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스페인 해군 (15세기~현재) La Armada Española | ||||
<colcolor=#373a3c> 잠수함/정 | <colbgcolor=#fefefe,#393b42>S-01 G급M/R, S-(10 · 20) D급(개수형)R, S-30 발라오급R, SA-40 포카급R, SA-50 티뷰론급R, S-60 델핀급S, S-70 갈레르나급, S-80+ 이삭 페랄급 | ||||
경비정 | 카보 프라데라급, 아레사급 | ||||
어뢰정 | LT보트R | ||||
초계정 | 리헬급R, 씨에스급R, 센티넬라급R, P-00 라자가급R, P-10 바르셀로급R, P-30 코네헤라급R, P-40 코르모란급R, P-20 아나가급, 토라야급 | ||||
원양초계함 | P-60 칠레우급, 메테오로급 | ||||
초계함 | F-50 데스쿠비에타급 (초대)R, F-60 아트레비다급M/R, 세르비올라급, F-30 데스쿠비에타급 (2대) | ||||
호위함 | <colcolor=#373a3c> 호위함 | F-30 피자로급, F-40 비센테 야네즈 핀손급M/R, | |||
방공호위함 | F-70 발레아레스급M/R, F-80 산타 마리아급, F-100 알바로 데 바잔급SPY, F-110 보니파스급SPY | ||||
구축함 | 추루카-(I · II · III)급 (초대)M/R, D-20 레판토급R D-30 아우다즈급R, D-40 오켄도급R, D-60 추루카급 (2대)M/R | ||||
순양함 | 나바라R, 블라스 데 레조급R, 알미란테 세르베라급R, 카나리아스급R | ||||
상륙정 | Tipo BDK LCTR, LCM3 | ||||
상륙함 | LHD | 후안 카를로스 1세급 | |||
LPD | 갈리시아급 | ||||
LSD | L-30 캐사그랜디급R | ||||
LST | L-10 테레본 패리시급R, L-40 뉴포트급R | ||||
LSM | LSM-1/2/3R | ||||
APA | TA-10 하스켈급R, TA-20 안드로메다급R, L-20 파울 리브레급R | ||||
기뢰전함 | 기뢰부설함 | F-00 마르테급R, F-10 후피테르급M/R F-20 에올로급R | |||
기뢰소해함 | M-00 비다소아급R, M-10 과디아로급R, M-20 날론급R, M-40 어그레시브급R, M-30 세구라급 | ||||
군수지원함 | 카스티야급R, 파티뇨, 칸티브리아 | ||||
정보수집/연구함 | 알레르타급, 에스페리데스, 라스 팔마스 | ||||
경항공모함 | 데달로M/R,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급S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S: 비축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 SPY: 이지스 시스템 탑재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F-110 Bonifaz Class Firigate |
1. 개요
스페인 해군의 차세대 이지스 시스템 탑재 호위함.2. 제원
<nopad> 보니파스급 호위함 F-110 Fragata Clase Bonifaz | ||
| ||
<colbgcolor=#eee> 함종 | <colbgcolor=#FFF> 호위함 | |
건조업체 | 나반티아 조선소 | |
이전급 | 알바로 데 바잔급 | |
만재배수량 | 6,100톤 | |
전장 | 145m | |
전폭 | 18m | |
흘수선 | 5m | |
동력 | <colbgcolor=#eee> 방식 | CODELADOG[1] |
기관 | 제너럴 일렉트릭 LM2500 가스터빈 엔진 2기 MTU-4000 디젤 엔진 4기 3MW 디젤발전기 4기 | |
추진 | 가변피치 프로펠러 2축 | |
속력 | 26노트 | |
항속거리 | 15노트 순항시 4,100마일 | |
승조원 | 150명 | |
레이더 | 고정 | AN/SPY-7(V)2[2] |
사통 | AN/SPG-62 | |
수상수색 | Indra Prisma-25X | |
소나 | 고정 | 탈레스 UMS-4110 |
예인 | CAPTAS-4 | |
