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color=#c8102e>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의 해군 군함  | |||
| 초계함 | <colbgcolor=#fefefe,#191919>24형, 브리지워터급, 헤이스팅스급, 밴프급, 쇼어햄급, 그림스비급, 킹피셔급, 비턴급, 이그렛급, 블랙 스완급, 플라워급, 캐슬급 | |||
| 호위함 | 리버급, 캡틴급, 콜로니급, 로크급, 베이급 | |||
| 구축함 | R급, S급, V급, W급, 셰익스피어급, 엠버스케이드급, 아마존급, A급, B급, C급, D급, E급, F급, G급, H급, I급, 트라이벌급, J급, K급, N급, 헌트급, L급, M급, O급, P급, Q급, R급, S급, T급, U급, V급, W급, Z급, C급, 배틀급, 웨폰급A,  | |||
| 잠수함 | H급, L급, U급, V급, X급, X1, P611급, S급, T급, 그램퍼스급, 암피온급, 리버급, 레인보우급, 파르티안급, 오딘급 | |||
| 모니터함 | 로버츠급,에레버스급 | |||
| 경순양함 | C급(칼레돈급, 세레스급, 칼라일급), D급, E급, 리앤더급, 엠피온급, 아레투사급(1934), 타운급(사우스햄튼급, 글로스터급, 에든버러급), 다이도급, 크라운 콜로니급, 미노토어급(스윕트셔급),  | |||
| 중순양함 | 호킨스급, 카운티급(켄트급, 런던급, 노포크급), 요크급, 엑서터급,  | |||
| 순양전함 | 리나운급, 어드미럴급,  | |||
| 전함 | 아이언 듀크급, 퀸 엘리자베스급, 리벤지급,  | |||
| 호위항공모함 | 오더시티, 액티비티, 나이라너급, 아처, 어벤저급, 어태커급, 룰러급(보그급 호위항공모함), 프레토리아 캐슬 | |||
| 경항공모함 | 유니콘급,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 센토어급A | |||
| 정규항공모함 | 아거스급, 허미즈급, 이글급, 커레이저스급, 아크로열급, 일러스트리어스급, 임플래커블급, 오데이셔스급A,  | |||
| 기타 | 페어마일 어뢰정, 알제린급 소해함, 캐서린급 소해함, 소드피시, 인섹트급 연안포함 | |||
윗첨자A: 전후 완공된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 |
| Loch-class frigate | |
1. 개요
로크급은 28척 건조된 영국 해군의 호위함으로, 대서양 전투 당시의 경험을 바탕으로 건조돼 아주 혁신적인 설계가 특징이다. 하지만 일부 조선소들은 건조에 어려움을 느껴 다운그레이드된 캐슬급 초계함이 더 널리 운용됐다.2. 설명
이전의 리버급 함체 기반이긴 하지만 리벳접합과 용접으로 인해 곡선이 줄었다. Squid 대잠 박격포 덕분에 대잠전에 더 좋았다.[1] 건조 시간을 줄이기 위해 상업용 엔진이 장착됐다.3. 운용
원래 100척 가량 계획됐으나, 태평양에 보낼 자매함들은 개량된 베이급으로 결정됐다. 한국 전쟁 당시에도 몇 척 활동했다.4. 제원
|  로크급 호위함 Loch-class frigate  | ||
| 이전급 | 리버급 | |
| 다음급 | 베이급 | |
| 표준배수량 | 1,458톤 | |
| 만재배수량 | 2,260톤 | |
| 전장 | 93.8m | |
| 전폭 | 11.8m | |
| 흘수 | 2.7m | |
| 동력 | 기관 | 어드미럴티 3-드럼 증기터빈 2기 | 
| 추진 | 2축 프로펠러 | |
| 최고 속력 | 20노트 (약 37km/h) | |
| 항속거리 | 12노트 (약 22.2km/h) 순항 시 17,600km | |
| 승조원 | 114명 | |
| 레이더 | Type 277 | |
| 소나 | Type 144/147B | |
| 무장 | QF 4인치 Mk.V 함포 1문 4연장 2파운더 40mm 대공포 1문 오리콘 20mm 기관포 6문[2] 3연장 박격포식 폭뢰 발사대 스퀴드 2문 폭뢰 30발  | |
5. 둘러보기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캐나다 왕립 해군 (1910~현재)  Royal Canadian Navy  | ||
| <colbgcolor=#da291c> 잠수함 | <colbgcolor=#fefefe,#191919>{CPSP}, 오베론급R, 빅토리아급 | ||
| 초계정 | 오르카급 | ||
| 초계함 | 플라워급R, 캐슬급R, 킹스턴급, 해리 드울프급 | ||
| 호위함 | 리버급R, 알골킨급R, 로크 아크나쉰급R, 핼리팩스급 | ||
