M/R F-20 에올로급R
기뢰소해함 M-00 비다소아급R, M-10 과디아로급R, M-20 날론급R,
M-40 어그레시브급R, M-30 세구라급
군수지원함 카스티야급R, 파티뇨, 칸티브리아
정보수집/연구함 알레르타급, 에스페리데스, 라스 팔마스
경항공모함 데달로M/R,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급S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S: 비축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 SPY: 이지스 시스템 탑재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대만 해군 깃발.png 현대 대만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대만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중화민국 해군 (1912~현재)
中華民國海軍
잠수함
(SS)
<colbgcolor=#fefefe,#191919>하이신급, 하이룽급, 하이쿤급
구잠함 추장급R, 춰장급R, 칭장급R, 추지안급R
고속정
(PC)
PCA급, PCL급
미사일 고속정
(PG)
하이우급R, 룽장급, 광화 6호급
초계함
(FF)
정안급M/R, 가오안급M/R, 린안급M/R, 핑준급R, 진장급, 퉈장급
호위구축함
(DE)
중정급R, 타이호급R, 타이캉급R, 타이위안급R
호위함
(FF)
신양급R, 후이양급R, 지양급M, 밍추안/펑지아M, 쳉쿵급, 캉딩급, {경호위함}
구축함 구축함
(DD)
프로젝트 T.306.5 설계안R, 린푸R, 단양급R, 뤄양급R, 펀양급R, 안양급R, 샹양급R, 차오양급R
방공 구축함
(DDG)
지룽급
상륙정 허샨급R, 허펑급R, LCI, LCVP, LCM-6
상륙함 LPD 위산급
LSD 둥하이급R, 전하이급R 중정(애쉬랜드)급R, 쑤하이급
LST 중정급R, 중허급, 충하이급
LSM 메이전급R
LSSL 리안지급R
소해함 융진급, 융양급, 융촨급
수송함 윈펑급
군수지원함 우이급, 판시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현대 말레이시아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1280px-Naval_Ensign_of_Malaysia.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말레이시아 해군|
말레이시아 왕립 해군 (1945~현재)
Tentara Laut Diraja Malaysia
]]'''
<colbgcolor=#000066> '''[[잠수함|
잠수함
]]'''
<colbgcolor=#000066> '''
SSK
'''
툰쿠 압둘 라만급 | 웨상T
어뢰정 (PT) 페르카사급
'''[[초계정|
초계정
]]'''
PB 두용 | 크다급(1961) | 팡리마 | 베독 | 판지 | 무티아라 | 심방
'''[[고속정|
고속정
]]'''
'''
PCF
'''
제룽급 | 스리 티가급 | 크리스급(1964)
FIC CB90급 | G2000 Mk.(1/2)급 | MPB급 | 펭가왈급
'''
미사일 고속정 (FACG)
'''
페르다나급 | 한달란급
원양초계함 (OPV) 크리스급(2020) | 크다급(2006) | 무샤타리급
'''[[초계함|
초계함
]]'''
'''
PCG
'''
{LMS 배치2} | 카스투리급 | 락사마나급
'''[[호위함|
호위함
]]'''
FF 항 투아(1963) | 항 투아(1977) | 리버급T
'''
FFG
'''
{마하라자 렐라급} | 레키우급 | 라흐마트
'''[[상륙함|
상륙함
]]'''
'''
LPD
'''
{MRSS 사업}
'''
LST
'''
스리 인데라푸라급 | LST-542급 | 마크8 LCT | 마크 3 LCT | 스리 프를리스
기뢰부설함 (MLS) 싱가푸라
'''[[소해함|
소해함
]]'''
'''
MHC
'''
마하미루급(1985)
'''
MSC
'''
스리 조호르급 | 마하미루급(1960)
'''
지원함
'''
'''
다목적
'''
스리 인데라 삭티급
'''
급유함
'''
붕아 마스 리마급 | 툰 아지잔
'''[[구조함|
잠수함 구조함
]]'''
메가 박티
지원정
예인정
툰다 사투급 | 소통급 | 스리 크다급
연구함 페란타우 | 다양 사리 | 아이사흐 | 무티아라
훈련함 가가 사무데라급 | 투나스 사무데라 | 파자르 사무데라
갈색 글자: 퇴역 함정
※ 윗첨자T: 훈련함 전환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파일:호주 국기.svg 현대 호주 왕립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호주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호주 왕립해군 (1861~현재)
Royal Australian Navy
<colbgcolor=#ffdead,#513100> 잠수함 <colbgcolor=#ffdead,#513100> 재래식 옥슬리급R, 콜린스급, 어택급
SSN {버지니아급}, {SSN-AUKUS}
경비함/정ABF 오셔닉 바이킹ABF/R, 오션 프로텍터ABF, 오션 쉴드ABF, 리버급ABF, 케이프급ABF
초계정 어택급R, 프리맨틀급R, 아미데일급
초계함 아라푸라급
호위함 호위함 리버급M/R, 리버급(추가 개조형)M/R, 쿼드런트급R
방공호위함 애들레이드급R, 앤잭급, {헌터급}, {신형 FFM}
구축함 구축함 앤잭급R, 보이저급M/R
방공구축함 퍼스급M/R, 호바트급
상륙정 LCVP, LCH 발릭파판급, LCM-8, {LCM-1E}
상륙함 LHD 캔버라급
LPD 출스
LSH 토브룩R
LST 카님블라급M/R
소해함 컬류급R, 러쉬커터급R, 휴온급
군수지원함 석세스R, 시리우스급R, 서플라이급
정보수집/연구함 리윈급, 팔루마급
경항공모함 벤전스L/R, 시드니급M/R
무인함 USV {LOSV}
UUV 고스트 샤크 XL-AUV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었거나, 취소된 함선
※ 윗첨자L: 리스한 함선
※ 윗첨자ABF: 오스트레일리아 국경 경비대(Australian Border Force) 소속 함선
}}}}}}}}}


파일:멕시코 국기.svg 현대 멕시코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멕시코 해군 (1821~현재)
Armada de México
