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의 해군 군함 | |||
구잠함(PC) | <colbgcolor=white,#191919>PC급 구잠함 | |||
초계함(PG) | 더뷰크급, 이리급 | |||
호위함(FF) | 애슈빌급, 타코마급, 컨스티튜션급 | |||
호위구축함(DE) | 에바츠급, 버클리급, 캐논급, 에드솔급, 루더로우급, 존 C. 버틀러급, 딜리급A, 클라우드 존스급A | |||
구축함(DD) | 샘슨급, 칼드웰급, 윅스급, 클렘슨급, | |||
잠수함(SS) | O급, R급, S급, 바라쿠다급, 아르거넛급, 나왈급, 카샬롯급, 포어포이즈급, 새먼급, 사르고급, 탬버급, 가급, 마크렐급, 가토급, 발라오급, 텐치급 | |||
경순양함(CL) | 오마하급, 브루클린급, 세인트루이스급, 애틀랜타급, 클리블랜드급, 파고급A, 주노급A, | |||
중순양함(CA) | 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볼티모어급, | |||
대형순양함(CB) | 알래스카급, | |||
순양전함(CC) | ||||
전함(BB) | 플로리다급,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 |||
호위항공모함(CVE) | 롱 아일랜드급, 차져급, 보그급, 생가몬급, 카사블랑카급, 커먼스먼트 베이급 | |||
경항공모함(CVL) | 인디펜던스급, 사이판급A | |||
정규항공모함(CV) | 랭글리, 렉싱턴급, 레인저, 요크타운급, 와스프, 로빈(빅토리어스)UK, 에식스급, 타이콘데로가급, 미드웨이급A | |||
수상기모함(AV) | 커티스급, 탕헤르급, 바네갓급, 커리턱급, 케네스 화이팅급 | |||
병원선(AH) | 릴리프, 솔러스, 컴포트급, 바운티풀, 사마리안, 레퓨지, 헤이븐급, 안타이오스 | |||
군수지원함 | 키어사지AB, 베스탈AR | |||
잠수함모함(AS) | 풀턴급 | |||
구축함모함(AD) | 딕시급 | |||
소해함 | 랩윙급, 레이븐급, 오크급, 호크급, 어드미러블급 | |||
어뢰정 | PT 보트 | |||
공격수송함 | 존 펜, 아서 미들턴급, 프레드릭 펀스턴급, 도이엔급, 윈저급, 옴스비급, 베이필드급, 섬터급, 길리엄급, 하스켈급, 폴 리비어급A | |||
연습항공모함 | 울버린급, 세이블급 | |||
지휘함 | 마운트 매킨리급, 애디론댁급 | |||
기타 함선 | USS QUARTZ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color=#c8102e>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의 해군 군함 | |||
초계함 | <colbgcolor=#fefefe,#191919>24형, 브리지워터급, 헤이스팅스급, 밴프급, 쇼어햄급, 그림스비급, 킹피셔급, 비턴급, 이그렛급, 블랙 스완급, 플라워급, 캐슬급 | |||
호위함 | 리버급, 캡틴급, 콜로니급, 로크급, 베이급 | |||
구축함 | R급, S급, V급, W급, 셰익스피어급, 엠버스케이드급, 아마존급, A급, B급, C급, D급, E급, F급, G급, H급, I급, 트라이벌급, J급, K급, N급, 헌트급, L급, M급, O급, P급, Q급, R급, S급, T급, U급, V급, W급, Z급, C급, 배틀급, 웨폰급A, | |||
잠수함 | H급, L급, U급, V급, X급, X1, P611급, S급, T급, 그램퍼스급, 암피온급, 리버급, 레인보우급, 파르티안급, 오딘급 | |||
모니터함 | 로버츠급,에레버스급 | |||
