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 F급 구축함 관련틀 둘러보기 ▼ | 
-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 해군 군함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c8102e>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의 해군 군함- 초계함 - <colbgcolor=#fefefe,#191919>24형, 브리지워터급, 헤이스팅스급, 밴프급, 쇼어햄급, 그림스비급, 킹피셔급, 비턴급, 이그렛급, 블랙 스완급, 플라워급, 캐슬급 - 호위함 - 리버급, 캡틴급, 콜로니급, 로크급, 베이급 - 구축함 - R급, S급, V급, W급, 셰익스피어급, 엠버스케이드급, 아마존급, A급, B급, C급, D급, E급, F급, G급, H급, I급, 트라이벌급, J급, K급, N급, 헌트급, L급, M급, O급, P급, Q급, R급, S급, T급, U급, V급, W급, Z급, C급, 배틀급, 웨폰급A, - 게일급, 데어링급A- 잠수함 - H급, L급, U급, V급, X급, X1, P611급, S급, T급, 그램퍼스급, 암피온급, 리버급, 레인보우급, 파르티안급, 오딘급 - 모니터함 - 로버츠급,에레버스급 - 경순양함 - C급(칼레돈급, 세레스급, 칼라일급), D급, E급, 리앤더급, 엠피온급, 아레투사급(1934), 타운급(사우스햄튼급, 글로스터급, 에든버러급), 다이도급, 크라운 콜로니급, 미노토어급(스윕트셔급), - 넵튠급,- 미노토어급(1947)- 중순양함 - 호킨스급, 카운티급(켄트급, 런던급, 노포크급), 요크급, 엑서터급, - 서리급,- 어드미럴급- 순양전함 - 리나운급, 어드미럴급, - J3급,- G3급,- K2·K3급,- I3급- 전함 - 아이언 듀크급, 퀸 엘리자베스급, 리벤지급, - N3급,- L급, 넬슨급, 킹 조지 5세급,- 라이온급, 뱅가드A- 호위항공모함 - 오더시티, 액티비티, 나이라너급, 아처, 어벤저급, 어태커급, 룰러급(보그급 호위항공모함), 프레토리아 캐슬 - 경항공모함 - 유니콘급,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 센토어급A - 정규항공모함 - 아거스급, 허미즈급, 이글급, 커레이저스급, 아크로열급, 일러스트리어스급, 임플래커블급, 오데이셔스급A, - 몰타급,- 하버쿡- 기타 - 페어마일 어뢰정, 알제린급 소해함, 캐서린급 소해함, 소드피시, 인섹트급 연안포함 - 취소선: 실제로 건조되지 못한 함선
 윗첨자A: 전후 완공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 영국군의 운용장비 | - 해상병기 - }}} 
 }}}}}}- 제2차 세계 대전의 캐나다 해군 군함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항공모함 - <colbgcolor=#fefefe,#191919>나보브, 펀처 - 순양함 - 온타리오, 우간다, 프린스급 - 구축함 - A급, C급, D급, 가티노, G급, H급, V급, 윅스급, 클렘슨급, 타운급, 트라이벌급 - 잠수함 - U-190, U-889- 호위함 - 리버급, 로크급 - 초계함 - 플라워급, 캐슬급 - 소해함 - 레이크급, 뱅거급, 카퍼스카싱급, 펀디급, 르웰린급 - 군수지원함 - 던급 - ※ - 취소선: 독일에게 압류됨※둘러보기 :-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 해상병기 - }}}}}}}}} 
1. 개요
18척 건조된 영국 해군의 본토함대 소속 구축함.2. 제원
| E, F급 구축함 E, F-class destroyer | ||
| 이전급 | C, D급 | |
| 다음급 | G, H급 | |
| 표준배수량 | 1,428t 1,499 ~ 1,519t[소함대선도함] | |
| 만재배수량 | 1,970t 2,040 ~ 2,080t[소함대선도함] | |
| 전장 | 100.3m 104.5m | |
| 전폭 | 10.13m 10.29m | |
| 흘수 | 3.81m | |
| 승조원 | 145명 175명[소함대선도함] | |