대응장비 | 디코이 | SLQ-25E 닉시 MK.36 SRBOC 6기 |
전자전 | 인드라 리겔 i110 R-ECM/ESM 인드라 레굴루스 i110 C-ECM/ESM | |
무장 | 함포 | 레오나르도 127mm 64구경장 함포 1문 |
VLS | Mk.41 VLS 16셀 ┗ SM-2MR 블록 IIA/B ┗ RIM-162 ESSM | |
대함 | 4연장 대함미사일 경사발사대 2기 ┗ RGM-88 하푼 또는 NSM | |
대잠 | MK.32 MOD.9 324mm 3연장 어뢰발사관 2문 ┗ Mk.46 MOD.5 경어뢰 | |
탑재 항공기 | 중형 헬기 1대 • SH-60B 시호크 • NH90 |
3. 도입 과정
|
2020년 4월, 미국 해군은 구매자인 스페인을 대신하여 스페인 해군 F110급에 장착될 최신형 SPY-7 이지스 위상배열 레이더의 공급 계약을 미국 록히드 마틴과 체결했으며 계약 규모는 5억 1,100만 달러 수준이다.# 스페인은 미국산 S밴드 레이더인 SPY-7(V)2를 자국산 X밴드 다기능 AESA 레이더와 결합시켜 S/X 듀얼밴드 레이더로 구성했다.
4. 특징
| |
함선의 각 체계의 설명도 |
레이더를 포함 ESM/ECM 센서들은 전부 페이즈드 어레이화, 디지털화 되어 있으며 4면 고정 IRST와 고성능 EO/IR을 탑재하는 등 웬만한 최신형 구축함에 필적할 수준으로 매우 호화스러운 구성을 자랑한다. 그러나 이 정도의 함선에 VLS를 왜 16셀밖에 탑재하지 않는지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무장 수준이 빈약하다.[4][5]
전투체계는 나반티아가 개발한 SCOMBA 전투체계와# 이지스 시스템의 무장 관련 시스템만을 통합해 사용되며# 나반티아는 SCOMBA체계와 이지스 시스템에 대한 통합도 담당한다.
스페인 국방부는 F110급 호위함 5척의 계약을 나반티아와 체결하였으며 총 사업 규모는 43억 유로[6]이다.
5. 동형함 목록
스페인 해군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현황 | |
1 | F111 | 보니파스 (Bonifaz) | 2022년 4월 7일 | 2025년 9월 12일 | 2027년 | 건조 중 |
2 | F112 | 로헤르 데 라우리아 (Roger de Lauria) | 2023년 12월 16일 | 2026년 | 2028년 | 건조 중 |
3 | F113 | 메넨데스 데 아빌레스 (Menéndez de Avilés) | 2025년 | 2027년 | 2029년 | 건조 예정 |
4 | F114 | 루이스 데 코르도바 (Luis de Córdova) | 2026년 | 2028년 | 2030년 | 건조 예정 |
5 | F115 | 바르셀로 (Barceló) | 2027년 | 2029년 | 2031년 | 건조 예정 |
6. 대중매체
- 모던 워쉽에서 3티어 에픽등급 호위함으로 등장.
7. 외부 링크
- https://www.indracompany.com/en/blogneo/f110-frigate-technological-superiority-mission
- https://en.m.wikipedia.org/wiki/F110-class_frigate
8. 관련 문서
[1] COmbined Diesel-ELectric And Diesel Or Gas[2] Following the U.S. government’s designation of their variant as SPY-7(V)1, the U.S. government has declared Spain’s SPY-7 radar as SPY-7(V)2.[3] 대표적으로 마스트가 통합 마스트와 일반 마스트를 섞은 듯한 형태를 띄고 있다.[4] 사실상 바잔급에게 방공 임무를 집중시키고 보니파스급은 다목적함으로 쓸 것으로 보인다. 보니파스급의 직접적인 대체 대상인 산타 마리아급 호위함이 범용 전투함인 점을 반영한 듯.[5] 현재 VLS 16셀을 탑재하지만 B포지션이 있다면 추후 개수 시 VLS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6] 한화 5조 7,261억원, 한 척당 평균 1조 1,524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