<colbgcolor=#006847> 초계정 테노치티틀란급, 아즈테카급
고속정 데모크라타급, 카보급, 이슬라급, 푼토급, 폴라리스 (II)급, 아쿠아리오 A/B급
미사일 고속정 우라칸급
초계함 시에라급
원양초계함 발레급, 캘리포니아급, 코아우일라급, 우리베급, 홀칭거급, 두랑고급, 오아하카급
호위함 캘리포니아급, 브라운급, 아옌데급, 레포마도르급
구축함 마누엘 아수에타급, 케찰코아틀급, 쿠아우테목급
상륙함 <colbgcolor=#006847> LST 만사니요, 파팔로아판급
황색 글자: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현대 브라질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브라질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브라질 해군 (1822~현재)
Marinha do Brasil
<colbgcolor=#009c3b> 잠수함 <colbgcolor=#009c3b> 재래식 투피급, 리아추엘로급
원자력 {알바로 알베르토급}
모니터함 파르나이바
초계정 그라자우급
초계함 인하우마급, 바로소급
원양초계함 임페리얼 마리네이루급, 아마조네스급, 마카에급
호위함 그린할그급, 니테로이급, {타만다레급}
구축함 파라급초대, 파라급2대, 마르실리오 디아스급, 파라급3대
순양함 바로소급, 바이아급
전함 미나스제라이스급
항공모함 미나스제라이스, 상파울로
상륙함 LPH 아틀란티코급
LPD 오이아포크급, 바이아급
LSD 세아라급
LST 마토주 마이아급, 두키지카시아스급
LSL 알미란테 사보이아급
소해함 아라투급
군수지원함 알미란테 가스탕 모타급
훈련함 브라실급
황색 글자: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칠레해군기.png 현대 칠레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칠레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칠레 해군 (1817~현재)
Armada de Chile
<colbgcolor=#d52b1e> 잠수함 오브라이언급, 톰슨급, 오히긴스급
고속정 우리베급, 이키케급, 카스마급
초계정 그루메테 디아즈급
원양초계함 필로토 파르도급, 타이타오급, 프로텍터급
호위함 알미란테 라토레급(1986), 콘델급, 알미란테 윌리엄스급, 알미란테 코크란급, 알미란테 블랑코 엔칼라다급, 알미란테 라토레급
구축함 블랑코 엔칼라다급, 알미란테 린치급, 세라노급, 알미란테급, 오렐라급, 캐피탄 프랫급
순양함 오히긴스급, 알미란테 라토레급(1971)
전함 알미란테 라토레급(1920)
상륙함 <colbgcolor=#d52b1e> LPD 사젠토 알데아급, {Escotillón IV}
LST 마이포급
LSM 오롬펠로급
군수지원함 아라우카노급, 알미란테 몬트급
황색 글자: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현대의 모로코 왕립 해군 함정 파일:모로코 군함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6233><colcolor=#fff> 고속정 오크바급, 루테넌트 데 베소 라비급, 알 캇타비급
원양초계함 라이스 바르가흐급, 비르 안자란급
초계함 엘 라히크급, 루테넌트 커널 에라흐마니
호위함 무함마드 5세급, 타리크 벤 지야드급, 무함마드 6세
상륙함<colcolor=#fff> LST 다우드 벤 아이차급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미국 해군 함수기.sv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미국 해군 함수기.sv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네덜란드 선수기.svg
네덜란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685050>북미 파일:미국 해군 함수기.sv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
중미/카리브
'''
파일:쿠바 함수기.svg
쿠바
남미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해군기.sv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동유럽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함수기.sv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기(신형).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오세아니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경비함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1] 이 램프는 35t이고 최대 76t의 하중을 견딜 수 있었다.[2] 20척 중 12척은 외국 해군에 매각, 나머지 8척은 퇴역.[3] Philadelphia Naval Shipyard: 필라델피아 해군조선소[MX] 멕시코에 매각[TW] 대만에 매각[TW] [7] 2014년 9월 15일 함대 훈련 지원 목적으로 폐기[8] 2004년 12월 7일 함대 훈련 지원 목적으로 폐기[MX] [10] 2004년 11월 13일 함대 훈련 지원 목적으로 폐기[BR] 브라질에 매각[12] 2014년 7월 표적함으로 침몰[AU] 호주에 매각[CL] 칠레에 매각[15] 2022년 3월 16일 타운즈빌에서 스크랩[16] 2018년 7월 12일 림팩에서 표적함으로 침몰[MY] 말레이시아에 매각[AU] [19] 2001년 7월 10일 표적함으로 침몰[20] 2004년 4월 6일 표적함으로 침몰[ES] 스페인에 매각[ES] [MA] 모로코에 매각[24] 前 USS 반스터블 카운티[25] 前 USS 할런 카운티[26] 前 USS 매니토웍[27] 前 USS 섬터[28] 前 USS 스파턴버그 카운티[29] 2009년 10월 8일 항구에 정박 중 화재로 소실됨[30] 前 USS 새기노[31] 前 USS 페어팩스 카운티[32] 前 USS 뉴포트[33] 前 USS 프레데릭[34] 前 USS 카유가[35] 前 USS 샌버너디노[36] 前 USS 브리스톨 카운티[37] 2013년 5월 표적함으로 침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