| 출력 | 36,000SHP 38,000SHP[소함대선도함] | |
| 최고 속력 | 35.5kn (약 65.7km/h) 36kn (약 67km/h)[소함대선도함] | |
| 기관 | 보일러 | 3기 | 
| 증기 터빈 | 2기 | |
| 프로펠러 | 2축 | |
| 무장 | 단열 4.7인치 함포 4문[6] 4연장 12.7mm 중기관총 2정 4연장 533mm 어뢰 발사관 2문 폭뢰 20발 | |
3. 목록
해당 급의 초도함만 소함대지휘함으로 재분류됐다.| 함번 | 함명 | 진수 | 취역 | 비고 | 
| E급 | ||||
| H02 | 엑스마우스 (Exmouth) | 1934년 1월 30일 | 1934년 11월 9일 | 독일 해군의 U-22의 어뢰에 의해 침몰 | 
| H23 | 에코 (Echo) | 1934년 2월 16일 | 1934년 10월 22일 | 1956년 3월 8일까지 그리스 해군이 운용 후 스크랩 | 
| H08 | 이클립스 (Eclipse) | 1934년 4월 12일 | 1934년 11월 29일 | 1943년 10월 24일 기뢰에 의해 침몰 | 
| H27 | 일렉트라 (Electra) | 1934년 2월 15일 | 1934년 9월 13일 | 1942년 2월 27일 일본 제국 해군의 포격에 의해 침몰 | 
| H10 | 인카운터 (Encounter) | 1934년 3월 29일 | 1934년 11월 2일 | 1942년 3월 1일 일본 제국 해군의 포격에 의해 침몰 | 
| H17 | 에스커페이드 (Escapade) | 1934년 1월 30일 | 1934년 8월 30일 | 1947년 5월 17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 H66 | 에스코트 (Escort) | 1934년 3월 29일 | 1934년 10월 30일 | 1940년 7월 8일 이탈리아 왕립 해군의 굴리에모 마르코니의 어뢰에 피격 1940년 7월 11일 인양 중 침몰 | 
| H15 | 에스크 (Esk) | 1934년 3월 19일 | 1934년 9월 28일 | 1940년 8월 31일 기뢰에 의해 침몰 | 
| H61 | 익스프레스 (Express) | 1934년 5월 29일 | 1934년 11월 2일 | 1946년 1월 10일까지 캐나다 해군이 운용 후 방파제용으로 자침 | 
| F급 | ||||
| H62 | 폴크너 (Faulknor) | 1934년 6월 12일 | 1935년 5월 24일 | 1946년 1월 21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 H78 | 페임 (Fame) | 1934년 6월 28일 | 1935년 4월 26일 | 1968년 ?월 ?일까지 도미니카 공화국 해군이 운용 후 스크랩 | 
| H67 | 피어리스 (Fearless) | 1934년 5월 12일 | 1934년 12월 22일 | 1941년 7월 23일 이탈리아 왕립 공군의 뇌격기에 피격 후 자침 | 
| H79 | 파이어드레이크 (Firedrake) | 1934년 6월 28일 | 1935년 5월 30일 | 1942년 12월 16일 독일 해군의 U-211의 어뢰에 의해 침몰 | 
| H68 | 포어사이트 (Foresight) | 1934년 6월 29일 | 1935년 5월 15일 | 1942년 8월 13일 이탈리아 왕립 공군의 뇌격기에 피격 후 자침 | 
| H74 | 포레스터 (Forester) | 1934년 6월 28일 | 1935년 3월 29일 | 1946년 1월 ?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 H70 | 포춘 (Fortune) | 1934년 8월 29일 | 1935년 4월 27일 | 1946년 1월 28일까지 캐나다 해군이 운용 후 스크랩용으로 판매 | 
| H69 | 폭스하운드 (Foxhound) | 1934년 10월 12일 | 1935년 6월 6일 | 1947년 12월 ?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 H76 | 퓨리 (Fury) | 1934년 9월 10일 | 1935년 5월 18일 | 1944년 6월 21일 기뢰에 피격 1944년 9월 18일 스크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