| 구축함 | A급R, C급R, D급R, E급R, F급R, G급R, H급R, V급R, 윅스급R, 클렘슨급R, 타운급R, 트라이벌급R, 생 로랑급R, 레스티구치급R, 맥켄지급R, 아나폴리스급R, 이로쿼이급R, {리버급} | ||
| 순양함 | 온타리오급R, 우간다급R, 프린스급R | ||
| 항공모함 | 매그니피센트R, 보나벤처R | ||
| 소해함 | 레이크급R, 뱅거급R, 알제린급R, 펀디급R, 르웰린급R | ||
| 군수지원함 | 프로텍터급초대R, 아스테릭스급, {프로텍터급2대} | ||
| ※ 윗첨자R : 퇴역 함선 ※ ※ {중괄호} : 도입 예정  | |||
|    ※둘러보기 :    |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ffb612><colcolor=#002395> 잠수함 | 스피어급,  | ||
| 어뢰정 | R1급, R10급 | |||
| 고속정 | 헬데를란트급, 워리어급 | |||
| 초계함 | ||||
| 호위함 | 테비엇급, 굿 호프급, 프레지던트급, 프리스테이트, 밸러급 | |||
| 구축함 | 얀 반 리베크급 | |||
| 소해함 | 다반급, 피터마리츠버그급, 리버급 | |||
| 조사함 | 프로테아(초대), 프로테아 | |||
| ※ 황색 글자: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말레이시아 해군|  말레이시아 왕립 해군 (1945~현재)  ]]'''Tentara Laut Diraja Malaysia  | ||
| <colbgcolor=#000066> '''[[잠수함| 잠수함 ]]'''  | <colbgcolor=#000066> ''' SSK '''  | 툰쿠 압둘 라만급 | 웨상T | |
| 어뢰정 (PT) | 페르카사급 | ||
|  '''[[초계정| 초계정 ]]'''  | PB | 두용 | 크다급(1961) | 팡리마 | 베독 | 판지 | 무티아라 | 심방 | |
|  '''[[고속정| 고속정 ]]'''  |  ''' PCF '''  | 제룽급 | 스리 티가급 | 크리스급(1964) | |
| FIC | CB90급 | G2000 Mk.(1/2)급 | MPB급 | 펭가왈급 | ||
|  ''' 미사일 고속정 (FACG) '''  | 페르다나급 | 한달란급 | ||
| 원양초계함 (OPV) | 크리스급(2020) | 크다급(2006) | 무샤타리급 | ||
|  '''[[초계함| 초계함 ]]'''  |  ''' PCG '''  | {LMS 배치2} | 카스투리급 | 락사마나급 | |
|  '''[[호위함| 호위함 ]]'''  | FF | 항 투아(1963) | 항 투아(1977) | 리버급T | |
|  ''' FFG '''  | {마하라자 렐라급} | 레키우급 | 라흐마트 | ||
|  '''[[상륙함| 상륙함 ]]'''  |  ''' LPD '''  | {MRSS 사업} | |
|  ''' LST '''  | 스리 인데라푸라급 | LST-542급 | 마크8 LCT | 마크 3 LCT | 스리 프를리스 | ||
| 기뢰부설함 (MLS) | 싱가푸라 | ||
|  '''[[소해함| 소해함 ]]'''  |  ''' MHC '''  | 마하미루급(1985) | |
|  ''' MSC '''  | 스리 조호르급 | 마하미루급(1960) | ||
|  ''' 지원함 '''  |  ''' 다목적 '''  | 스리 인데라 삭티급 | |
|  ''' 급유함 '''  | 붕아 마스 리마급 | 툰 아지잔 | ||
|  '''[[구조함| 잠수함 구조함 ]]'''  | 메가 박티 | ||
| 지원정 | 예인정  툰다 사투급 | 소통급 | 스리 크다급  | ||
| 연구함 | 페란타우 | 다양 사리 | 아이사흐 | 무티아라 | ||
| 훈련함 | 가가 사무데라급 | 투나스 사무데라 | 파자르 사무데라 | ||
| ※ 갈색 글자: 퇴역 함정  ※ 윗첨자T: 훈련함 전환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   ※둘러보기 :    | }}}}}}}}}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네덜란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   바레인  | 카타르  |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경비함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