경순양함 | C급(칼레돈급, 세레스급, 칼라일급), D급, E급, 리앤더급, 엠피온급, 아레투사급(1934), 타운급(사우스햄튼급, 글로스터급, 에든버러급), 다이도급, 크라운 콜로니급, 미노토어급(스윕트셔급), | |||
중순양함 | 호킨스급, 카운티급(켄트급, 런던급, 노포크급), 요크급, 엑서터급, | |||
순양전함 | 리나운급, 어드미럴급, | |||
전함 | 아이언 듀크급, 퀸 엘리자베스급, 리벤지급, | |||
호위항공모함 | 오더시티, 액티비티, 나이라너급, 아처, 어벤저급, 어태커급, 룰러급(보그급 호위항공모함), 프레토리아 캐슬 | |||
경항공모함 | 유니콘급,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 센토어급A | |||
정규항공모함 | 아거스급, 허미즈급, 이글급, 커레이저스급, 아크로열급, 일러스트리어스급, 임플래커블급, 오데이셔스급A, | |||
기타 | 페어마일 어뢰정, 알제린급 소해함, 캐서린급 소해함, 소드피시, 인섹트급 연안포함 | |||
윗첨자A: 전후 완공된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정규항공모함 |
→ → → → → → → → → → | |
호위항공모함 | |
→ → → → → → | |
경항공모함 | |
기타 | |
유니콘급 항공모함 · 빈딕티브 · 아크로열급 수상기모함 | |
}}}}}}}}} |
| |
1번함 어벤져 |
[clearfix]
1. 개요
어벤져급 항공모함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사용되었던 영국과 미국의 호위항공모함이자, 세계에서 가장 작은 항공모함이다.[1]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입증된 항공모함의 위력을 실감한 각국 해군은 항공모함을 집중적으로 건조하기 시작했는데, 어벤저급 호위항모는 1941년부터 1942년까지 미국에서 건조되었다.그중 1번함부터 3번함까지 렌드리스로 영국해군으로 넘어갔다. 그리고 남은 4번함은 비록 함급은 동일해도 따로 차져급으로 이름붙여서 미 해군에서 사용됐다.
1.1. 성능
여느 호위항공모함과 다름없으며 1번함 어벤져는 함교가 없다. 갑판이 너무 협소해 함교 설치에 난항이 있었으나 이후 설계변경으로 함교를 설치했다.속도는 시속 16.5 노트로 순항할 수 있었고, 공간이 협소하여 오직 절반의 함재기만을 격납고에 실을 수 있었다. 15기의 함재기와 555명의 승조원을 태웠다.
1.2. 무장과 함재기
4인치 단장 양용포 3문과 20mm 대공 연장 및 단장 기관포 15문을 탑재하고 있었다.함재기로는 호커 허리케인 전투기 또는 F4F 와일드캣 그리고 소드피쉬 대잠 함재기가 탑재됐다.
2. 제원
함급 제원 | |
배수량 | 기준 8,200톤. 만재시 9,000톤 |
흘수선 기준 전장 | 150.0m |
갑판 기준 전장 | 151.2m |
전폭 | 20.2m |
흘수선 | 7.1m |
엔진 | 독스포드 디젤엔진 |
출력 | 8,500마력 |
최고속도 | 16.5노트 |
항속거리 | 15노트로 15,000해리 |
무장 | 4인치 QF Mk.XVI 대공포 3문, 20mm 오리콘 대공포 15문 |
함재기 | 15기 |
승무원 | 555명+항공대 |
3. 자매함 일람
- HMS 어벤저(Avenger)
여담으로 어벤저는 격침되기 6일 전인 11월 9일 He 111에게 뇌격을 받고 아슬아슬하게 어뢰를 피해 살아남았는데, 불운하게도 그로부터 일주일도 안 돼서 가라앉았다.
- HMS 바이터(Biter)
- HMS 대셔(Dasher)
1943년 3월 27일 스코틀랜드 클라이드강 입구에서 항공유 탱크가 폭발하면서 378명의 사망자를 낳고 침몰하였다. - USS 차져(Charger)